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50 RSS
16 2022-03
제30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 안내
No. 490 일반
제30회 천체사진 공모전 The 30th Astro-photo contest 1. 공모내용 공모주제 : 아름다운 밤하늘 및 천체(심우주 분야 / 태양게 분야 / 지구와 우주 분야) 공모대상 :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공모부문 : 사진부문 / 그림부문 / 동영상 부문 ※ 각 분야마다 '심우주', '태양계', '지구와 우주'로 분류하여 심사 2. 접수방법 접수방법 :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 후, 사진 인화 본 우편 접수 1. 홈페이지 : www.kasi.re.kr(과학문화-천체사진공모전 코너) 2. 우편접수처 : (34055)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 공모전 담당자 ※ 1. 홈페이지 접수와 2. 인화사진 우편접수 모두 필수! 접수기간 1. 홈페이지 : 2022.03.16.(수)-2022.4.15.(금) 17:00 2. 우편접수 : 2022.4.15.소인이 찍힌 우편물 작품규격 - 2년 이내 촬영한 작품으로 개인별 3점 이내의 미 발표작 - 우편 및 홈페이지 접수 모두 필수!※ 규격에 맞지 않는 작품은 예비심사에서 탈락할 수 있음 3. 시상 내역 시상 별 인원 및 시상 내용을 설명하는 표 구분 인원(이내) 시상 내용 대상 1 상패 및 상금 200만원 최우수상 1 상패 및 상금 100만원 우수상 1 상패 및 상금 50만원 금상 9 상패 및 상금 30만원 은상 18 상패 및 상금 20만원 동상 18 상패 및 상금 10만원 꿈나무상 9 상장 및 부상 ※ 부문별 심사결과 적합한 작품이 없을 경우 시상치 않을 수 있음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 공모전 담당자 T. 042)865-2084 E. young@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23 2022-02
천문우주 예술 융합 전시회 개최
No. 489 일반
천문우주 예술 융합 전시회 개최 - ■ 천문우주 예술 융합 전시회 ‘우주와 예술이 만날 때:ABC(Art, Black tiger & Cosmos)’가 오는 2월 28일부터 대전일보 랩마스 아트갤러리와 대전 동구 소제동 마당집 17호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 이번 전시회는 우주와 예술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대전일보(사장 김재철), CNCITY마음에너지재단(이사장 심정보)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천문우주 과학의 심미적 가치를 나누고 천문학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마련됐다. 장소의 특징과 관람객의 연령대를 고려해 전시회를 두 공간에서 선보인다.  □ 대전일보는 ‘검은 호랑이해 우리나라 하늘 그리고 우주’를 주제로 검은 호랑이의 해인 임인년을 맞이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호랑이해 주요 천문현상을 소개하고 반짝이는 유리의 물리적 성질을 반영해 각종 천문현상을 표현한 이영재 작가의 유리공예와 천문연의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등을 전시한다. □ CNCITY마음에너지재단은 젊은 세대의 문화 공간으로 떠오른 소제동에서  천문우주를 융합한 이경미 작가의 설치미술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 이번 전시회는 2월 28일부터 5월 31일까지 열린다. (참고자료 끝. 참고사진 있음.) 우주와 예술이 만날때 : ABC(Art. Black Tiger, Cosmos) 이경미, 이영재,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등 랩마스 아트갤러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314 대전일보사 1층 마당집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수향1길 4 수~일 11시~7시 2022년 02월 28일~05월 31일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일보사 / CNCITY 우주와 예술이 만날 때 : ABC(Art; Black Tiger, Cosmos) 이경미, 이영재,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등 랩마스 아트갤러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314, 대전일보사 1층 마당집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수향1길 4 수-일 11시-7시 2022 02 28 - 05 31 한국천문연구원, 대전일보사, 마음에너지재단 이경미, 이영재,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등 우주와 예술이 만날 때 : ABC(Art; Black Tiger, Cosmos) 2022 02 28 - 05 31 랩마스 아트갤러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314, 대전일보사 1층 마당집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수향1길 4 수-일 11시-7시 한국천문연구원, 대전일보사, 마음에너지재단
22 2022-02
No. 488 일반
2022학년도 2학기 UST-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대한민국의 우주강국 시대, 꿈꾸는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 천문우주과학 전공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에서는 2022학년도 2학기 석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학생인건비: 석사과정 140~186만원/월, 박사과정 190~240만원/월 지급, 기숙사: 대전 외 지역 거주학생에 한하여 KASI 내부 기숙사 입주 가능,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 해외연구교류 지원, 학생주도 연구과제: 연 2,000만원이 내 등)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우주과학, 천문관측기기개발 분야 등),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형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신입생들이 졸업 시 연구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권장하는 학위 과정 기간(예,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 이내, 박사과정은 4년 이내) 동안 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관분야 저명 학술지(SCI(E))에 제1저자 논문 2편 이상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2022학년도 2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아래 명기한 연구 분야들입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보내주시고, 기타 일반 문의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3월 16일부터 4월 6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https://ust.ac.kr/admission.do)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성간 및 은하간물질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암흑물질을 제외한 보통 물질(Baryon) 중 오직 7%만이 별에 포함되어 있고 93%에 이르는 대부분의 물질은 성간물질, 은하주변물질 및 은하간물질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은하와 우주를 연구함에 있어서 성간 및 은하간물질의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최근 미국이 2020년대에 천문학분야에 중점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분야를 조사한 문서(Pathways to Discovery in Astronomy and Astrophysics for the 2020s; Astro2020)에서는 큰 틀에서 3개의 연구주제를 선정했다. 