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20
2025학년도 2학기 UST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Big dreams and education to Big science and technology!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https://www.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에서는 2025학년도 2학기 석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학생인건비: 석사과정 154만원/월, 박사과정 210만원/월 지급, 기숙사: 대전 외 지역 거주학생에 한하여 KASI 내부 기숙사 입주 가능,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 해외연구교류 (90일 이내) 지원, 학생주도 연구과제(1년): 연 1,500만원 이내 등)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우주과학, 천문관측기기개발 분야 등),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형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신입생들이 졸업 시 연구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권장하는 학위 과정 기간(예,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 이내, 박사과정은 4년 이내) 동안 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관분야 저명 학술지(SCI(E))에 제1저자 논문 2편 이상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2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다음의 연구 분야들입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사항은 담당 교수께 문의해 주시고, 기타 일반 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4월 16일부터 5월 7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https://ust.ac.kr/admission.do)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한정열 교수 (jhan@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0) 연구 개요
- 천문우주용 관측기기 기술개발을 위한 연마 및 조립정렬 기술 연구
- 천문우주 관측데이터 특성에 따른 최적의 데이터 분석기술 연구
- 천문우주 망원경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1) 연구목표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Tool Influence Function; TIF)를 이해할 수 있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 절차를 이해하며, 조립정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립정렬 공정에 참여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계획을 수립하고 분석할 수 있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의 광기계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설계 및 해석기술을 이해하며 첨단 광기계기술을 연구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 관련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천문연에서의 연구개발의 novelty를 이해한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연마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정기/비정기 미팅을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킨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절차에 대해 기존 천문연에서의 조립정렬 경험을 이해하며, 기존 자료를 기반으로 새로운 광학계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렬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포맷을 이해하고 해독하며 데이터 가시화를 통해 데이터간 융합정보를 분석하고 정규 팀미팅을 통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한다.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분야의 핵심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국내외 전문가를 통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망원광학계의 광학 및 광기계 설계연구에 참여하여 기존 방식의 망원경에서 구현한 기술을 이해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첨단 망원경을 개발한다.
3) 기대결과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 방대한 데이터가 산출되는 시대에 걸맞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한다.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망원경 광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광기계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광기계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2.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모집과정: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외계행성대기 연구]
외계행성 탐색과 외계행성대기에 대한 이해는 인류의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탐구이자 현대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이다. 미국에서 발표한 Astro2020 문서에서는 외계행성 대기에 대한 연구를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현재 진행되거나 계획되고 있는 거의 모든 대형 천문관측 장비개발 프로젝트는 외계행성 대기를 최우선 연구목표로 삼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외계행성 대기 연구분야의 수 많은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몇몇 연구자에 의해 이제 막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진은 외계행성 대기에서 발생하는 물리학적인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해왔고 Hot Jupiter 와 같은 외계행성의 팽창한 대기를 검출하고 이해하기 위한 모델에 대한 연구와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3차원 대기 모형 및 외계행성표면에 가까운 대기에서의 현상으로 확장하는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며, 한국에서 외계행성대기 연구분야를 개척하는 데 관심있는 학생을 모집하고자 한다.
[은하주변물질 연구]
먼 우주에서 가까운 우주까지 다양한 별탄생 역사 및 은하들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천문학의 중요한 주제이다. 이를 천체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은하주변/은하간 물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은하주변 물질에 대한 흡수선 관측의 한계를 넘어서 방출선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Astro2020 문서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MUSE 등의 최첨단 장비를 활용한 관측의 도움으로 은하 및 Quasar 근방에 매우 넓게 퍼진 라이먼알파를 방출하는 헤일로가 체계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우리는 라이먼알파 및 Fe II, C IV 등의 방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헤일로의 기원과 바리온물질의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은하에서 방출되는 분광에너지분포를 이해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난류적 특성을 보이는 성간먼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외선부터 원적외선까지의 관측을 해석하기 위한 모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일련의 이론 모델 연구를 통해 은하주변물질 및 은하에 대해 깊이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면 관심있는 학생을 모집하고자 한다.
