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50 RSS
29 2020-12
No. 470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 법적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13조제2항, 동법시행령 제17조제3항 - 제공목적: 한국천문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 제공대상: ㈜리서치랩 - 제공일자: 2020년 11월 27일 - 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고객 이름, 소속기관/부서, 직급/직책, 연락처  - 활용시기: 2020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완료시까지 - 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29 2020-12
No. 469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PC와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조사로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고객님께 조사 참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2019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우리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일부 - 조사방법: 온라인조사(PC/모바일을 통한 응답화면 접속) - 사전 전화안내 실시 - 조사기간: 2020년 12월 ~ 2021년 2월 - 주간사업자: ㈜리서치랩 - 조사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객만족도 조사 공동실사단 본 조사는 2007년 4월 1일 시행된「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있고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
28 2020-12
No. 468 일반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21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겨울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Long-slit Spectroscopy" ■ 대상: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 ■ 일정: 2021년 2월 2일(화) ~ 2021년 2월 5일(금) [4일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진행됩니다(접속경로 등의 세부 정보는 선정된 참가자에 한하여 추후 공지) ■ 인원: 10명 내외 ■ 겨울학교 강의 계획   - 천체분광관측    - IRAF 사용법 및 Long-slit 분광   - 시선속도 / 속도분산 분석   - 방출선 및 흡수선 스펙트럼 분석   - 특강 : 미정 ■ 강사진: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 신청 및 마감: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21년 1월 8일 마감 ■ 선정 및 통보: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 (1월 15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043-422-1108   - 신청접수: soaoedu@kasi.re.kr ■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첨부파일 (2021년 대학생 겨울학교 참가신청서.hwp)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소백산천문대
30 2020-11
2021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 발행
No. 467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2021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를 발행하였음을 안내드립니다. 2021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에는 2021년 역서를 통해 생성된 음력, 일·월 출몰시각, 천문현상 등의 정보와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천문정보 대중화 및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해당 파일을 공유하오니, 저작권 관련 유의사항을 준수하여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ㅇ PDF 파일  - 벽걸이형: 다운로드  - 탁상형: 다운로드    *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고객참여-발행물-천문력에도 게시 (바로가기) ㅇ AI 파일  - 벽걸이형: 다운로드  - 탁상형: 다운로드 ㅇ 저작권 관련 유의사항(공공누리 제1유형 적용)  - 출처 표시 필요  - 상업적 이용 가능   * 달력면 천문정보에 한해 이용 가능   * '천문력' 명칭으로 전체 사용 불가   * 사진의 저작권은 촬영자에게 있으므로 별도의 이용 동의 없이 사용 불가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또한, 일반인의 천문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위탁판매업체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위탁업체를 통해 구입 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ㅇ온라인 주문: 대한문고 세일러북 도서쇼핑몰(https://www.salerbook.com) * 검색창에 "천문력" 으로 검색 ㅇ 판매 관련 문의 : 뉴스인컴(032-663-4881) 기타 문의사항은 대국민홍보팀(042-865-3326/kjha@kasi.re.kr)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21 천문력ASTRONOMICAL CALENDAR 한국천문연구원 ①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② 탄생 별자리 ③ 음력날짜(월령) ④ 일일 천문현상 / 천문소사 ⑤ 일·월 출몰시각 ⑥ 월령에 따른 달의 모양 천문력의 구성과 용어 설명 일·월 출몰시각, 충, 합 등의 용어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월 출몰시각 지구 타원체고도 0미터 기준, 태양과 달의 가장 윗부분이 지평선상에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각. 월출, 월몰 시각에"--:--" 표시가 된 날은 그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충 외행성과 태양 사이에 지구가 위치하여 태양과 외행성의 시황경 차이가 180˚가 되는 현상, 즉 태양-지구-외행성 순으로 위치한 때이다. 