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태양의 홍염 2009-11-17

- 명칭 : 태양의 홍염



○ 태양의 내부는 핵, 복사층, 대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가 맨눈으로 보는 태양의 표면은 대기층으로 광구, 채층, 코로나로 구분할 수 있다. 고온의 이온화된 기체들이 태양표면에서 중력과 자기력의 의해 다양한 현상을 만드는데 이를 태양활동이라 한다.

○ 위의 사진은 다양한 태양활동 중에 하나인 홍염(prominence)을 촬영한 것이다. 홍염은 태양의 채층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그 수명은 수 시간에서 수일에 이른다.

○ 홍염은 주위에 비해 차갑고 밀도가 높은 기체 덩어리가 태양의 중력을 이기고 떠올라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홍염은 채층에 떠 있다가 아래쪽으로 떨어지거나 태양 대기권 밖으로 빠져나간다.

○ 홍염은 분출형 홍염(eruptive prominence)과 정온 홍염(quiescent prominence)으로 구분하며, 위의 사진에서 나타난 홍염은 정온 홍염이다. 분출형 홍염은 수명이 1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정온 홍염은 수일 이상 지속된다.


[사진2] 홍염을 강조하기 위해 이미지 처리한 사진

- 촬 영 자 : 임 상 균
- 촬영일시 : 2009년 11월 15일
- 촬영장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 망 원 경 : Takahashi FS-60C, Coronado Solarmax 40 + BF10, Meade 2X Telenegative Barlow
- 마 운 트 : Vixen GPD
- 카 메 라 : Canon 350D / QHY5
- 노출정보 : ISO 100[6/10초]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