3.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박홍수 교수 (hspark@kasi.re.kr)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우리 연구는 가까운 우주에서 매우 희미하거나 질량이 매우 작은 왜소은하를 체계적으로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제에 참여하는 통합과정 학생의 주요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매우 희미하고 어두운 왜소은하 또는 저표면광도 천체를 탐색하고,
(2) 왜소은하 자체뿐만 아니라 이들이 속한 은하군 또는 저밀도 환경의 특성을 연구하고,
(3) 가까운 우주에서 소규모 우주론적 문제를 탐사한다.이 과제에 참여하는 통합과정 학생은 희미한 은하를 찾기 위해 다양한 기술/알고리즘(예: 시각적, 반자동, 또는 기계학습 등과 같은 자동화된 방법)을 개발하게 된다. 학생은 주로 LSST 데이터를 기반으로 누적된 깊은 영상이나 변광 천체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할 것이며, 때때로 KMTNet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얻은 관측 데이터 또는 흥미로운 천체에 대해서는 Gemini-South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할 것이다.
Our project aims to systematically survey very faint or low-mass dwarf galaxies in the nearby universe. Main topics for PhD student involved in the dwarf galaxy project are:
(1) searching for extremely faint-diffuse dwarf galaxies or low surface brightness objects,
(2) investigating the dwarf galaxies themselves,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galaxy groups or low-density environments to which they belong, and
(3) probing small-scale cosmological problems in the nearby universe.PhD student in this project will develop various technical algorithms (e.g. visual, semi-automated, or automated methods such as machine learning) to search for faint galaxies. The student will primarily use deep stacked images or time series data from variable objects based on the LSST data and may sometimes use observational data from KMTNet for high cadence or Gemini-South telescope for interesting objects.
4. 심채경 교수 (cksim@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행성과학 및 태양계 탐사 연구]
국가 우주개발진흥계획에 따라 달, 소행성, 화성 등에 대한 과학 탐사 임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과정은 이같은 임무를 기획하고 수행하기 위해 탐사 목표 수립, 과학적 가치 평가, 임무 설계, 과학 관측자료의 이해와 분석, 관측기기 개발 등의 역량을 갖춘 행성과학 및 태양계탐사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입생은 본 과정 동안 태양계 천체의 구조, 지질, 대기, 궤도 등의 과학적 특성과 그 주변 우주 환경 및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또한, 국제 우주탐사 과학 임무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주탐사 임무의 일반적인 체계와 과학 탐사의 추진 전략 등을 분석한다. 더불어, 달 궤도선 다누리에 탑재되어 운영 중인 광시야 편광 카메라(PolCam), 미국 달 탐사선에 탑재될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달 우주방사선 측정기(LVRAD) 등의 운영, 관측자료 분석 등에 참여할 수 있고, NASA를 비롯한 해외 우주탐사 기관과의 협력 프로젝트에서 임무기획, 과학연구, 관측기기 개발 등에 참여할 수 있다. 본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우주탐사임무의 과학목표와 추진전략 수립, 실제 개발 및 운영, 자료분석과 과학연구에 이르는 전 주기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를 기대한다.
5. Arman Shafieloo 교수 (shafieloo@kasi.re.kr)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우리는 물리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유능하고 열정적인 국내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지원자를 찾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지원자는 DESI *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암흑 에너지 분광기기)와 DESC ** (Dark Energy Science Collaboration of Rubin, 루빈 암흑 에너지 과학 협력체, 이전의 LSST) 와 같은 국제 협력 프로젝트에 공식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연구는 초기 우주 시나리오 검증 및 우주 거대구조와 다른 우주론적 데이터를 사용한 암흑 에너지 연구 등 물리 우주론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통계 방법(데이터 마이닝, 머신 러닝, 인공지능, 회귀 분석 방법) 개발이 박사 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의 주요 부분이 될 것입니다.
* Link to DESI survey: https://www.desi.lbl.gov/
** Link to DESC: https://lsstdesc.org/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to work on physical cosmology.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come officially involved with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including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and DESC** (Dark Energy Science Collaboration of Rubin or formerly LSST) and the project will include studying and performing research o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cosmology such as testing early universe scenarios and studying dark energy using large scale structure and other cosmological data.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gression approaches) will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or integrated-PhD.