합 지구와 외행성 사이에 태양이 위치하며 태양과 외행성의 시황경이 같게 되는 현상, 즉 외행성-태양-지구 순으로 위치한 때이다. 내합과 회합 내합과 외합의 시각은 태양과 내행성(수성, 금성)의 시황경이 같게 되는 시각이며, 내행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경우를 내합, 내행성과 지구 사이에 태양이 있을 때를 외합이라 한다. 유 지구 관측자가 봤을 때 행성의 위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 행성의 겉보기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것처럼 보이는 상태이다. 최대이각 태양과 내행성의 각거리가 최대로 되는 각도이며,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동쪽으로 최대 각거리에 있는 경우를 동방최대이각, 서쪽에 있는 경우를 서방최대이각이라 한다. 근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원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다. 월령 바로 직전 합삭시각으로부터 매일 오후 9시까지의 시간을 일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합삭시간이 어제 오후 9시였다면 오늘의 월령값은 1이다. AU(Astronomical Unit)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1.496×10¹¹m)를 말한다. ZHR(Zenithal Hourly Rate) 6.5등성까지 보이는 맑은 밤, 유성의 복사점이 천정에 있다고 가정할 때 1시간동안 한 사람이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유성의 수, 실제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은 이보다 작다. 표지ⓒNASA, ESA, NRAO and L, Frattare(STScI) 이미지 위 추가 디자인 페르세우스 A로도 알려진 거대 은하 NGC 1275. 한국천문연구원 제프리 호지슨(Jeffrey Hodgson)박사와 이상성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침은 은하 NGC 1275가 포함하고 있는 활동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 '3C 84'를 관측한 미국 초장기선간섭계(이하 VLBA Very Long Baseline Array) 자료를 활용해 새로운 표준촛불 후보 검증에 성공했다. 해당 연구내용은 영국 왕립천문학회지(Monthly Notice of Rotal Astronomical Society Letters) 2020년 4월 1일자에 게재됐다.
23 2020-11
No. 466 일반
□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천문우주과학의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여 천문우주과학의 국가적 발전을 달성을 목적으로 1974년에 설립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한국천문연구원의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전문성과 기관 경영혁신 리더십을 갖춘 최고경영자를 아래와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직위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임기: 3년) □ 응모자격   - 해당 분야 연구개발에 관한 전문경력, 탁월한 연구실적, 전공 등을 보유한 사람   - 해당 연구기관의 경영혁신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적극 추진할 역량을 보유한 사람   - 경영혁신 및 조직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춘 사람   - 연구개발 및 기관경영에 대한 국제감각을 가지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의 1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 □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5매 이내) 1부   - 당해 연구기관의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서(A4 5매 이내) 1부   - 연구실적 등 현황 1부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 최종학력증명서 및 경력(재직)증명서(주요경력) 각 1부 □ 응모방법    - 방문제출 또는 등기우편 접수(등기우편 제출 시 담당자에 사전연락) □ 제출기한   - 2020년 12월 14일(월) 17시까지 제출서류 도착분에 한함 □ 접수 및 문의처   - (우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연구지원동(A동) 6층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도기획팀 임원 선임 담당자 앞  (Tel. 044-287-7438) □ 기타   - 제출서류 서식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http://www.nst.re.kr)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https://www.kasi.re.kr)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 제출서류 기재 착오 및 누락 또는 허위기재, 구비서류 미제출, 제출서류가 허위·위조·대필임이 판명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제출된 모든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고, 제출된 사항은 필요시 관계기관에 사실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모든 지원자는 조회에 필요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서류의 반환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합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정관상 원장은 그 직무 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와 정당가입이 금지됩니다.   - 원장은 취임 후「공직자 윤리법」및「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해당사항에 대하여 재산등록, 주식백지신탁, 병역사항신고 등의 의무가 있습니다.   - 원장은 취임 후 2개월 내에 성과지표와 지표별 목표를 포함한 기관의 경영목표를 연구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 상기내용은 추진과정 상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0. 11. 2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07 2020-09
