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근 지구소행성 2007 TU24 2008-02-04

- 명칭 : 2007 TU24
- 분류 : 소행성(지구위협소행성)
- 궤도 장반경 : 2 AU
- 이심률 : 0.53
- 주기 : 약 2년 10개월
- 궤도경사각 : 5.8도
- 지구 최접근 시각 : 2008년 17시 33분(한국표준시)
- 지구 최접근 거리 : 53만 8,000km (지구-달거리의 1.4배)
- 지구 최접근 속도 : 9.25km/s (5'/min)
- 겉보기 등급 : 10.3 (1월 29일과 30일 사이)
- 소행성 절대등급 : 20.6



○ 위 사진은 지구를 위협하였던 근 지구소행성 2007 TU24이다. 이 소행성은 2007년 10월 11일, 미국 애리조나 대학 카탈리나 전천탐사(Catalina Sky Survey)팀이 처음 발견하였다. 현재까지 약 200건 이상 관측이 보고되었을 정도로 최근 관심도가 급상승한 천체이다.

○ 2007 TU24는 지난 1월 29일 17시 33분경 북쪽 하늘, 카시오페이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 사이를 지나갔다. 이때가 이 소행성이 지구와 가장 근접한 시각으로 지구-달 평균거리의 약 1.4배(53만 8,000km)에 해당하는 지점을 초속 9.25km의 빠른 속도(분당 약 5분각)의 속도로 통과하였다. 최근 NASA의 레이더 관측을 통해 이 소행성의 크기는 약 250m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이렇게 지구에 가깝게 지나가는 소행성을 근 지구소행성(NEA: Near-Earth Asteroid)이라고 한다. 근 지구소행성이란 근일점거리(행성 또는 소행성, 혜성이 궤도상 태양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가 1.3천문단위(AU; 약 1억 5천만km)보다 가까운 소행성을 뜻한다. 현재까지 5,000개 이상이 발견되었다. 그 중 특히 지름이 150m보다 크고, 지구 최 접근 거리가 0.05천문단위(750만km)보다 가까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이라고 하는데, 소행성 2007 TU24도 지구위협소행성에 속한다. 지구위협소행성은 현재까지 920여 개가 발견되었다.

○ 지금까지 수 십m급 소행성이 접근한 적은 있었지만, 2007 TU24처럼 크고 가깝게 지구를 통과한 경우는 처음 있는 일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근 지구소행성들에 대한 계산 결과에 따르면 이번 같은 현상은 약 2,000년 후에나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2007 TU24과 유사한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을 일으키는 사건은 계산상으로 평균 37,00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2007 TU24가 또 다시 지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촬 영 자 : 근 지구 우주공간 탐사연구팀(윤요나, 최영준, 최진)
- 촬영일시 : 2008년 1월 29일 6시 47분 ~ 56분
- 촬영장소 : 한국천문연구원 대덕관측소
- 망 원 경 : 0.6m 광시야 망원경
- 카 메 라 : 4K CCD 카메라
- 노출정보 : 30초 간격으로 총 16장의 영상 합성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