세 개의 연구주제 중의 하나로 우주 생태계 (cosmic ecosystem) 연구가 포함되어 있고, 성간 및 은하간물질의 연구는 우주생태계 연구주제 중에서 최우선 과제 2개중의 하나로 제시되어 있다. 특히, Astro2020 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은하연구와 관련된 내용 중 거의 모든 부분이 성간 및 은하간물질 연구에 할애하고 있고 별 중심의 은하연구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먼 우주에서 가까운 우주까지 다양한 은하들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이다. 특히, 별탄생의 재료가 되는 성간물질, 그리고 은하 바깥으로 유출되는 물질 및 은하 안쪽으로 유입되는 물질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함에 있어서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Astro2020 문서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는 주제가 성간 및 은하간물질의 순환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은하 내부 및 은하 주변에서 관측되는 강력한 outflow (또는 외부에서 은하 내부로 유입되는 inflow) 및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의 은하간 물질의 특성, 그리고 성간물질 중 불과 1%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은하에서 방출되는 전체 빛 에너지의 약 50%이상을 방출하는 성간먼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은하와 우주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다양한 관측자료와 이론적인 모델을 비교하여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더불어 우리는 세계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는 계산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신입생은 자신의 선호도 및 재능에 따라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될 것이며 다양한 이론적인 배경 및 관측자료 해석방법과 수치적인 방법론을 익히고 자료분석과 이론연구를 병행하게 될 것이다. 2. Prof. Yukinaga Miyashita(miyasita@kasi.re.kr) PhD project: This project is for a PhD or integrated PhD student. In Space Weather Research Group, Space Science Division,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to undertake research in the area of magnetospheric physics and space plasma physics.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 involved in a project to study space weather (near-Earth space environment) and solar wind-magnetosphere-ionosphere coupling, including onset and development mechanisms of space storms and substorms, and associated dynamic auroras. This project will involve analyzing various kinds of in situ and remote-sensing observation data from multiple satellites (e.g., MMS, THEMIS, ERG, and upcoming SNIPE) and ground-based instruments (e.g., auroral cameras, magnetometers, and radars). The student will learn a wide range of this research area and choose and find research topics related to storms, substorms, and/or other magnetospheric phenomena for their dissertation. MSc project: This project is for a MSc student. In Space Weather Research Group, Space Science Division, we are looking for strongly motivated candidates for an MSc course student to undertake research in the area of magnetospheric physics and space plasma physics.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 involved in a project to study space weather (near-Earth space environment) and solar wind-magnetosphere-ionosphere coupling, including onset and development mechanisms of space storms and substorms, and associated dynamic auroras. This project will involve analyzing various kinds of in situ and remote-sensing observation data from multiple satellites (e.g., MMS, THEMIS, ERG, and upcoming SNIPE) and ground-based instruments (e.g., auroral cameras, magnetometers, and radars). The student will learn a wide range of this research area and choose a research topic related to storms, substorms, and/or other magnetospheric phenomena for their master’s thesis. 3. 이상성 교수(sslee@kasi.re.kr) 활동은하핵 제트의 자기장 특성 연구 (모집분야: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활동성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은 초대질량블랙홀과 그 주변의 강착원반, 그리고 강착원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플라즈마가 가속 방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론적 제트로 이루어져 있는, 외부은하의 중심부로서, 현재 우리 우주의 가장 활발하고, 강력한 천체라고 할 수 있다. 그 구성요소에서 알 수 있듯이 AGN 연구는 블랙홀 관련 과학, 강착원반 관련 과학, 일반상대성 및 특수상대성 물리학, 그리고 우주론까지 아우르는 가장 광범위한 천체물리학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다(Boettcher 등 2011, Blandford 등 2019).     본 박사과정 연구과제가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질문은 이것이다. 