No. 465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학생들의 천체관측능력을 신장시키며, 천문동아리 등 과학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를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ㅇ 행사명: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ㅇ 주최: 한국천문연구원  ㅇ 주관: (사)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ㅇ 포상: 중고등학교 각각 상위 1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연구원장상 수여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어 각 학교 내 동아리 활동이 불가하며, 대회 성격상 학생들 간 접촉 위험성이 높음을 고려해 행사를 취소하기로 결정하였음을 안내드립니다. '방구석 과학쇼' 및 '대덕에서 과학을 그리다 대회' 등 청소년 대상 온라인 행사 참여로 대체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관련 문의] ☎ 042-865-3326
05 2020-08
No. 464 일반
2021학년도 1학기 UST-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대한민국 천문우주과학의 미래를 이끌어 갈 참신하고 역량 있는 당신을 환영합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에서는 2021학년도 1학기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학생인건비: 석사과정 140~186만원/월, 박사과정 190~240만원/월 지급, 기숙사: 대전 외 지역 거주학생에 한하여 KASI 내부 기숙사 입주 가능,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 해외연구교류 지원, 학생주도 연구과제: 연 3,000만원이 내 등)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천문학, 우주과학, 천문관측기기개발 분야 등),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형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신입생들이 졸업 시 연구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권장하는 학위 과정 기간(예,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 이내, 박사과정은 4년 이내) 동안 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관분야 저명 학술지(SCI(E))에 제1저자 논문 2편 이상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2021학년도 1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아래 명기한 연구 분야들입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보내주시고, 기타 일반 문의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9월 4일부터 18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ust.ac.kr/admission.do).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Arman Shafieloo (shafieloo@kasi.re.kr)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to work on physical cosmology.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come officially involved with SDSS-IV (Sloan Digital Sky Survey, Stage 4),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and LSST (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surveys and the project will include studying and performing research o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cosmology such as testing early universe scenarios and studying dark energy using large scale structure and other cosmological data.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regression approaches) and/or working on instrumentation design might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or integrated-PhD. 2. 김기태 교수 (ktkim@kasi.re.kr) 고질량별 생성 조건 및 기작 연구 (Investigation of the formation conditions and mechanisms of high-mass stars): 별은 우주의 기본 구성 단위 이다. 별이 성간에 분포하는 수소분자운에서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별이 어떤 조건에서 어떠한 기작으로 생성되는지는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며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별 생성의 기본 과정인 분자운핵의 중력수축, 디스크를 통한 물질 강착, 제트 방출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은하와 성간물질의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양 보다 질량이 8배 이상 큰 고질량별들의 생성 조건과 기작이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대다수 별들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같은지 다른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인의 연구그룹에서는 1) JCMT, NRO 45m, SMA, ALMA 등을 활용하여 별 생성의 조건과 초기 진화 단계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차가운 Planck 분자운에 대한 체계적인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2) KVN/KaVA, VLA, ALMA를 활용하여 고질량 원시성의 디스크-제트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서베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서베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서베이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개개의 고질량 원시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질량별의 생성 조건과 기작 그리고 초기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3. 