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한가위 보름달 2007-10-01

- 월출시각(서울기준) : 2007년 9월 25일 17시 31분
- 월몰시각(서울기준) : 2007년 9월 26일 5시 21분
- 월령 : 14일



○ 위의 사진은 정해년(2007년) 음력 8월 15일, 추석날의 보름달을 촬영한 것이다. 보름달은 달이 태양의 정반대편에 놓여 있을 때를 말한다.

○ 이번 추석의 보름달은 평소 보름달 같이 완전한 둥근 달로 보이지 않았다. 꽉 찬 보름달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음력 15일의 달의 위상이 완전한 보름달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이러한 차이는 달력을 만드는 태양태음력의 역법 체계에 기인한다. 음력의 초하루(음력 1일)는 합삭시간(그믐)이 드는 날로 결정한다. 따라서 매 음력 초하루는 합삭시간을 기준하고, 나머지 일수를 순차적으로 매김으로서 음력의 날짜를 결정한다.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기간이 평균 29.53일이므로 음력 한 달의 길이는 29일이나 30일이 되며, 이를 각각 소월, 대월이라 일컫는다.

○ 그러나 달의 위상은 태양, 지구, 달의 위치로 나타난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궤도와 달이 지구를 도는 궤도가 찌그러져 있고, 지구 자전축과 지구에 대한 달의 공전축이 기울여져 있기 때문에 달의 위상이 매우 불규칙하게 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력 7~8일경이 상현, 15~16일경이 보름, 22~23일경이 하현이 된다. 즉, 이번 추석의 경우처럼 완전한 보름달이 뜨지 않은 음력 15일이 생기는 것이다. 이는 음력의 날짜를 정하는 초하루의 기준이 보름(망)이 아니기 때문이다.

○ 특히 이번 음력 8월의 보름(망) 시각은 27일 새벽 4시 45분경이었는데, 이는 태양-지구-달이 정확히 일치된 시각이 26일 밤을 4시간 45분을 더 지나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 촬 영 자 : 박 영 식
- 촬영일시 : 2007년 9월 25일 19시 20분경
- 촬영장소 : 충북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 망 원 경 : 60mm(f/15, 초점거리 900mm) 굴절 망원경
- 카 메 라 : Canon 20D
- 노출정보 : 1/30s, ISO10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