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50 RSS
12 2022-10
2023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 발행
No. 500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23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를 발행하였음을 안내드립니다. 2023년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에는 2023년 역서를 통해 생성된 음력, 일·월 출몰시각, 천문현상 등의 정보와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천문정보 대중화 및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해당 파일을 공유하오니, 저작권 관련 유의사항을 준수하여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ㅇ PDF 파일  - 벽걸이형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Gb7BWuEO-sM~.pdf  - 탁상형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Gb7AWuYK-8M~.pdf    *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고객참여-발행물-천문력에도 게시 (바로가기) ㅇ AI 파일  - 벽걸이형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GbrFWuEL_8E~.zip  - 탁상형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GbrEWuMJ_8E~.zip (다운로드가 안되실 경우 링크를 복사하여 주소창에 붙여넣으시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ㅇ 저작권 관련 유의사항(공공누리 제1유형 적용)  - 출처 표시 필요  - 상업적 이용 가능   * 달력면 천문정보에 한해 이용 가능   * '천문력' 명칭으로 전체 사용 불가   * 사진의 저작권은 촬영자에게 있으므로 별도의 이용 동의 없이 사용 불가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타 문의사항은 대국민홍보팀(042-865-3280/dongminj@kasi.re.kr)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천문력2023 ASTRONOMICAL CALENDAR 한국천문연구원 천문력의 구성 월령에 따른 달의 모양 탄생 별자리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음력날짜 (월령) 일·월 출몰시각 일일 천문현상 / 천문소사 용어 설명 용어설명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일·월 출몰시각 태양과 달의 가장 윗부분이 지평선(수평선)에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각, 월출, 월몰 시각에 "··:··" 표시가 된 날은 그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총 외행성과 태양 사이에 지구가 위치하여 태양과 외행성의 시황경 차이가 180°가 되는 현상, 즉 태양-지구-외행성 순으로 위치한 때이다. 내합과 외합 내합과 외합의 시각은 태양과 내행성(수성, 금성)의 시황경이 같게 되는 시각이며, 내행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경우를 내합, 내향성과 지구 사이엥 태양이 잇을 때를 외합이라 한다. 유 지구 관측자가 봤을 때 행성의 겉보기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이다. 최대이각 태양과 내행성의 각 거리가 최대로 되는 각도이며,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동쪽으로 최대 각거리에 있는 경우를 동방최대이각, 서쪽에 있는 경우를 서방최대이각이라 한다. 근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원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다. 월령 바로 직진 합삭·시각으로부터 매일 오후 0시까지의 시간을 일 단위로 표시한것이다. 예를 들어 합삭 시간이 어제 오후 9시였다면 오늘의 월령값은 1이다. 어제 합삭 시간이 오전 9시였다면 오늘의 월령값은 1.5이다. AU(Astronomical Unit)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1.496X1011m)를 말한다. ZHR(Zenithal Hourly Rate) 6.5등성까지 보이느 맑은 밤, 유성의 복사점이 천정에 있다고 가정할 때 1시간동안 한 사람이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유성의 수, 실제로 관측할 수 잇는 것은 이보다 작다. 표지 설명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 ⓒNASA, ESA, CSA, and STScl 지구로부터 약 7,600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는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이라고 불리는 별 탄생 지역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NIRICam) 및 중적외선(MIRI)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차갑고 어두운 먼지 구름 속에 가로막혀서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볼 수 어ㅃㅆ었던, 이제 막 탄생하는 아기별들의 모습들을 선명하게 담고 있다.
11 2022-10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실험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획득
No. 499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의 ‘광학실험실’이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2년 제1회 안전관리 우수연구실’에 한국천문연구원의 ‘광학실험실’이 선정되었습니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는 정부가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 설치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관리 표준모델의 발굴·확산 등을 위해 연구실의 안전관리 수준 및 활동이 우수한 연구실에 대하여 전문가의 심사를 통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그동안 연구실의 안전보건관리 및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고, 그 결과 ‘광학실험실’이 처음으로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실험실’은 이번 인증을 위해 연구실 내부 시설의 안전보건환경 조성과 참여 연구자의 안전보건 의식을 향상 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앞서, 한국천문연구원은 연구실 안전강화를 위해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제정하였고, 안전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왔습니다.