손봉원 교수 (bwsohn@kasi.re.kr) In short, this PhD project aims to explore gravitational effects of SMBH using VLBI facilities. Two themes are included in this PhD project. The first theme is searching for SMBH motions in AGN with specialized VLBI Astrometry technique. In PhD course, student will participate in   - selection of VLBI monitoring candidates (statistical study)   - optimization of observing strategy and analysis method (programing and data analysis)   - Using KVN, Yebes (Spain) and further collaborating radio facilities (such as VERA, Italian VLBI telescopes), VLBI astromtric monitoring of the candidates   - Interpretation of AGN core motions in context of strong gravity (binary, disks, spin) and jet physics (opacity, instability, shock). The second theme is studying strong gravity around Event Horizon region with Event-Horizon-Telescope. Our group is an official member of the EHT collaboration.   - Data reduction and analysis of EHT & EHT Multi-wavelength data   - Planning astrometric use of EHT   - Participating EHT polarization calibration 4. 이창원 교수 (cwlee@kasi.re.kr),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원시천체의 생성과정은 여러 가지 물리적 환경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설명된다. 이중 가장 많이 제시되는 설명은, 길쭉한 형태의 필라멘트분자운에서 가스 흐름들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고밀도 분자운 코어들이 다발로 만들어지며, 이들 코어 에서 중력과 관련된 가스수축 운동을 통해 초기의 원시천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원시천체의 형성에 있어서는 주변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통로인 강착원반 (accreting disk)과 각운동량을 배출하는 통로인 쌍극성 가스분출류 (outflow)의  선 생성이 필수인데, 이들의 생성 기작과 연관하여 원시성 또는 원시갈색왜성 생성과정이 결정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팀에서는 이러한 별 생성의 일련의 과정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한다. 필라멘트 분자운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 생성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다른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지, 분자운 내에서 집적화되고 있는 분자운 핵은 어떤 물리, 화학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원시천체가 만들어지는 직접적인 물리적 과정은 어떠한지 등을 연구한다. 어떤 물리적 환경이 태양 질량정도의 별로 혹은 갈색왜성을 생성케 하는지, 항성체를 만드는 데에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강착원반이나 가스분출류의 특성이 원시성이나 원시갈색왜성인 경우 어떻게 비슷하거나 다른 지 등을 조사하여 생성의 물리적과정의 (비)유사성을 연구한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를 주로 직접적인 관측과 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관측하는 주요 파장대는 근적외선부터 mm영역에 이르며, 관측에 이용되는 망원경은 적외선 지상/우주망원경, 단일경 전파망원경, 간섭계(예, ALMA)망원경 등이다. 5.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새로운 표준촛불 개발을 위한 블레이자 연구: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우주 내 천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인류가 발견한 가장 과학적인 거리측정 방법은 소위 ‘표준촛불(standard candle)’, 즉 그 고유 밝기를 알고 있는 천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표준촛불들이 개발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제Ia형 초신성이 가장 멀리 그리고 정확한 표준촛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제Ia형 초신성 중 가장 멀리 있는 천체는 적색편이로 1.914, 거리로 100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데 그친다. 이는 거리가 140억 광년인 우리 우주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있기에,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표준촛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과제의 최종 목표는 가)새로운 표준촛불 후보로서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인 블레이자를 검증하고, 나)적색편이 0~7 사이의 블레이자를 활용한 우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팀은 국내 전파망원경과 전파기기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국제 관측망을 구성하여, 블레이자의 물리적 특성 및 우주론적 활용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위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두 단계로 나뉜다. 