현재까지 AGN관측을 바탕으로 제시되는 AGN의 이론적 모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대론적 제트의 생성과 진화는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제트의 어떤 특성이 제트를 그토록 강력하고 활발하며 거대한 천체현상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도전하는 매우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제트의 형성과 진화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제트가 생성되는 기저부의 자기장의 분포를 규명하는 것이 AGN 모델의 관측적 검증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라는 주제 하에, AGN의 상대론적 제트의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기장에 의한 편광 빛(예, Trippe 2014)을 강하게 방출하는 AGN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팀이 성공한 전략적 AGN 제트 자기장 관측기법으로서, (1) 최첨단 전파망원경(KVN, IRAM, JCMT, ALMA 등)을 이용한 다파장 대역 동시 선형편광 관측을 수행하여 제트 내부의 자기장에 의해 방출되는 편광된 싱크로트론 복사의 특성을 규명하고, (2) 선형편광 빛의 편광각의 파장대역별 회전량인 파라데이 회전량 (RM, Faraday Rotation Measure)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 회전량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도출하면, (3) 도출된 RM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AGN 제트 모델에서 예측하는 예측치와 비교하여, 편광빛 및 파라데이 회전에 대한 근원적 설명과, AGN 제트 모델의 관측적 검증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다(Lee et al. 2015, Kang et al. 2015, Lee et al. 2016). 본 연구팀은 이를 통해 국내 AGN 제트 연구의 거점을 마련하고, 세계 선도 연구그룹으로 성장할 기틀을 확립하며, 미래를 선도할 후진을 양성한다. 본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참여할 열정적이고 성실하며 우수한 석박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참고문헌: Boetcher, Harris, Krawczynski, Relativistic Jets from AGN, 2011, WILEY-VCHBlandford, Meier, and Readhead, 2019, ARAA, 57, 467  (또는 https://arxiv.org/abs/1812.06025) Kang, Lee, and Byun, 2015, JKAS, 48, 257 Lee, Kang, Byun et al. 2015, ApJL, 808, L26 Lee, Lee, Kang et al. 2016 AA, 592L, 10L Trippe 2014 JKAS, 47, 1 4. Prof. Arman Shafieloo(shafieloo@kasi.re.kr) 모집분야: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다중 메신저 천문학을 활용해 우주론과 암흑 에너지 관련 연구를 수행할 지원자를 모집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사이렌이라 불리는 낮거나 중간 정도의 적색편이를 가지는 중력파원들을 이용해 암흑에너지를 탐구하고 허블 상수를 추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이론적인 분석, 시뮬레이션, 중력파원의 전자기파 추적 관측, 데이터 정리 및 분석 등이 요구됩니다. 합격자는 중력파 우주 연구단(Center for the Gravitational-Wave Universe)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연구하게 되며, DESI(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와 Rubin 천문대(LSST) 국제 협력단에도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심층적인 데이터 분석 기법(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회귀 분석 등)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박사 혹은 석박사 통합 프로그램의 주요 부분이 될 것입니다. 5. 한정열 교수(jhan@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0) 연구 개요  - 천문우주용 관측기기 기술개발을 위한 연마 및 조립정렬 기술 연구  - 천문우주 관측데이터 특성에 따른 최적의 데이터 분석기술 연구  - 천문우주 망원경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1) 연구목표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Tool Influence Function; TIF)를 이해할 수 있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 절차를 이해하며, 조립정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립정렬 공정에 참여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계획을 수립하고 분석할 수 있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의 광기계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설계 및 해석기술을 이해하며 첨단 광기계기술을 연구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 관련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천문연에서의 연구개발의 novelty를 이해한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연마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정기/비정기 미팅을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킨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절차에 대해 기존 천문연에서의 조립정렬 경험을 이해하며, 기존 자료를 기반으로 새로운 광학계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렬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포맷을 이해하고 해독하며 데이터 가시화를 통해 데이터간 융합정보를 분석하고 정규 팀미팅을 통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한다.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분야의 핵심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국내외 전문가를 통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 망원광학계의 광학 및 광기계 설계연구에 참여하여 기존 방식의 망원경에서 구현한 기술을 이해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첨단 망원경을 개발한다. 3) 기대결과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 방대한 데이터가 산출되는 시대에 걸맞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적으로반드시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한다.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망원경 광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광기계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광기계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모집과정 : 석사과정 0) 연구 개요  - 천문우주용 관측기기 기술개발을 위한 연마 및 조립정렬 기술 연구  - 천문우주 망원경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1) 연구목표-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 절차를 이해하며, 조립정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립정렬 공정에 참여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의 광기계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한다. 2) 연구방법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 관련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해한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연마공정 연구를 이해하며 지도교수와 정기/비정기 미팅을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킨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절차에 대해 기존 천문연에서의 조립정렬 경험을 이해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포맷을 이해하고 정규 팀미팅을 통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한다.