6. Arman Shafieloo 교수 (shafieloo@kasi.re.kr),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to work on refining AGN-based distance ladder with improved accuracy and precision for cosmological applications. The project will be a collaboration between the radio group and cosmology group at KASI.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gression approaches) will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or integrated-PhD.
우리는 우수하고 열정적인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합니다. 연구 주제는 우주론적 응용을 위해 AGN 기반 거리 사다리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천문연구원(KASI)의 전파천문 그룹과 우주론 그룹 간의 협력 연구로 진행됩니다. 박사과정 또는 통합 박사과정 동안,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통계 기법(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인공지능, 회귀 분석 방법 등)의 개발이 연구의 주요 부분을 차지할 것입니다.
7. 곽영실 교수 (yskwak@kasi.re.kr)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지구 전리권/고층대기 연구 (Earth’s Ionosphere/Upper Atmosphere)]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전리권 및 고층대기 분야 연구를 수행할 유능하고 열정적인 박사 후보자 또는 통합 박사 후보자 학생을 찾고 있습니다. 선발된 후보자는 자기권-전리권 결합 또는 전리권-고층대기 상호 작용을 포함하여 전리권 및 고층대기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 (“차세대 우주환경 변화와 예측 연구”)에 참여하게 됩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종류의 지상 기반 장비(예: 비간섭성 산란 레이더, 간섭성 산란 레이더, 유성 레이더, 전천 카메라, 신틸레이션 모니터, FPI 등), 위성의 현장/원격 관측자료 (예: SWARM, ICON, GOLD, DMSP 및 곧 국내외에서 발사될 위성들) 및 지상/우주에서 생성된 GNSS 관측을 분석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에서는 자료 동화 모델과 물리적 모델을 활용하여 전리권과 고층대기 변화의 원인과 자기권-전리권 결합 또는 전리권-고층대기 상호 작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8. 박성홍 교수 (shpark@kasi.re.kr)
모집과정: 석사과정
[태양 채층에서 발생하는 제트의 영상분광 연구 (Imaging-Spectroscopic Study of Solar Chromospheric Jets)]
연구목표, 방법 및 기대결과: 태양의 채층은 태양 광구 위의 얇은 대기층으로 가스압이 강한 광구와 자기압이 지배적인 코로나 사이의 층이다. 이층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자기재연결 현상들은 태양의 코로나까지 이르는 수직하게 정렬된 형태의 제트를 분출시키는데 이 세부기작은 아직 잘 알려져있지 않다. 우리는 빅베어태양천문대의 고속영상태양분광기를 이용해 이 제트의 물리값과 발생 기작을 알아낼 것이다. 또한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태양망원경 (NxST)의 태양전면 영상분광자료를 분석하여 다양한 제트의 특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연구한다. 우리는 석사과정 동안 진행되는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뚜렷하게 알려지지 않았던 제트의 구동 매커니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태양의 거시적 자기폭발현상의 관측연구를 통한 발생 기작 규명과 이에 따른 우주환경변화 영향에 관한 관측 연구 (Observational Study on the Driving Mechanisms of Solar Flares and CMEs and their Impacts on the Space Weather)]
태양계 유일한 항성인 태양은 자기장의 발생과 진화에 따른 에너지 축적 및 방출 과정을 통해 태양권 공간에 지속적으로 물질과 에너지를 공급한다. 대표적인 태양 자기분출현상에는 채층과 코로나 대기에서 방출되는 제트현상부터 코로나에서 강력한 섬광현상을 동반하는 플레어, 코로나로부터 자기장과 질량을 분출하는 코로나질량분출(CMEs)까지 다양하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한 오랜 연구가 지속되어왔으나 제트와 같은 소규모 분출은 물론 플레어, CMEs와 같은 대규모 분출 현상의 명확한 발생 기작은 물론 발생에 대한 예측 여부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연구분야이다. 최신의 이론을 근거로 하는 수치해석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무엇보다 다양한 측면의 관측적 특징을 수집하고 종합, 해석하는 일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최근의 고분해능 다파장 지상자료와 위성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본 UST 학위 과정을 통해 태양의 광구부터 채층, 코로나를 아우르는 다양한 파장의 고분해능 관측자료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태양의 여러 자기분출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발생 원리를 추론하고 나아가 태양의 활동성과 우주환경의 변화간 상관성에 대한 논리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하여 향후 태양물리 및 우주환경 분야의 우수한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9. 김영민 교수 (ymkim@kasi.re.kr)
모집과정: 석사과정
[중력파 데이터분석 연구]
연구목표
- 중력파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중력파 천문학 또는 다중신호천문학 연구를 목표로 하며 구체적으로 아래 5가지를 카테고리를 바탕으로 이중 한가지를 집중적으로 연구 진행 1) 중력파 검출 신호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법 개발
2) 중력파 관측 결과를 이용한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 특성 연구
3) 중력파 관측 결과를 이용한 중성자별 상태방정식 연구
4) 중력파 비모델 폭발 신호 (Burst), 중성자별에 발생하는 연속중력파 (Continuous Wave) 연구
5) 새로운 중력파원 연구와 이를 위한 데이터분석 기법 개발
연구방법
- 지금까지 관측된 LIGO, Virgo, KAGRA 중력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력파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법 연구
- 중력파 관측가동 (O1~O4) 결과를 이용하여 연구주제에 맞게 관측결과를 활용하는 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주제에 맞는 결과를 도출하도록 함.