26 2022-09
 2023학년도 UST 전기  입학설명회 진행 안내
No. 498 일반
2023학년도 전기 UST 입학설명회 UST는 과학기술분야 32개 정부출연연구원을 캠퍼스로 활용하여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한민국 유일 국가연구소대학원입니다. UST에서 미래를 향해 꿈을 펼쳐나갈 석·박사 과정 학생을 모집합니다. 참가자 이벤트 사전 신청 후 참가자 전원 1만원 기프티콘 증정 현장 참가자 대상 추첨을 통한 기념품 증정 ※ 사전신청 이벤트는 각 설명회 이틀전 17:00까지 신청자에 한함 신입생 모집 모집분야 과학기술 전분야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UST 혜택 국내 최고 수준의 학생인건비 지급(등록금 지원 별도) 석사 : 최소 135만원 이상 / 박사 : 180만원 이상 (근로계약체결 기준) 국책연구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현장연구 중심교육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장비 활용 해외연수, Young Scienteist 양셩사업 등 차별화된 학생 연구역량 강화지원 4대보험 가입 및 학생연구원 근로계약 체결 ※ 상기 혜택은 향후 변동 가능 신청방법 QR 코드를 스캔하세요 입학설명회 일정 지역별 입학설명회 일정을 설명하는 표 지역 서울 대전 부상 광주 일정 9.28(수) 10.5(수) 10.12(수) 10.14(수) 시간 14시~17시 14시~17시 14시~17시 14시~17시 장소 코엑스 UST KT&G 상상마당 부산 전남대 동문 Moreless 카페 [입학설명회 문의] UST 입학팀 T. 042-865-2423, 2420 / M. pryu@ust.ac.kr ust.ac.kr 미래를 혁신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UST
07 2022-09
No. 497 일반
2023학년도 1학기 UST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 신입생 모집 Big dreams and education to Big science!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에서는 2023학년도 1학기 석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학생인건비: 석사과정 140~186만원/월, 박사과정 190~240만원/월 지급, 기숙사: 대전 외부 기숙사 입주 가능,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 해외연구교류 지원, 학생주도 연구과제: 연 2,000만원이내 등)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우주과학, 천문관측기기개발 분야 등),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참여할 수 있는 대형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신입생들이 졸업 시 연구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권장하는 학위 과정 기간(예, 석박사 통합과정은 6년 이내, 박사과정은 4년 이내) 동안 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관분야 저명 학술지(SCI(E))에 제1저자 논문 2편 이상을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2023학년도 1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다음의 연구 분야들입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문의해 주시고, 기타 일반 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10월 12일부터 11월 1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https://ust.ac.kr/admission.do)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정연길 교수(ykjung21@kasi.re.kr) 미시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외계행성은 천문학의 난제 중 하나인 행성의 형성 및 진화 연구의 근간이 되는 천체이다. 하지만 외계행성은 너무 어두워서 직접 관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관측방법들이 고안되었다. 이들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며,방법마다 발견할 수 있는 외계행성의 특성이 서로 달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행성의 형성 및 진화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외계행성 표본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 지만, 지금까지의 표본은 균일하지 않다. 보고된 외계행성 대부분이 특정 방법을 통해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천문연구원에서는 광시야 탐색시스템인KMTNet(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을 활용하여 미시중력렌즈(microlensing)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시중력렌즈는 행성계의 중력을 기반으로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이다. 즉, 행성계 내 중심별의 빛이 필요 하지 않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미시중력렌즈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차별화되는 여러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외계행성 표본 확보 및 행성의 형성과 진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우리 연구진은 우수한 관측장비와 분석기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국제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시중력렌즈 분야를 선도하는 그룹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Nancy Grace Roman Space Telescope와 같은 국외 우주망원경 사업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신입생은 관측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방법론을 습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계행성 관련 연구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2. 이상성 교수(sslee@kasi.re.kr) 활동은하핵 제트의 자기장 특성 연구 (모집분야: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활동성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은 초대질량블랙홀과 그 주변의 강착원반, 그리고 강착원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플라즈마가 가속 방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론적 제트로 이루어져 있는, 외부은하의 중심부로서, 현재 우리 우주의 가장 활발하고, 강력한 천체라고 할 수 있다. 그 구성요소에서 알 수 있듯이 AGN 연구는 블랙홀 관련 과학, 강착원반 관련 과학, 일반상대성 및 특수상대성 물리학, 그리고 우주론까지 아우르는 가장 광범위한 천체물리학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다(Boettcher 등 2011, Blandford 등 2019). 본 박사과정 연구과제가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질문은 이것이다. 