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분야의 핵심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한다.  - 망원광학계의 광학 및 광기계 설계연구에 참여하여 기존 방식의 망원경에서 구현한 기술을 이해한다. 3) 기대결과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한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을 적용한다.  -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한다.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망원경 광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한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광기계기술을 이해한다. 6. 김기태 교수(ktkim@kasi.re.kr) 고질량별 생성 조건 및 기작 연구 - Investigating the formation conditions and mechanisms of high-mass stars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별은 우주의 기본 구성 단위 이다. 별이 성간에 분포하는 수소분자운에서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다양한 질량의 별들이 어떤 조건에서 어떠한 기작으로 생성되는지는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며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별 생성의 기본 과정인 분자운핵의 중력수축, 디스크를 통한 물질 강착, 제트 방출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은하와 성간물질의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양 보다 질량이 8배 이상 큰 고질량별들의 생성 조건과 기작이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대다수 별들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같은지 다른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인의 연구그룹에서는 1) JCMT, NRO 45m, SMA, ALMA 등을 활용하여 고질량별 생성의 조건과 초기 진화 단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2) KVN/EAVN, VLA, ALMA를 활용하여 고질량 원시성의 디스크-제트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서베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서베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서베이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개개의 성간분자운핵과 고질량 원시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질량별의 생성 조건과 기작 그리고 초기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7. 정연길 교수(ykjung21@kasi.re.kr) 미시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외계행성은 천문학의 난제 중 하나인 행성의 형성 및 진화 연구의 근간이 되는 천체이다. 하지만 외계행성은 너무 어두워서 직접 관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관측방법들이 고안되었다. 이들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방법마다 발견할 수 있는 외계행성의 특성이 서로 달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행성의 형성 및 진화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외계행성 표본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표본은 균일하지 않다. 보고된 외계행성 대부분이 특정 방법을 통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천문연구원에서는 광시야 탐색시스템인 KMTNet(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을 활용하여 미시중력렌즈(microlensing)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시중력렌즈는 행성계의 중력을 기반으로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이다. 즉, 행성계 내 중심별의 빛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미시중력렌즈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차별화되는 여러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외계행성 표본 확보 및 행성의 형성과 진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우리 연구진은 우수한 관측장비와 분석기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국제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시중력렌즈 분야를 선도하는 그룹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Nancy Grace Roman Space Telescope와 같은 국외 우주망원경 사업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신입생은 관측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계행성 관련 연구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8. Prof. David Parkinson(davidparkinson@kasi.re.kr) This project is for a PhD or integrated PhD student. In the cosmology group we are looking for enthusiastic and competent PhD candidates to undertake research in the area of cosmological and theoretical astrophysics. The next generation of large-area astronomical surveys will provide new and accurate data for answering such important questions as “what is the nature of the mysterious dark energy?” and “what were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Universe?”  A successful candidate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become involved in two of these surveys,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in the optical, and EMU (the Evolutionary Map of the Universe) in the radio. The project will involve analysing data from these surveys and testing these cosmological models (such as dark energy theories and alternative models of gravity) against this data. The project will also involve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such as Bayesian methods,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providing training in the area of big data analysis, which will be useful both inside astrophysics and external industrial sectors.