- 관측된 중력파 신호의 물리량으로부터 블래홀 쌍성 또는 중성자별 쌍성의 물리량과 이에 따른 물리적 해석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학습 및 필요한 방법론 개발.
- 최신 데이터 분석법 또는 A.I, 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분석 도구 개발과 이를 활용한 과학연구를 진행
- 연구주제에 따라 필요한 경우, LIGO 또는 KAGRA 가입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함.
기대결과
- 중력파 천문학 및 다중신호 천문학 연구분야에서 중력파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자로의 성장 발판 마련.
10. Thiem Hoang 교수 (thiemhoang@kasi.re.kr)
모집과정: Ph.D or Integrated-Ph.D Course
[The Role of Gravity and Magnetic Fields in Cosmic Ecosystems]
We seek highly motivated candidates for one Ph.D or Integrated Ph.D position in Theoretical Astrophysics at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Thiem Hoang. The successful candidate will join our research group to investigate the role of gravity and magnetic fields in the formation of stars, planets, and black holes from interstellar matter (dust and gas); and to study the influence of stellar and black hole feedback on interstellar and circumgalactic matter. Selected candidates will receive comprehensive training in analytical and theoretical methods, numerical modeling, simulations, and data analysis, equipping them for a successful career in astrophysics.
11. 김기태 교수 (ktkim@kasi.re.kr)
모집과정: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고질량별 생성 조건 및 기작 연구(Investigating the formation conditions and mechanisms of high-mass stars)]
별은 우주의 기본 구성 단위이다. 별이 오랫동안 인류가 생각했던 것과 달리 유한한 존재이고 성간에 분포하는 수소분자운내 밀도가 높은 지점(분자운핵)에서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다양한 질량의 별들이 어떤 조건에서 어떠한 기작으로 생성되는지는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며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관측과 이론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별 생성의 기본 과정인 분자운핵의 중력수축, 디스크를 통한 물질 강착, 제트 방출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은하와 성간물질의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양 보다 질량이 8배 이상 큰 고질량별의 생성 조건과 기작이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대다수 별들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같은지 다른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인의 연구그룹에서는 1) JCMT, NRO 45m, SMA, ALMA 등을 활용하여 고질량별 생성의 조건과 초기 진화 단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2) KVN/EAVN, JVLA, ALMA를 활용하여 고질량 원시성의 디스크-제트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서베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서베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서베이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개개의 성간분자운핵과 고질량 원시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질량별의 생성 조건과 기작 그리고 초기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12. 이민영 교수 (mlee@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
ASKAP은 서호주에 위치한 SKA 패스파인더 망원경으로, 저주파수(700~1800 MHz) 전파 신호를 관측하는 36개의 12m 망원경으로 구성되어있다. 현재 ASKAP 망원경을 사용하여 여러 서베이가 진행 중인데, 신입생은 우리은하와 마젤란은하 내 중성수소를 관측하는 GASKAP-HI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 목표: 우리은하와 마젤란은하 내 중성수소의 특성 및 분자운 생성과의 상관성 연구
연구 방법: GASKAP-HI 서베이에서 얻은 중성수소 방출선, 흡수선 자료를 분석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중성수소의 물리적, 동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최신 이론과 비교하여 중성수소의 특성을 결정하는 기작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중성수소 관측 자료를 CO, HCO+와 같은 분자선 관측 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분자운이 생성되는 중성수소의 조건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
기대 효과: ASKAP 고분해능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중성수소가 분자운 및 별의 생성, 더 나아가 은하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할 것이다. 또한 SKA 패스파인더 망원경의 폭넓은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가올 SKA 시대에 수행할 최신 과학 연구에 필요한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것이다.