현재까지 AGN관측을 바탕으로 제시되는 AGN의 이론적 모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대론적 제트의 생성과 진화는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제트의 어떤 특성이 제트를 그토록 강력하고 활발하며 거대한 천체현상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도전하는 매우 핵심적인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제트의 형성과 진화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제트가 생성되는 기저부의 자기장의 분포를 규명하는 것이 AGN 모델의 관측적 검증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라는 주제 하에, AGN의 상대론적 제트의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기장에 의한 편광 빛(예, Trippe 2014)을 강하게 방출하는 AGN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팀이 성공한 전략적 AGN 제트 자기장 관측기법으로서, (1) 최첨단 파망원경(KVN, IRAM, JCMT, ALMA 등)을 이용한 다파장 대역 동시 선형편광 관측을 수행하여 제트 내부의 자기장에 의해 방출되는 편광된 싱크로트론 복사의 특성을 규명하고, (2) 선형편광 빛의 편광각의 파장대역별 회전량인 파라데이 회전량 (RM, Faraday Rotation Measure)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 회전량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도출하면, (3) 도출된 RM의 주파수별 변화량을 AGN 제트 모델에서 예측하는 예측치와 비교하여, 편광빛 및 파라데이 회전에 대한 근원적 설명과, AGN 제트 모델의 관측적 검증에 도전할 수 있는 것이다(Lee et al. 2015, Kang et al. 2015, Lee et al. 2016). 본 연구팀은 이를 통해 국내 AGN 제트 연구의 거점을 마련하고, 세계 선도 연구그룹으로 성장할 기틀을 확립하며, 미래를 선도할 후진을 양성한다. 본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참여할 열정적이고 성실하며 우수한 석박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참고문헌: Boetcher, Harris, Krawczynski, Relativistic Jets from AGN, 2011, WILEY-VCHBlandford, Meier, and Readhead, 2019, ARAA, 57, 467  (또는 https://arxiv.org/abs/1812.06025) Kang, Lee, and Byun, 2015, JKAS, 48, 257 Lee, Kang, Byun et al. 2015, ApJL, 808, L26 Lee, Lee, Kang et al. 2016 AA, 592L, 10L Trippe 2014 JKAS, 47, 1 3. 김기태 교수(ktkim@kasi.re.kr) 고질량별 생성 조건 및 기작 연구 - Investigating the formation conditions and mechanisms of high-mass stars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별은 우주의 기본 구성 단위 이다. 별이 성간에 분포하는 수소분자운에서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다양한 질량의 별들이 어떤 조건에서 어떠한 기작으로 생성되는지는 천문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며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별 생성의 기본 과정인 분자운핵의 중력수축, 디스크를 통한 물질 강착, 제트 방출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은하와 성간물질의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양 보다 질량이 8배 이상 큰 고질량별들의 생성 조건과 기작이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대다수 별들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같은지 다른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인의 연구그룹에서는 1) JCMT, NRO 45m, SMA, ALMA 등을 활용하여 고질량별 생성의 조건과 초기 진화 단계에 대한 체계적인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2) KVN/EAVN, VLA, ALMA를 활용하여 고질량 원시성의 디스크-제트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서베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서베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서베이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개개의 성간분자운핵과 고질량 원시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질량별의 생성 조건과 기작 그리고 초기 진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4. 양홍진 교수(hjyang@kasi.re.kr) 역사 천문 기록과 유물 연구(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고천문학(Historical Astronomy)은 역사 문헌 또는 고고 유물과 유적 등에 남겨진 천문기록이나 관련 자료를 찾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다. 기본적으로 천문을 연구하지만, 역사와 고고(Archaeology) 자료를 활용하는 융합학문이기도 하다. 고천문학은 현대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옛 문헌 기록이나 유물, 유산을 연구하기 때문에 역사적 지식을 우선하는 과학사나 천문학사(History of Astronomy) 분야와 차별된 천문학 중심의 연구를 지향한다. 따라서 문헌 기록에 남겨진 태양 활동, 혜성, 유성우, 행성 운동 등 태양계 관련 현상과 우리 은하의 신성과 초신성 폭발 기록 등을 찾아서 현대 천문학적 방법과 지식을 기초로 연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여러 분야의 천문 지식을 활용하기 위한 기본 천문학 지식이 요구된다. 역사와 고고 분야와 협력 연구의 경우, 천체물리학적 계산을 활용한 천체운동 시뮬레이션 계산 결과와 천구 좌표계, 그리고 천체 운행을 반영하여 유물이나 유적의 특징 등을 찾아서 연구한다. 때로는 유물이나 유적이 있는 현장에 방문하여 관련 분야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하게 된다. 우리 역사와 관련된 고고천문 유적은 국내뿐 아니라 한반도 인근의 중국에도 분포하기 때문에 국제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북아 고천문 연 구자들과의 협력 연구도 요구된다. 우리 역사의 고천문 기록과 유산은 북한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이들 자료에 대한 조사와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고천문 연구를 통한 남북한 천문 협력과 연구도 고천문 연구 영역에 포함될 수 있는데 고천문학은 유엔재제 상황에서 최근 남북 천문협력연구주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주제를 폭넓고 다양하게 연구하는 것이 고천문학이다. 현대 천문학에 역사와 고고 등의 인접 학문의 지식을 융합해 고대 천문 유산의 과학적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하거나 과학 유산의 가치를 확인하고 천문을 이용해 역사 고고 자료를 해석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고천문학의 연구 방향이다. 5. 