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우주감시 관측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소행성 관측자료 분석을 통하여 소행성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소행성의 자전에 대한 정밀한 연구는 Yarkovsky효과 등을 규명하여 정밀궤도의 산출을 가능케 합니다. 특히 지구에 근접(close approach)하여 위험을 줄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을 발견, 목록화 하고 후속 관측을 통한 정밀 궤도력 확보로 그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PHA(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와 같은 우주위험 후보군은 계속적인 감시를 통해 미발견된 후보를 발견하고 지속적인 후속관측으로 정밀한 궤도정보를 확보하여 우주위험을 분석해야 합니다.
연구주제
- 소행성 시계열 관측을 이용 자전 분석
- 빠르게 근접하는 소행성 정밀 측광관측
- 분광, 색 관측을 통한 소행성 특성 분석 → 소행성 분류, 기원
- PHA (potentially Hazard Asteroid) survey
- 유성체 감시네트웍을 이용한 우주감시
- KMT-Net, LSST 등의 광시야 망원경을 이용한 sky survey
- KEEP North 과제- kirkwood excitation exile 연구
- 태양계 진화
목성 궤도 근처까지 소행성 분포(NASA JPL)
NEO 발견 추세 통계 (NASA JPL)
소행성센터 웹페이지(IAU 산하 MPC)
자연우주물체 정밀 궤도력 관리 (NASA JPL)
자연우주물체 충돌 스케일: Torino scale (Space guard central node (ESA affiliated), It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