13. 고종완 교수 (jwko@kasi.re.kr)
모집분야: 박사과정 및 석박사 통합과정
[LSB 우주 탐사를 통한 은하와 은하단의 특성 연구]
LSB(low surface brightness) 우주는 10년 전만 하더라도 인류가 거의 탐사하지 못한 우주라고 할 수 있었는데 최근 관측기술의 발달로 조금씩 우리에게 그 비밀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선발된 학생은 미지의 LSB 천체(ultra diffuse galaxy, tidal features, intracluster light 등)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기기개발+영상탐사+수치모의실험’ 연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연구조직에 참여하여, 2025년부터 수행할 대규모 남반구 LSB 영상탐사 자료와 LSB 맞춤형 수치모의실험 자료를 활용한 은하와 은하단의 LSB 특성 연구와 암흑물질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에서 추진하는 uLSB(ultra-low surface brightness) 우주탐사임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역량을 확보할 것이다.
[LSB 우주 관측기술 개발 연구]
K-DRIFT(KASI Deep Rolling Imaging Fast Telescope) 프로젝트팀은 국내의 LSB 우주 영상탐사에 최적화된 관측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선발된 학생은 K-DRIFT 프로젝트팀원으로서 LSB 우주탐사용 지상망원경 K-DRIFT Generation 1(G1) 성능 분석 및 검증을 체계적으로 수행한다. 광학성능 시뮬레이션과 시험관측 자료 비교 분석을 통한 자유형상 광학계(freeform optics) 성능검증 최적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K-DRIFT G1의 다음 단계인 준궤도(sounding rocket) 임무 및 우주망원경 기술개발 임무에 참여할 수 있다. 지상, 준궤도 및 우주에서의 관측기술 개발 경험을 통해 미래 국내의 우주탐사임무 개발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핵심 인력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14.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이정원 교수 (jwl@kasi.re.kr)
모집과정: 석사과정
[고주파 준광학 필터 개발 연구]
천문 기기 및 기술의 발전은 인간이 우주를 더 자세히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천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단일 망원경의 한계를 넘어 매우 높은 분해능을 제공하는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기술은 기존의 망원경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블랙홀 및 활동성 은하 핵과같이 매우 작게 보이는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왔다. VLBI 관측에서 더 높은 분해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좋지만, 대기 요동에 더 취약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Korean VLBI Network(KVN)은 관측 대상을 여러 주파수에서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낮은 주파수에서의 측정 결과로 불안정한 높은 주파수에서의 관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은 주파수 관측의 적분 가능 시간 및 안정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다주파수 동시 관측 망원경의 핵심 부품은 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주파수에 따라 나눠주는 준광학 필터(Dichroic Filter)이다. 준광학 필터는 주파수에 따라 반사도가 크게 달라지는 부품으로 망원경의 준광학계(Quasi-optics) 내에서 빛이 주파수에 따라 다른 경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서브밀리미터 다채널 동시관측 수신시스템에 사용될 준광학 필터를 개발하고 성능 검증을 진행할 것이다. 다주파수 동시관측 기술은 next generation Event Horizon Telescope (ngEHT)를 비롯한 차세대 VLBI 망원경들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는 만큼, 핵심 부품인 준광학 필터 기술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준광학 필터 연구를 통해 학생은 미래의 전파 천문 수신기 개발에 핵심적인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5.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모집과정: 박사과정 또는 석사과정
PhD Project (박사과정)