곽영실 교수(yskwak@kasi.re.kr)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In Space Science Division, we are looking for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or integrated-PhD students to undertake research in the area of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 involved in a project to study i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variations, including magnetosphere-ionosphere coupling or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teractions. This project will involve analyzing various kinds of ground-based instruments (e.g., incoherent scatter radar, coherent scatter radar, meteor radar, all-sky camera, scintillation monitor, FPI, etc.), in-situ and remote-sensing observation data from satellites (e.g., SWARM, DMSP, AURA, and upcoming SNIPE), and ground/ space-born GNSS observations. In addition, the project will use the data-assimilation model and physical model to in-depth to deal with the causes of in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variations and the process of magnetosphere-ionosphere coupling or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teractions. 6.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성간, 은하주변 및 은하간물질 연구 (모집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암흑물질을 제외한 보통 물질(Baryon) 중 오직 7%만이 별에 포함되어 있고 93%에 이르는 대부분의 물질은 성간물질, 은하주변물질 및 은하간물질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은하와 우주를 연구함에 있어서 성간 및 은하간물질의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최근 미국이 2020년대에 천문학분야에 중점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분야를 조사한 문서(Pathways to Discovery in Astronomy and Astrophysics for the 2020s; Astro2020)에서는 큰 틀에서 3개의 연구주제를 선정했다. 세 개의 연구주제 중의 하나로 우주 생태계 (cosmic ecosystem) 연구가 포함되어 있고, 성간 및 은하간물질의 연구는 우주생태계 연구주제 중에서 최우선 과제 2개중의 하나로 제시되어 있다. 먼 우주에서 가까운 우주까지 다양한 은하들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이다. 특히, 별탄생의 재료가 되는 성간물질, 그리고 주로 은하평면을 따라 바깥으로 유출되는 물질 및 은하평면에 수직하여 안쪽으로 유입되는 물질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함에 있어서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Astro2020 문서에서는 별, 성간, 은하주변 및 은하간물질의 순환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은하주변 물질을 포함하여 은하주변의 희미하게 보이는 Low Surface Brightness 현상은 새롭게 밝혀질 것들이 많은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이 연구과정에서는 은하 내부 및 은하 주변에서 관측되는 강력한 outflow (또는 외부에서 은하 내부로 유입되는 inflow) 및 우주의 재이온화 시기의 은하간 물질의 특성, 그리고 성간물질 중 불과 1%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은하에서 방출되는 전체 빛 에너지의 약 50%이상을 방출하는 성간먼지에 대한 연구 및 Low Surface Brightness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은하와 우주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다양한 관측자료와 이론적인 모델을 비교하여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더불어 우리는 세계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는 계산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신입생은 자신의 선호도 및 재능에 따라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될 것이며 다양한 이론적인 배경 및 관측자료 해석방법과 수치적인 방법론을 익히고 자료분석, 이론연구를 병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Low Surface Brightness 현상연구를 위한 천문관측 기기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다. 7. Prof. Arman Shafieloo(shafieloo@kasi.re.kr) 모집분야: 석박사 통합과정 또는 박사과정 다중 메신저 천문학을 활용해 우주론과 암흑 에너지 관련 연구를 수행할 지원자를 모집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사이렌이라 불리는 낮거나 중간 정도의 적색편이를 가지는 중력파원들을 이용해 암흑에너지를 탐구하고 허블 상수를 추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이론적인 분석, 시뮬레이션, 중력파원의 전자기파 추적 관측, 데이터 정리 및 분석 등이 요구됩니다. 합격자는 중력파 우주 연구단(Center for the Gravitational-Wave Universe)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연구하게 되며, DESI(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와 Rubin 천문대(LSST) 국제 협력단에도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심층적인 데이터 분석 기법(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회귀 분석 등)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박사 혹은 석박사 통합 프로그램의 주요 부분이 될 것입니다. 8. 