21 2022-02
아포피스 근접탐사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공청회
No. 487 일반
아포피스 근접탐사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공청회 - 일시: 2022년 2월 25일(금) 14:00~15:30 - 장소: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대강당(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온라인 링크(ZOOM):https://us06web.zoom.us/j/86064180522 - 온라인링크(YOUTUBE '한국천문연구원' 채널): https://url.kr/suwkj5 - 오프라인 참석자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wvzmFGZ36mMpgMxD7 (오프라인 참석자는 사전등록 링크에 접속 후 신청서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INVITATION 아포피스근접탐사 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공청회 일시 2022년 2월 25일(금) 14:00~15:30 장소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대강당|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ZOOMhttps://us06web.zoom.us/j/86064180522 YouTubehttps://url.kr/suwkj5 주최 및 주관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국방과학연구소 모시는 글 소행성은 미래 자원이자 태양계 탄생의 비밀을 간직한 화석이라고 말합니다. 현재 소행성 탐사는 우주기술역량을 확보한 소수 국가들만 수행하고 있어 그러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가늠하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최근 누리호 발사와 미사일 사거리지침 해제 덕분에 우주에 관한 우리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바로 7년 뒤인 2029년, 지구에 다가오는 아포피스를 탐사하는 사업은 한국의 우주기술 도약을 위한 더 없이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는 이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달 착륙과 소행성 시료채취, 화성탐사를 위한 기술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오늘 공청회를 통하여 사업 주요 내용을 소개 드리고 산·학·연·관 여러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다 나은 사업으로 추진하려고 합니다. 부디 대면, 비대면으로 참석하셔서 고견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이 사업을 위하여 애써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22년 2월 25일한국천문연구원장 박영득 프로그램 아포피스근접탐사 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공청회에 대한 내용으로 시간, 주요내용, 비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간 주요내용 비고 14:00~14:05 개회 손창수 팀장(날리지웍스) 14:05~14:15 인사말 박영득 원장(한국천문연구원) / 신원식 사무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14:15~14:45 사업 발표 최영준 박사(한국천문연구원) 14:45~14:55 휴식 - 14:55~15:25 질의 응답 참석자 15:25~15:30 폐회 손창수 팀장(날리지웍스)
21 2022-02
No. 486 일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산업 진흥을 위해 국내 산업체의 우주탐사 시스템 기술역량을 강화하고자 근지구천체 탐사 기준플랫폼 시스템 설계 기초연구 참여를 공모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1. 사업개요  ㅇ 추진배경 :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산업 진흥을 위해 국내 산업체의 우주탐사 시스템 기술역량 마련 필요  ㅇ 목표 : 근지구천체 탐사용 경량 기준플랫폼 시스템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ㅇ 기간 : 2022. 3. 1. ~ 2023. 2. 28(1년간)   * 필요 시 연구기간 조정 가능    ㅇ 주요 연구내용 : 근지구 천체 탐사임무 요구사항, 주요 탑재체 요구사항, 운영개념, 탐사선 요구사항, 핵심요소기술 분석 및 기준플랫폼 개발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예, 탑재 컴퓨터, 추진시스템 등)  ㅇ 산업체 기초연구 주제    * 아래 주제  I, II 중 하나 또는 두가지 모두 선택    I. 임무계획     - 협력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세부내용 : 표적 천체 선정 및 궤적, 탑재체, 운영개념    II. 탐사선 아키텍쳐     - 협력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세부내용 : 탐사선, 지상국 및 시스템 요소기술  ㅇ 결과물 : 탐사선 및 핵심 구성품에 대한 요구사항 설계(안), 기준플랫폼 요소기술 개발 2. 