새로운 표준촛불 개발을 위한 블레이자 연구: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우주 내 천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인류가 발견한 가장 과학적인 거리측정 방법은 소위 ‘표준촛불(standard candle)’, 즉 그 고유 밝기를 알고 있는 천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표준촛불들이 개발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제Ia형 초신성이 가장 멀리 그리고 정확한 표준촛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제Ia형 초신성 중 가장 멀리 있는 천체는 적색편이로 1.914, 거리로 100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데 그친다. 이는 거리가 140억 광년인 우리 우주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있기에, 우리는 새로운 표준촛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가)새로운 표준촛불 후보로서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인 블레이자를 검증하고, 나)적색편이 0~7 사이의 블레이자를 활용한 우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은 국내 전파망원경과 국제 관측망을 활용하여, 블레이자의 물리적 특성 및 우주론적 활용을 위한 연구에 참여할 예정이다. 새로 제시하는 표준촛불은 현대 우주론모델을 비교적 가까운 (z라는 주제 하에, AGN의 상대론적 제트의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기장에 의한 편광 빛(예, Trippe 2014)을 강하게 방출하는 AGN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팀이 성공한 전략적 AGN 제트 자기장 관측기법으로서, (1) 최첨단 전파망원경(KVN, IRAM, JCMT, ALMA 등)을 이용한 다파장 대역 동시 선형편광 관측을 수행하여 제트 내부의 자기장에 의해 방출되는 편광된 싱크로트론 복사의 특성을 규명하고, (2) 선형편광 빛의 편광각의 파장대역별 회전량인 파라데이 회전량 (RM, Faraday Rotation Measure)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 회전량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도출하면, (3) 도출된 RM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AGN 제트 모델에서 예측하는 예측치와 비교하여, 편광빛 및 파라데이 회전에 대한 근원적 설명과, AGN 제트 모델의 관측적 검증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다(Lee et al. 2015, Kang et al. 2015, Lee et al. 2016). 본 연구팀은 이를 통해 국내 AGN 제트 연구의 거점을 마련하고, 세계 선도 연구그룹으로 성장할 기틀을 확립하며, 미래를 선도할 후진을 양성한다. 본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참여할 열정적이고 성실하며 우수한 석사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MSc Project (석사과정)
외부은하 고에너지 중성미자 기원 연구(XENON: eXploring Extragalactic Neutrino Origins Now): 고에너지 중성미자(high energy neutrinos)는 최근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들 중 하나이다. 특히, 그 기원이 우주에서 가장 무거운 초대질량블랙홀(supermasive black holes, SMBH)을 포함하는 활동은하핵(active galactic nuclei, AGNs)과 연관되어 있다는 상당한 관측적인 연구결과들이 쌓이고 있다. 2017년, 남극의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IceCube Neutrino Observatory)에서 검출된 고에너지(약 290 테라 전자볼트, TeV) 중성미자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외부은하 초대질량블랙홀 TXS 0506+056에서 기원한 것으로 밝혀졌다(IceCube Collaboration 2018). 이어서 2022년에는 두 번째 외부은하 기원 고에너지 뉴트리노가 고래자리 방향에 위치한 초대질량블랙홀 나선은하 NGC 1068에서 발생한 것이 밝혀졌다(IceCube Collaboration 2022). 본 과제는 한국-독일 공동 관측 자원을 활용하여 고에너지 중성미자 후보 블레이자 탐사 및 모니터링 관측을 통해 샘플을 증가하고, 외부은하 중성미자 기원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채택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존의 한국-독일 공동 관측 자원 및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 TELAMON: 독일 Wuerzburg/MPIfR 연구팀에서 Effelsburg 100미터 직경 전파망원경을 활용한 중성미자 블레이자 모니터링 관측 프로그램
- GMVA: 독일 MPIfR에서 운영에 참여하는 국제 86GHz 대역 초장기선간섭계 관측망 (Global MM-VLBI Array)
- EHT: 한국-독일 연구팀에서 참여하는 국제 230/345GHz 대역 초장기선간섭계 관측망 (Event Horizon Telescope)
- KVN: 한국 KASI에서 운영하는 22-130GHz 대역 초장기선간섭계 (Korean VLBI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