한정열 교수(jhan@kasi.re.kr) 모집과정 :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0) 연구 개요  - 천문우주용 관측기기 기술개발을 위한 연마 및 조립정렬 기술 연구  - 천문우주 관측데이터 특성에 따른 최적의 데이터 분석기술 연구  - 천문우주 망원경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1) 연구목표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Tool Influence Function; TIF)를 이해할 수 있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 절차를 이해하며, 조립정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립정렬 공정에 참여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계획을 수립하고 분석할 수 있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의 광기계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하고 중장기적 광학기술 개발 안목을 가지게 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설계 및 해석기술을 이해하며 첨단 광기계기술을 연구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 관련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천문연에서의 연구개발의 novelty를 이해한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연마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정기/비정기 미팅을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킨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절차에 대해 기존 천문연에서의 조립정렬 경험을 이해하며, 기존 자료를 기반으로 새로운 광학계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렬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포맷을 이해하고 해독하며 데이터 가시화를 통해 데이터간 융합정보를 분석하고 정규 팀미팅을 통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한다.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분야의 핵심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하며, 국내외 전문가를 통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 망원광학계의 광학 및 광기계 설계연구에 참여하여 기존 방식의 망원경에서 구현한 기술을 이해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첨단 망원경을 개발한다. 3) 기대결과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 방대한 데이터가 산출되는 시대에 걸맞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적으로반드시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한다.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망원경 광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광기계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광기계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모집과정 : 석사과정 0) 연구 개요  - 천문우주용 관측기기 기술개발을 위한 연마 및 조립정렬 기술 연구  - 천문우주 망원경 광기계 설계 및 해석 연구 1) 연구목표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현황을 이해한다.  - 국내외 첨단 광학계 개발동향을 이해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 절차를 이해하며, 조립정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립정렬 공정에 참여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의 광기계 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한다. 2) 연구방법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반사경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반사경의 연마기술 관련 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이해한다.  - 반사경의 공구영향함수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연마공정 연구를 이해하며 지도교수와 정기/비정기 미팅을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킨다.  - 망원광학계의 조립 및 정렬절차에 대해 기존 천문연에서의 조립정렬 경험을 이해한다.  - 천문우주기술 분야 빅데이터 포맷을 이해하고 정규 팀미팅을 통하여 연구내용을 공유한다.  - 국내외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개발기술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연구소모임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공유한다.  - 천문우주용 대형광학계 광기계 분야의 핵심연구자료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논문발표를 통하여 참고문헌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습득한다.  - 망원광학계의 광학 및 광기계 설계연구에 참여하여 기존 방식의 망원경에서 구현한 기술을 이해한다. 3) 기대결과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반사광학계 개발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한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연마기술을 개발하며, 점차 다양하고 대형화하며 복잡해지는 광학계 개발 시 조립 및 정렬을 적용한다.  -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여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인력 자원을 확보한다.  - 천문우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대형 첨단 망원경 광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이해한다.  -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의 광기계기술을 이해한다. 9. 박재흥 교수(pj@kasi.re.kr) 모집분야: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 This project for direct PhD students is aimed at developing an space infrared spectrograph that can be carried on Lunar Roving Vehicles. This project is based on lunar payload development for KASI space exploration study, and the PhD students will continuously perform the astronomical instrumentation work as an member of the coordinated team over 4 years. Main objective of this spectrograph is finding the water on lunar surface by analyzing some absorption lines in the near-infrared wavelength of 2-4um. The applicants should have basic knowledge on the university physics, opto-mechanic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During this project, the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instrument design, development, testing, and validation. At the end of this project,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be able to lead a space science project including the instrument development.
