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감시의 원리인 사진판독에 의한 우주물체의 추적 원리는 간단합니다. 우주물체와 별(항성)의 영상은 필름에 동시에 나타나나 연속적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면 우주물체와 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주물체 주위의 몇 개의 기본 별들로부터 우주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면 우주물체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우주물체에 대한 광학감시는 가시광에서의 천문관측과 매우 유사합니다. 인공우주물체와 자연우주물체 모두 태양빛을 반사하여 가시광 영역에서 빛을 내기 때문입니다. 지상의 관측자에게 얼마나 밝게 보일 것인가는, 우주물체와 태양 및 관측자와의 거리, 우주물체의 크기, 그리고 우주물체의 재질에 따른 반사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천문연이 촬영한 우리나라 인공위성의 궤적
천문연이 촬영한 우리나라 상공의 정지궤도 영역
천문연이 촬영한 천리안위성의 궤적과 미확인위성의 궤적
천문연이 촬영한 각종 인공위성의 궤적
유성의 광학관측 사례와 자료 분석 개념도
전천감시용 복합카메라 운영개념
전천감시용 복합카메라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