가) 블레이자를 활용한 새로운 표준촛불 검증: 블레이자는 매우 변광이 심하고 큰 폭발을 겪는데, 이 블레이자를 이용한 거리측정의 핵심은 블레이자 제트의 밝기온도(brightness temperature)를 변광을 이용한 인과관계와 초장기선간섭계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는 것이다. 상대론적인 효과가 매우 큰 블레이자를 활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블레이자 제트의 밝기온도의 제한조건 중 하나인 에너지등분배 밝기온도를 가정한다. 블레이자는 매우 변광이 심하고 큰 폭발을 겪지만, 우리는 폭발 시점 또는 폭발 직후에천체의 밝기온도가 에너지등분배 밝기온도 제한조건에 도달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는 폭발 시점 또는 폭발직후 블레이자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거리를 계산하고, 그 결과가 제Ia형 초신성의 그것과 비교하여 검증한다.  나) 적색편이 0~7 사이의 블레이자를 활용한 우주의 거리 측정: 1단계 검증 단계에서 검증한 블레이자의 표준촛불 활용법을 적용하기 위해, 우리는 많은 고적색이동 블레이자를 초장기선간섭계를 이용하여 매우 자주(1-2주에 한번) 그리고 매우 오랫동안 (약 5년) 관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장기선간섭계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은 이러한 관측연구에 적합하지만, 망원경 간 최대 거리가 500km이내이므로 더 먼 거리에 위치한 전파망원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과 약 8000km 떨어진 호주의 Mopra전파망원경과 연결되는 국제공동관측망을 활용한다. 본 연구팀은 이를 통해 국내 블레이자 연구의 거점을 마련하고, 세계 선도 연구그룹으로 성장할 기틀을 확립하며, 미래를 선도할 후진을 양성한다. 본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참여할 열정적이고 성실하며 우수한 석박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6.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성간 및 은하간 물질연구를 통한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   - 먼 우주에서 가까운 우주까지 다양한 별탄생 은하들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천문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특별히, 은하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outflow 및 외부에서 은하 내부로 유입되는 inflow는 은하진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성간 및 은하간 물질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1) 성간 및 은하간 기체: 먼 우주의 은하에 대한 연구는 수소원자에서 방출되는 라이먼알파(Lyman-alpha) 관측을 통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 MUSE 관측의 도움으로 Lyman-Alpha Emitter 및 Quasar 근방에 매우 넓게 퍼진 라이먼알파 헤일로가 수없이 관측되면서 라이먼알파 천문학의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라이먼알파의 기원(중력수축하는 기체에서 방출되는 것인가 또는 중심은하에서 방출된 빛이 공명산란을 거쳐 방출된것인가), 라이먼알파 스펙트럼의 형성기작, 라이먼알파와 라이먼연속광의 탈출율과의 상관관계등은 은하의 형성 및 별탄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에도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한편, Si II 또는 C IV 등의 중원소와 관련된 방출선 또는 흡수선을 동시에 설명함으로써 은하헤일로 및 은하간 물질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관련연구를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로도 확장하고자 한다.   (2) 성간먼지: 성간먼지는 불과 1%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은하가 방출하는 전체에너지의 대락 50%가 성간먼지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라는 점과 성간먼지가 없다면 별탄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성간먼지는 빛을 산란하거나, 흡수한 후 재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매우 흥미로운 현상들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가까운 우주부터 먼 우주까지 성간먼지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은하의 진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이해하고자 한다.   - 위의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관측자료와 이론적인 모델을 비교하여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최첨단의 이론 모델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또한, N-body 및 유체역학적 시뮬레이션과 복사전달 이론을 결합하여 관측을 이해하고 새로운 현상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신입생은 자신의 선호도 및 재능에 따라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이론적인 배경 및 관측자료 해석방법과 시뮤레이션 방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치적인 방법론을 익히고 직접 관측을 수행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하게 될 것이다. 7.