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방식의 VLBI에서 전파망원경을 통해 얻어진 관측데이터는 배나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을 통해 수백 ~ 수천 km 떨어진 상관센터로 운송되었다. 하지만 이는 기록 미디어 구매 및 관리에 따른 예산 낭비를 초래하였고, 관측 후 상관처리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기에 효율성 있는 관측을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e-VLBI라 불리는 네트워크를 통한 관측 데이터 전송 기술이 출현하게 되었고, 현재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비례하여 VLBI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VLBI 관측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수 ~ 수 십Gbps 급의 대용량이기에 일반 네트워크 구성 하에서는 원활한 전송을 기대할 수 없다. 백본은 물론 메트로 그리고 말단에 위치한 로컬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 네트워크 기반으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건이 충족되었을 때 KVN이 차별화된 강점으로 내세우는 4채널 VLBI 동시 관측 역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KVN 각 관측소의 망원경동에서 발생하는 최소 8Gbps 이상의 데이터가 관측동과 상관센터에 안정적으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시스템과 네트워크가 함께 업그레이드 되어야한다. 이에 따라 KVN을 구성하는 세 전파천문대와 대전상관센터 내에 VLBI 시스템을 설치하였고 이후 시스템 간 고성능의 네트워킹을 구현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소스 ? 싱크 양단 간 대용량 데이터 전송 실험을 진행하였고 회선 당 관측 데이터 발생 속도 8Gbps를 능가하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