18 2022-08
2022년 대한민국 국가안전대진단
No. 496 일반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안전大전환 집중안전점검기간 2022년 8월 17일 ~ 10월 14일 국가안전대진단이란? 집중기간을 정해 정부·공공기관·국민 모두 안전점검을 하여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예방활동
12 2022-07
2022 과기정통부 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공모전 안내
No. 495 일반
2022 과기정통부 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공모전 개최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과기정통부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공모전 신청기간 2022.7.11(월) ~ 8.19(금) 공모전 개요 공모주제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관련 현안, 정책 및 행정서비스 기획·개선에 대한 조별 자율 주제 선정*타 공모전/경진대회에서 수상한 실력이 있는 분석과제는 출품 금지 공모대상 과기정통부 본부, 소속, 산하기관 직원*개인 or 팀(3인 이하) 공모전 신청방법 주제, 기회, 내용 등 기재하여 팀 대표 1명이 제출(~8. 19일까지) 제출서류 참가신청서, 참가서약서, 개인정보이용 동의서, 기획보고서(ppt30쪽 이내) 제출방법 이메일 : sjmsi20@korea.kr 공모전 평가방법 1차서류평가(8월 중) ▶ 2차 발표평가(순위결정) 9월9일(예정) 시상계획 시상별 상금 및 수량, 합계, 포상을 설명하는 표 구분 상금 수량 합계 포상 최우수상 300,000 1 300,000 과기정통부 장관 우수상 200,000 2 400,000 장려상 100,000 4 400,000 합계 7 1,100,000 * 상금은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공모전 추진일정 공모 7.11~8.19 사전교육 7.29 예선평가 및 결과 발표 8.22~8.24 전문가컨설팅(비대면) 8.25~9.2 발표 및 시상식 9.9(금)(예정) 공모전 문의 과기정통부 데이터 분석과제 담당자 이메일 : sjmsi20@korea.kr 전화 : 044-202-4476
22 2022-06
No. 494 일반
2022학년도 KASI 학부생 견학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대한민국 천문우주과학의 성지, 한국천문연구원(KASI)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생생한 연구 현장에서 여러분의 꿈을 발견하세요!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은 2022학년도 KASI 학부생 견학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과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연구시설 및 실험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최고 석학들의 생생한 연구 현장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견학 프로그램]   - 일시: 8월 17일 오전 10시 30분 - 5시(점심도시락 제공)   - 장소: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 대상: 대학 학부생 (1순위: 3, 4학년 및 졸업예정자, 2순위: 기타 재학생)   - 모집인원: 30명   - 접수기간: 6월22일 00시 - 7월31일 17시   * 7월 22일부로 접수 마감 되었습니다.  선정되신 분들에게는 별도로 이메일을 통해 안내사항 발송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 (hradmin@kasi.re.kr)   - 참가자 선정: 접수기간 내 신청자 중 우선순위에 따라 선착순 30명 모집      * 선정여부 개별 이메일 공지 및 수업공결협조요청 공문 발송 (필요시)   - 견학 프로그램 2021학년도 KASI 학부생 견학 프로그램에 대한 일정으로 시간, 일정, 비고(장소 및 강연자)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간 일정 비고 10:00 – 10:45 도착 및 견학안내 은하수홀 소극장 10:45 - 10:50 한국천문연구원장 환영말씀 박영득 원장 10:50 - 11:00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소개 황정아 대표교수 11:00 - 11:30 고천문 전시물 견학 세종홀 1층 및 중앙정원 11:30 - 12:00 우주환경 감시실 세종홀 3층 우주물체 감시실 세종홀 3층 인공위성 탑재체 제작실 장영실홀 2층 12:00 - 13:00 점심 식사 13:00 – 14:30 KVN 견학 장영실홀 2층 대덕전파망원경 견학 대덕전파 KMTNet 관측실 견학 광학실험실, 빛마름동 14:30 - 15:00 휴식 은하수홀 소극장 15:00 - 17:00 KASI 연구분야 소개 및 UST안내 은하수홀 소극장담당교수 UST 재학생과의 대화 은하수홀 소극장학생대표단 17:00 견학 종료   - 견학 참가자 지원: 대전 외 지역 참가자 전원에게 왕복 교통비 실비 지급(단, 증빙 서류 제출 필수, 최대 지급 한도: 구간별 KTX 일반석 또는 고속버스 금액 내)
16 2022-06