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고종완 교수 (jwko@kasi.re.kr) 첨단 관측기술 개발을 통한 은하단 및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 은하단(galaxy cluster)은 암흑물질(Dark Matter), 은하단 물질(Intra-Cluster Medium), 그리고 수백에서 수천 개의 은하(galaxy)로 이루어진 거대한 은하 집단으로, 계층적으로 성장하는 우주의 거대구조에서 중력적으로 묶여있는 가장 큰 천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주의 탄생 이후 언제 은하단이 처음 만들어져서 어떻게 현재 우주의 거대구조를 형성하였는지에 대한 시나리오는 아직 논쟁 중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은하단의 진화 단계에 따라서 은하단의 암흑물질, 은하단 물질 및 은하의 특성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천문학적 난제인 은하단 및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팀은 첨단의 영상관측 기술을 개발하고 대규모 은하단 탐사관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대규모 탐사관측 자료와 고분해능의 우주론적 수치모의실험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특히, 밤하늘 밝기보다 수백 배 어두운 극미광(ultra-low surface brightness) 천체 탐사관측에 특화된 소형 광시야 망원경 독자 개발과 체계적인 영상탐사관측 수행은 우리팀이 야심차게 새롭게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그동안 거의 탐험되지 못했던 우주의 모습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신입생은 관심에 따라 (1) 극미광 천체관측을 위한 영상장비개발, (2) 대규모의 극미광의 은하단 및 은하 탐사관측 연구, 또는 (3) 우주론적 수치모의실험과 대규모 관측자료 비교를 통한 은하단 및 은하 연구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부에 참여할 수 있다. 8. 민병희 교수 (bhmin@kasi.re.kr) ▶ 연구목표: 한국 및 인류의 역사 속에 전승된 천문학 및 그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천문학의 자료로 활용하고 인류의 진보를 천문학의 발전과정으로 재해석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방법: 천문기록과 과학유산의 가치를 규명하는 연구는 학술연구, 복원개발, 자료구축의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학술연구는 천문기록과 유산을 통한 현대천문학적 연구이다. 복원개발은 과거의 천문시계 및 천문관측기기를 복원하는 사업이고, 자료구축은 천문학 사료에 대한 수집과 DB구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한 천문학 대계의 초석을 다지고, 천문학 지식의 확산을 위한 지향점을 갖도록 연구한다. ▶ 기대효과 및 결과:     1. 천문관측기록 분석을 통한 현대천문학적 연구 성과 도출    2. 천문역법 및 역사천문의 연구로부터 한국 고천문의 가치 재해석    3. 천문학사 연구를 통한 천문과학문화유산의 발굴 및 연구 9. 곽영실 교수 (yskwak@kasi.re.kr)  In Space Science Division,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to undertake research in the area of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 involved in a project to study ionospheric plasma and upper atmospheric density variations and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teractions. This project will not only use data from a variety of ground observations, including KASI’s built or planned ground observations (VHF ionospheric radar, meteor radar, all-sky camera, scintillation monitor, FPI, etc.), but also use a variety of satellite observation data including SWARM, AURA and SNIPE which will be launched in 2021. In addition, the project will use the data-assimilation model and physical model to in-depth to deal with the causes of changes in the ionospheric plasma density and the process of the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teraction.  10. 한정열 교수 (jhan@kasi.re.kr) 천문우주용 광학부품 연마 및 조립정렬 연구 /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천문우주용 망원경 및 관측기기에 사용되는 광학 및 광기계 부품을 정교하게 제작하고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광학부품은 초정밀 연마가 필요하고, 광학부품을 지지해주는 광기계 부품은 정교한 광기계 설계 및 해석을 통하여 제작 이전에 충분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제작된 광학 및 광기계 부품은 조립정렬 되어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조화를 이룰 때 망원경 및 관측기기의 개발이 가능하다. 천문연구원에서는 미지의 심우주 현상을 관측하기 위한 최첨단 광학관측 망원경을 개발해오고 있으며, 1)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사용한 연마기술, 2) 망원광학계 부품의 조립 및 정렬을 통한 시스템 성능구현 기술, 3) 광기계 설계 및 해석을 통한 광기계 부품 개발기술을 연구하여,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이 가능하며, 점차 다양해지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광기계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신입생은 국내외 최첨단 광학 관측망원경 및 관측기기 개발에 참여하여 경쟁력있는 연구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Astronomical and Space telescopes include precise optical surfaces and opto-mechanical parts. We are looking for enthusiastic Ph.D. candidate to study i) polishing process control of mirror surfaces, ii) opto-mechanical design and analysis, and iii) assembly and alignment process development. The candidate may have interests of one or two research topics among those three fields.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as been involved in numerous competitive projects related to large telescopes development including instruments. The candidates are expected to join such project and have a chance to simulate, realize the optical and opto-mechanical parts, sub-system, and system.
