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우주위험감시 국제협력

우주위험에 대한 감시 및 대응은 한 국가의 능력으로 전담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납니다. 또한 우주감시를 위해서는 지정학적으로 전지구에 고루 분포하는 다양한 종류의 감시망이 필수적입니다. 현재 미국의 우주감시망(SSN)을 필두로 러시아와 중국의 우주감시망 그리고 유럽우주청(ESA)에서 현재 구축 중인 우주감시망이 좋은 예가 됩니다. 이러한 우주감시망의 관측자료와 분석정보를 국제협력체계를 통해서 자료공유(data sharing)를 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입니다.
현재 운영중인 대표적인 국제협력체계
평화적우주이용위원회(COPUOS): 국제연합(UN)에 설치되어 있는 대표적인 우주위험감시 국제협력 기구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 (International Asteroid Warning Network, IAWN)
  • COPUOS 산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구근접물체(NEO) 관측연구를 수행하는 각국 연구기관들이 참여
  • IAWN은 NEO의 발견과 추적, 궤도계산, 물리적 특성규명은 물론, 실제로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합의된 채널(각국 정부)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 분석해 전파하는 역할
국제우주잔해물조정위원회(IADC): 우주잔해물로 인한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만들어진 관련 국가 정부간의 국제포럼
궤도정보 교환
  •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소행성센터(MPC): 전세계 소행성관측자료 수집 및 궤도 분석 수행
  • 미 NASA JPL의 HORIZONS 시스템: 태양계 내 70,6857개 소행성, 3,405개 혜성, 178개 위성, 8개 행성, 태양, L1, L2, barycenters의 정밀 궤도력을 유지
  • 미국 전략사령부(USSTRATCOM) 산하 합동우주운연센터(JSpOC): TLE (Two-line elements) 형태로 우주감시네트워크(SSN)에서 관측된 우주물체의 궤도정보 공개
  • 상업적우주운영센터(ComSpOC): 여러 공개되거나 상업적인 우주감시 센서를 통한 궤도력 유지(SpaceBook)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