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M74 (NGC 628)
- 별자리 : 물고기자리(Pisces)
- 적경(R.A.) : 01h 36m 41.8s
- 적위(Dec) : +15° 46' 59.6"
- 겉보기등급 : 9.4
- 겉보기크기 : 10'.5 x 9'.5
- 분류 : 나선은하(Spiral Galaxy), Sc형
- 거리 : 3,000만 광년

○ 위의 사진은 물고기자리의 나선은하 M74(NGC 628)으로, 1780년 피에르 메생(Pierre Méchain)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메생이 친구인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에게 이 천체의 발견을 알려주었고, 메시에는 얼마 후에 이 천체를 그의 목록에 74번째로 기록하였다. 이 후 로즈 경(Lord Rosse)이 1850년 이전에 발견된 14개의 ‘나선 및 굴곡을 가진 성운’ 중의 하나로 M74를 거론하면서 처음 나선성운(후에 나선은하)임을 밝혔다.
○ M74는 전형적인 앞에서본은하(face-on galaxy)로써, (Sc형) 나선팔의 원형(prototype)를 가진 이른바 ‘완벽한 나선팔(grand design)’의 한 예로 손꼽힌다. 위 사진에서 M74는 작지만 밝은 은하중심의 팽대부(bulge)와 팽대부 경계에서 시작되는 대칭적인 나선팔을 확인할 수 있다. 나선팔을 따라 푸른색의 젊은 성단과 붉은색의 발광성운(HII 영역)이 경쟁하듯 줄서고 있다.
○ 최근에 2개의 초신성폭발이 M74에서 발견되었다. 2002년 1월에 요지 히로즈(Yoji Hirose)가 발견한 SN 2002AP는 태양의 40배 무거운 별이 폭발한 것으로 12.3등급의 Ib/c형 초신성이었고, 2003년 6월에 밥 에반스(Bob Evans)가 발견한 SN 2003GD는 II형 초신성으로 13.2등급 밝아졌다.
○ M74는 NGC 660(특이 막대나선은하), UGC 891(특이 나선은하),UGC 1176(불규칙은하), UGC 1195(불규칙은하), UGCA 20(불규칙은하)과 함께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촬 영 자 : 김 일 순
- 촬영일시 : 2007년 10월 6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 마 운 트 : AP EQ1200 GTO
- 카 메 라 : ST-10XME w/CFW-8A(-20)
- 노출정보 : L필터[300초x9장(1x1)], RGB필터[각 300초x2장씩(2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