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NGC 3576과 NGC 3603 2007-10-08

- 명칭 : NGC 3576, NGC 3603
- 별자리 : 용골자리 (Carina)
- 적경(R.A.) : NGC 3576[11h 11m 49s], NGC 3603[11h 15m 09s]
- 적위(Dec) : NGC 3576[-61° 18' 14"], NGC 3603[-61° 16' 17"]
- 겉보기크기 : NGC 3576[3' x 3'], NGC 3603[4']
- 겉보기등급 : NGC 3603[9.1]
- 분류 : 발광성운 (emission nebula)
- 거리 : NGC 3576[6000 광년], NGC 3603[2만 광년]



○ 위 사진은 남반구 하늘의 용골자리 성운 옆에 있는 NGC 3604(왼쪽)과 NGC 3576(오른쪽)이다. 사진만으로 볼 때는 두 성운이 서로 옆에 붙어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NGC 3604이 NGC 3576 보다 3배 더 멀리 있다.

○ NGC 3576은 아래쪽으로 헤엄치는 오징어를 닮은 수려한 외모를 자랑하고 있다. 두개의 갈고리 모양의 루브(loop)는 항성풍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오징어의 다리 쪽에 있는 3개의 암흑성운은 복 구상체(Bok globule)로서, 가스와 먼지의 밀도가 높고 내부에는 별이 생성되고 있다. 복 구상체는 태양계보다 수 천배 큰 영역이며, 종종 2l중성이나 3중성이 생성되기도 한다.

○ NGC 3603은 우리은하에 있는 가장 큰 성운의 하나로 태양 질량의 1만 배 정도 된다. 만약 외부 은하에서 우리은하를 바라본다면, NGC 3603은 붉은 점으로 보일 것이다. 이 성운의 중심에는 밝은 성단(HD 97950)이 있는데, 50개 이상의 O형별과 수 개의 젊고 뜨거운 울프-레이에 별이 밀집하여 있다. 울프-레이에 별은 매우 거대한 별이 진화 도중 자신의 질량을 동반성에게 빠른 속도로 빼앗기는 별이다.

- 촬 영 자 : 이건호, 이준화, 황인준
- 촬영일시 : 2006년 11월 24일
- 촬영장소 : 호주 아이반호
- 망 원 경 : TAKAHASHI FSQ106
- 마 운 트 : TAKAHASHI EM11
- 카 메 라 : SBIG STL-11000M
- 노출정보 : Ha필터[120분], RGB필터[각 15분]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