산업체 참여방법   ㅇ 참여제안서 제출  ㅇ 제출방법 : 이메일 (yjchoi@kasi.re.kr)  ㅇ 관련문의     - 천문연 최영준 (042-865-3266, yjchoi@kasi.re.kr) : 총괄 및 임무    - 항우연 이춘우 (042-860-2676, lcw@kari.re.kr) : 탐사선 시스템  ㅇ 마감 : 2022년 2월 25일 17:00 3. 제안서 작성양식(자유 양식)  ㅇ 업체명 및 연락처  ㅇ 우주탐사에 대한 기업의 중기(~5년) 및 장기(~10년) 비전과 전략  ㅇ 우주탐사 수행실적 및 현재 진행 중인 우주탐사 연구개발  ㅇ 본 연구수행을 위한 투자계획    * 상세 협력방안은 우선 협의대상으로 선정된 업체와의 협의에 따라 진행함 4. 선정평가 기준  ㅇ 뉴스페이스 시대에 국내 우주산업 생채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우주탐사 분야의 기업 비전과 전략(10%)  ㅇ 우주탐사 분야의 활동실적(45%)  ㅇ 연구수행 및 결과물 도출을 위한 투자계획(비용, 일정, 기술 등) 구체성 (45%) 5. 기타   ㅇ 본 연구수행을 위한 비용은 산업체가 부담하며 협력기관은 제안 주제별로 각자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구조이며, 투자비용은 보전되지 아니함
28 2021-12
No. 485 일반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22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겨울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Long-slit Spectroscopy" ■ 대상: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 ■ 일정: 2022년 2월 7일(월) ~ 2022년 2월 11일(금) [5일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진행됩니다(접속경로 등의 세부 정보는 선정된 참가자에 한하여 추후 공지) ■ 인원: 10명 내외 ■ 겨울학교 강의 계획   - 천체분광관측    - IRAF 사용법 및 Long-slit 분광   - 시선속도 / 속도분산 분석   - 방출선 및 흡수선 스펙트럼 분석   - 특강 : 미정 ■ 강사진: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 신청 및 마감: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22년 1월 16일 마감 ■ 선정 및 통보: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 (1월 26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043-422-1108   - 신청접수: soaoedu@kasi.re.kr ■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첨부파일 (2022년 대학생 겨울학교 참가신청서.hwp)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소백산천문대
16 2021-12
No. 484 일반
2021년 한국천문연구원 인권영향평가 자체점검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지합니다.
16 2021-12
No. 483 일반
2020년 한국천문연구원 인권영향평가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지 합니다.
02 2021-12
No. 482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 법적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13조제2항, 동법시행령 제17조제3항 - 제공목적: 한국천문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 제공대상: ㈜리서치랩 - 제공일자: 2021년 11월14일 - 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고객 이름, 소속기관/부서, 직급/직책, 연락처  - 활용시기: 2021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완료시까지 - 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02 2021-12
No. 481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PC와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조사로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고객님께 조사 참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2020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우리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일부 -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PC/모바일을 통한 응답화면 접속) - 사전 전화안내 실시 - 조사기간: 2021년 12월 ~ 2022년 2월 - 주간사업자: ㈜리서치랩 - 조사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객만족도 조사 공동실사단 본 조사는 2007년 4월 1일 시행된「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있고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