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NGC 2403
- 별자리 : 기린자리(Camelopardalis)
- 적경(R.A.) : 07h 36m 50.6s
- 적위(Dec) : +65° 36' 9.6"
- 겉보기등급 : 8.4
- 겉보기크기 : 17'.8 x 11'.0
- 분류 : 나선은하(Spiral Galaxy), Sc형
- 거리 : 1,200만 광년

○ 위의 사진은 기린자리의 나선은하 NGC 2403으로, 삼각형자리의 나선은하 M33과 착각할 정도로 아주 닮았다. NGC 2403은 1788년 윌리엄 허셀(William Herschel)에 의해 발견되었다.
○ NGC 2403의 팽대부(bulge)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으며, 나선팔(spiral arm)도 그 줄기가 선명하지 않고 다소 흩뜨려져 보인다. 그러나 나선팔 위에 붉은 점으로 보이는 별 탄생 영역(HII 영역)과 젊은 푸른 성단들이 드문드문 꽃단장하여 신비로운 외모를 연출하고 있다.
○ NGC 2403은 우리은하 질량의 반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풍부한 수소기체를 가지고 있다. 이 은하는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이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우주팽창법칙(Hubble's Law)을 발견할 때 연구된 천체이며, 은하회전속도와 은하밝기의 연관성(Tully-Fisher relation)을 발견할 때 연구되었던 천체이기도 하다. 이렇듯 NGC 2403은 은하의 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표준은하(standard galaxy)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지금까지 NGC 2403은 두 개의 초신성(supernove) 관측이 기록되어 있다. Zwicky가 1954년 10월 24일 발견한 SN 1954J와 일본의 고이치 이타가키(Koichi Itagaki)가 2004년 7월말에 발견한 SN 2004DJ가 있다. SN 2004DJ는 태양의 15배 질량을 가진 청색 초거성이 폭발한 것이다. 또한 이 은하는 M81/M82 은하군 소속으로 이 은하군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 촬 영 자 : 김 일 순
- 촬영일시 : 2007년 11월 6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 마 운 트 : AP EQ1200 GTO
- 카 메 라 : ST-10XME w/CFW-8A(-20)
- 노출정보 : L필터[300초x12장(1x1)], RGB필터[각 300초x3장씩(2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