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외계행성계 2008-02-25

- 명칭 : OGLE-2006-BLG-109L, OGLE-2006-BLG-109Lb, OGLE-2006-BLG-109Lc
- 별자리 : 궁수자리(Sagittarius)
- 적경(R.A.) : 17h 52m 34.5s
- 적위(Dec) : -30° 05' 16.0"
- 배경별의 변화 등급(I) : 16.2 ~ 13.8
- 분류 : 외계행성계
- 거리 : 5,000 광년



○ 위의 사진은 2006년 2사분기 17일간, 중력렌즈의 방법을 이용하여 발견한 외계행성계의 상상도이다. 국제 중력렌즈 네트워크 연구진이 공동 협력하였으며, 특히 마이크로-펀(MicroFUN)을 이끌고 있는 충북대 물리학과 한정호 교수와 천문(연) 광학천문연구부 박병곤 부장, 이충욱 연구원이 발견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외계행성계는 궁수자리 방향, 즉 우리 은하계의 중심방향으로 약 5,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 이 외계행성계의 중심 별(OGLE-2006-BLG-109L)은 태양 절반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 발견된 두 행성(OGLE-2006-BLG-109Lb, OGLE-2006-BLG-109Lc)은 중심별로부터 각각 지구-태양 거리의 2.3배와 4.6배 정도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행성들의 질량은 각각 목성의 0.71배와 0.27배 정도로 측정됐다.

○ 새로 발견된 행성계는 중심별과 행성의 질량비, 떨어진 거리, 행성들의 표면온도 등을 고려할 때 우리 태양계의 ‘태양-목성-토성’의 축소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외계 행성계를 발견한 경우는 여러 차례 있지만, 이와 같이 우리 태양계와 유사한 외계 행성계 검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 국제 연구그룹 : MicroFUN, OGLE, MOA, PLANET/RoboNet
- 촬영일시 : 2006년 3월 26일 ~ 4월 11일 (17일간)
- 촬영장소 : 국제 네트워크
- 망 원 경 : 한국천문연구원 레몬산 1m 망원경 외 다수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