No. 493 일반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22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여름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 “CCD Photometry with IRAF” ■ 대상 :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2, 3학년 이상, 또는 측광학 이수자)     ※ 여름학교를 이수한 참가자는 2023년 소백산천문대 겨울학교 우선 선정 대상자에 포함됩니다 ■ 일정 : 2022년 7월 19일(화) ~ 2022년 7월 22일(금) [3박 4일간] ■ 인원 : 12명 내외 ■ 여름학교 강의 계획   - 천체측광관측   - Linux 및 IRAF 기초   - Aperture / PSF Photometry   - 천체의 광도곡선 및 색등급도 작성   - 특강 : 미정 ■ 참가비는 소백산천문대에서 전액 지원(개인교통비는 제외) ■ 강사진 :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 신청 및 마감 :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22년 6월 24일 마감 ■ 선정 및 통보 :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 (7월 8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 043-422-1108   - 신청접수: soaoedu@kasi.re.kr
15 2022-06
(카드뉴스)이해충돌방지법 시행 안내
No. 492 일반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이 2022년 5월 19일부로 시행됩니다.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왜 제정됐을까요? 1. 공직자의 사적 이해관계와 결부된 부패사건 지속 발생 - 가족채용 비리, 퇴직자 전관예우 등 새로윤 유형의 부패 통제 필요 2. 선출직 공직자의 이해충돌을 실효적으로 관리하기 여려움 - 국회의원, 지자체장 등의 사익추구행위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 장치 필요 3. 국제사회의 눈높이에 맞는 공직자 행위기준 정립 -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 OECD 가입국은 대부분 이해충돌방지 법제도 확립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Q. 공직자의 이해충돌이란? A. 공직자가 직무를 수해할 때에 자신의 사적 이해관계가 관련되어 공정하고 청렴한 직무수행이 저해되거나 저해될 우려가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사례 공공기관장이 자신의 배우자에게 공사를 발주하는 경우 고위공직자가 자신이 소속된 공공기관에 자신의 자녀를 특별채용토록 지시하는 경우 인허가 업무 담당 공직자가 자신의 동생에 대한 인허가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Q.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기능은? A. - 이해충돌 사전 예방·관리! - 부당한 사익 이익 추구 방지! - 공직자의 공정한 직무수행 보장! - 공공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 확보! 이해충돌방지법이 시행되면 공직자는 떳떳하게 직무수행을 하고 국민들은 공정한 직무수행을 신뢰할 수 있게 됩니다.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Q.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내용은? A. 직무수행 중에 발생한 이해충돌 상황에서 공직자들이 해야 할 5개의 신고·제출 의무와 하지 말아야 할 5개의 제한·금지 행위를 정하고 있습니다. 신고·제출 의무 1. 사적 이해관계자 신고·회피신청 2. 공공기관 직무관련 부동산 보유·매수 신고 3. 고위공직자 민간부문 업무활동 내역 제출 4. 직무관련자와의 거래 신고 5. 퇴직자 사적 접촉 신고 제한·금지 행위 1. 직무 관련 외부활동의 제한 2. 가족 채용 제한 3. 수의계약 체결 제한 4. 공공기관 물품 등의 사적 사용·수익 금지 5. 직무상 비밀 등 이용 금지 10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Q.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 적용대상은? A. 공무원, 공직유관단체 및 공공기간의 임직원, 국·공립학교 교직원, 공무수행시민* * 각종 위원회 위원 및 공공기간의 권한을 위탁받은 시민 이해충돌방지규정 위반자 제재 이해충돌방지규정을 위반한 경우 징계처분 직무상 비밀이용 금지 규정 위반 : 형사처벌 직무상 비밀을 이용해 재물 또는 재신상 이익을 췯그한 공직자 :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 원 이하의 벌금, 재신상 이익 몰수·추징 공직자로부터 직무상 비밀을 부당하게 취득해 재신상 이익을 취득한 제3자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재신상 이익 몰수·추징 직무상 비밀을 서적 이익을 위해 이용한 공직자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그 밖의 이해충돌 방지규정 위반 : 1천만원 ~ 3천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이해충돌방지법 알아보기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은 한 단계 더 청렴하고 공정한 공직하외의 밑거름입니다. 누구든지 이해충돌방지법 위반행위를 알게 된 경우국민권익위원회, 해당 공공기관과 감독기관, 감시원,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위반행위 신고자 비밀 철저히 보장, 최대 30억 원 보상금 지급 위반행위 신고청렴포털(www.clean.go.kr), 방문, 우편 신고상담☎ 1398, 110(국번없이) 국민권익위원회
30 2022-05
No. 491 일반
2021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 종합등급: 3등급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