05 2020-08
No. 463 일반
2020년 7월부터 국내에서 관측 가능해 화제가 되고 있는 혜성의 표기법 관련해 안내드립니다.  본 혜성의 원래 명칭은 영문으로 C/2020 F3, NEOWISE이나 언론 등 국내 공식 자료 표기 시에는 한글화하여 표기해야 합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은 ‘NEOWISE’의 한글 표기를 우선으로 하고 괄호 안에 ‘(C/2020 F3, NEOWISE)’와 같이 표기하고 있습니다. → 니오와이즈 혜성(C/2020 F3, NEOWISE)  ‘NEOWISE’ 발음 표기를 ‘니오와이즈’로 확정한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은 이유입니다.  ①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근거 ② NEOWISE의 ‘NEO’를 ‘NEO(Near Earth Object)’에 중점을 두고 판단 ③ 천문학계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고유명사의 발음  본 혜성은 NASA의 근지구 천체 광대역 탐사 위성 ‘NEOWISE(Near-Earth Object Wide-field Survey Explorer)’가 발견한 혜성입니다. NEOWISE의 전신이었던 WISE(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는 원래 광대역 적외선 탐사 위성이었으며 2009년 12월에 발사되어 첫 번째 탐사 임무를 마치고 2011년 동면 상태에 들어갔다가 2013년 9월에 NEOWISE로서 근지구 천체의 적외선 관측이라는 새로운 탐사 임무로 재가동에 들어간 것입니다. 근지구 천체 NEO(Near Earth Object)를 찾는 것이 주목적인 위성으로 천문학계에서는 대부분 니오와이즈로 발음하고 있으며, 현재 NEOWISE 프로젝트 과제 책임자인 Amy Mainzer 교수에게도 이를 확인하였습니다. 물론, ‘NEOWISE’는 ‘NEW+WISE’의 합성어로 ‘새롭다’는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둘 중에 본질적으로는 ‘근지구 천체를 뜻하는 엔이오’가 더 대표적인 의미라 이에 빙점을 두게 되었습니다. NEOWISE의 NEO를 ‘새롭다’는 의미로만 보면 기존 활용하는 한국어 접미사처럼 ‘네오’라고 발음하는 것도 맞으나 ‘근지구 천체를 뜻하는 엔이오’의 의미를 강조하면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니오와이즈’로 표기하게 됩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제3장 제1절 ‘영어의 표기 세칙’에 따라, 영어 외래어는 원어 발음을 바탕으로 외래어 표기법 제2장 1절 표1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따라 적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공식 자료에 발표하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한국천문학회에서 발행하는 (천문학 용어 통일을 위해 심의하여 확정, 발표하는 책자)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지만 니오와이즈 위성이나 혜성은 국내에서는 그동안 활발히 쓰이거나 정착한 용어가 아니었으며, 이번 혜성으로 인해 화제가 되어 처음 공식적으로 쓰는 용어로 정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담당 연구자들의 의견과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 확인을 거쳐 최종적으로 ‘니오와이즈 혜성(C/2020 F3, NEOWISE)’이란 표기법으로 통일해 공식 자료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혜성의 표기 시 참고 바랍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공식자료 작성 시 천문학 용어의 한글 표기 기준 - 한국천문학회 발표 및 내 용어 표기 확인 (※ 한국천문학회 내 천문용어심의위원회는 천문학 용어를 우리말로 바르게 정립해 연구 및 교육 현장에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천문학 용어를 비교, 심의해 통일된 용어를 확정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진 및 누리집 용례 찾기 확인  - 천문학계, 언론, 교육 현장 등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발음 참고 - 천문학계, 언론홍보계, 국립국어원 연구사 등이 위 내용을 종합적으로 토론해 최종 확정 ※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천문학회와 함께 새로운 용어의 한국어 표기 문의에 대한 피드백 서비스 체계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해당 체계가 확정되는 대로 추후 본 사이트를 통해서도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문의] ☎ 042-865-2195 
27 2020-07
No. 462 일반
2020년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시설물 및 연구·실험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개합니다. □ 공개항목: 노후시설물, 일반건축물, 실험실 □ 문의: 총무시설안전팀 신세용(042-865-3366) 
07 2020-07
2020 Parallel earth project에 한국도 참여해요!
No. 461 일반
2020 Parallel earth project에 한국도 참여해요! □  2020 Parallel earth project란?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학생 교육을 위해 추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시민과 학생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교실 환경에서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적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의 프로젝트이다. □  선생님과 함께 활동지로 학습해보고,   IAU 국제 프로젝트에도 참여해보세요!    -  https://youtu.be/kPZvXmPMDho       - 아래 신청서를 작성하여 IAU에 메일 발송 (영문작성) newsletter.nase@gmail.com    - 신청서 작성 예시본: 예시본 확인    - 신청기간 : ~ 2020. 9. 23까지    붙임 1. 학습자료 및 안내서          2. IAU 신청서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