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M20과 M21 2009-06-15

- 명 칭 : M20(NGC 6514), M21(NGC 6531)
- 별자리 : 궁수자리(Sagittarius)
- 적경(R.A.) : M20[18h 02m 36s], M21[18h 04m 15s]
- 적위(Dec) : M20[-23° 02' 00"], M21[-22° 29' 27"]
- 겉보기등급 : M20[6.3 등급], M21[6.5 등급]
- 겉보기크기 : M20[20'], M21[13']
- 거 리 : M20[약 5,200 광년], M21[약 4,200 광년]



○ 위 사진은 궁수자리의 서쪽에 위치한 삼렬성운 M20과 산개성단 M21이다. 이들은 1764년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발견하여 목록화하였고, 20년 뒤 윌리엄 허셀(William Herschel)이 독자적인 목록을 만들면서 M20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름을 붙여 구분하였다.

○ M20은 붉은 영역(봉숭아의 꽃잎)과 푸른 영역(봉숭아의 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붉은 영역은 방출성운이며, 중심에는 젊은 성단(ADS 10991)을 품고 있다. 수소 가스 덩어리인 방출 성운은 수소가 이온화하면서 붉은 빛을 낸다. 그 앞에 암흑성운(B 85)이 있어 3개의 꽃잎 모양을 만든다. 방출성운 뒤쪽에는 푸른 반사성운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영역에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다.

○ M21은 약 60개의 푸른색 별들이 비교적 중심에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다. 궁수자리 OB1 성협(Sagittarius OB1 stellar association)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M21의 가장 밝은 별들은 1만~3만도의 표면온도를 가진 B형별이다. M21은 약 4백 6십만년의 나이를 가진 젊은 성단이며, 14.7km/s의 속도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 촬 영 자 : 김 광 욱
- 쵤영일시 : 2008년 6월 29일
- 촬영장소 : 경기도 양평 일대
- 카 메 라 : Canon 400D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