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PK164+31.1 (VV 47, Jones-Emberson 1, PN G164.8+31.1)
- 별자리 : 살쾡이자리(Lynx)
- 적경(R.A.) : 07h 57m 51.63s
- 적위(Dec) : +53° 25' 16.96"
- 겉보기등급 : 14
- 겉보기크기 : 6'.7
- 분류 : 행성상 성운

○ 위의 사진은 살쾡이자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인 PK 164+31.1이다. 행성상성운의 모습이 테니스공 같기도 하고, 헤드폰 같기도 하며, 권투 장비인 헤드기어 같기도 하다. PK 목록은 1967년에 구 체코슬로바키아 천문학자인 피렉(Perek)과 코호텍(Kohoutek)이 만든 행성상 성운의 목록으로, PK 뒤에 붙어있는 숫자는 행성상 성운의 위치를 의미한다.
○ PK 164+31.1 주변에는 두개의 타원은하가 짝을 이루는 NGC 2474와 NGC 2475가 있다. NGC 2474와 NGC 2475는 1790년에 윌리엄 허셀과 로즈 경이 발견하였다. PK 164+31.1은 이 천체 발견 때부터 NGC 2474와 NGC 2475로 잘못 인식되어 오랜기간 지속되었다.
○ 우리은하 안에는 PK 164+31.1같은 행성상 성운이 1,500개 정도 발견되었지만, 이론적으로 약 10,000개 정도 존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행성상 성운은 태양질량의 3배 이하인 별이 죽을 때 생성된다. 태양 같은 별이 약 100~130억년동안 살다 죽으면 행성상 성운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태양이 약 50억년 살았으므로, 태양도 앞으로 이와 비슷한 시간이 지나면 행성상 성운으로 죽을 것이다.
○ 행성상 성운은 그 중심에 백색왜성이 있고, 이 주변에 구형의 얇은 가스층을 가지고 있다. 가스층은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구성되며, 백색왜성이 내는 강한 자외선을 받아 산소기체는 푸른색이나 녹색을 내고, 수소나 질소기체는 붉은색을 띈다. 위 사진에서 PK 164+31.1의 바깥쪽에는 수소기체가 많고, 안쪽에는 산소기체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 촬 영 자 : 김 일 순
- 촬영일시 : 2007년 12월 15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 마 운 트 : AP EQ1200 GTO
- 카 메 라 : ST-10XME w/CFW-8A(-40)
- 노출정보 : L필터[300초x18장(1x1)], R필터[600초x4장(1x1)], RGB필터[각 300초x4장씩(2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