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9 RSS
22 2008-01
한국천문연구원 ‘2008 블랙홀 겨울학교’ 실시
No. 289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오는 1월 24일(목)부터 1월 26일(토)까지 대덕연구단지내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에서 ‘2008 블랙홀 겨울학교’를 실시할 예정이다.   ○ 한국천문연구원,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연구센터, 우주 진화와 구조 천체물리연구센터가 후원하는 ‘2008 블랙홀 겨울학교’는 블랙홀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이나 이 분야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 또는 국내 저명 학자들의 강의로 구성된 이번 겨울학교는 그 전반부는 한국천문연구원, 그리고 후반부는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연구센터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 올 해로 4번째 개최되는 블랙홀 겨울학교는 2002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블랙홀 관련 분야를 전공한 대학원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어왔다. 특히 이번 겨울 학교에서는 블랙홀 천체물리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수치 계산 방법에 대한 강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김종수 박사 (042-865-3218)
08 2008-01
한국천문연구원 ‘소형 망원경 개발동’ 완공
No. 28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 이하 연구원)은 1m 급 이하의 천체망원경 개발을 위한 ‘소형 망원경 개발동’을 완공하고, 1월 9일 오후 3시에 준공식 행사를 가진다.     ○  소형 망원경 개발동은 연구원측이 지난해부터 추진하여 온 1m급 이하 천체망원경 개발을 위한 연구동으로 연면적 386.25m2(약 117평)이며, 광학실험실 등 5개의 연구실과 제작된 망원경을 조립·시험 할 수 있는 공작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 1) 소형망원경개발동 전경     ○ 한국천문연구원 윤한배 천문정보센터장은 이번 망원경 개발동 완공으로 지난해 12월 체결한 산·연 협동연구개발 사업(2007년 12월 14일 연구원 보도자료 참조)이 더욱 탄력을 받아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윤한배 천문정보센터장 (042-865-3321)  
31 2007-12
한국천문연구원 ‘올해의 KASI인 상’ 발표
No. 28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7년 올해의 KASI인 상’에 김강민 책임연구원(사진)을 선정하였다.     ○ 김강민 연구원은 보현산천문대 1.8m망원경에 장착된  고분산 분광기(BOES) 개발에 성공하여 국내 분광관측 연구가 획기적으로 발전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또한 김강민 연구원이 개발한 분광관측시스템을 이용한 국내외 천문학자들의 SCI 관측논문은 매년 5-6편에 이르러 국제적으로도 그 성능이 입증되었다. 김 연구원은 최근 BOES의 성능을 배가한 ‘고분산 편광 분광기(BOESP)’도 개발하였다.   ○ 김강민 연구원은 88년에 입사하여 보현산 천문대 준공과 함께 대통령 표창을 받은 바 있다. 시상은 12월 31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리며 상패와 부상이 수여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042-865-3220)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042-865-2005)    
27 2007-12
No. 28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새해 1월 1일 주요 지역의 해뜨는 시각을 아래 표와 같이 발표하였다.   ■  2008년 새해 떠오르는 첫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은 독도이며, 육지에서는 울산 간절곶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다. 반면, 2007년 12월 31일의 지는 해를 가장 늦게까지 볼 수 있는 곳은 소흑산도이며 육지에서는 전라남도 진도군의 심동리이다.   ■ 이 자료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각 지역의 해발 0m를 기준으로 한 계산 값이며 인근의 산 등 높은 곳의 경우 더 빨리 뜨는 해를 볼 수 있다.   ■ 발표된 지역 이외의 곳에서 해가 뜨고 지는 시각을 알고 싶은 경우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www.kasi.re.kr) 내의 지식마당(일출일몰시각계산, http://kasi.re.kr/knowledge/solun_riset.aspx)에서 직접 알아볼 수 있다.   2008년 1월 1일 각 지방의 일출몰 시각   지역 일  출 일남중 일  몰 시 분 초 시 분 초 시 분 초 독도 7 26 20 12 15 40 17  5  7 울산간절곶 7 31 18 12 25 41 17 20 10 울산방어진 7 31 19 12 25 21 17 19 29 기장삼성리 7 31 33 12 26 11 17 20 56 부산태종대 7 31 36 12 26 46 17 22  3 부산해운대 7 31 38 12 26 31 17 21 31 감포수중릉 7 31 49 12 25 11 17 18 40 포항석병리 7 32  9 12 24 47 17 17 32 포항장기곶 7 32 22 12 24 52 17 17 28 포항강사리 7 33 34 12 24 49 17 16 10 울진망양정 7 35 24 12 25 29 17 15 40 성산일출봉 7 36  9 12 35 22 17 34 41 동해추암 7 37 47 12 26 28 17 15 16 동해망상 7 38 23 12 26 44 17 15 12 강릉정동진 7 38 53 12 26 58 17 15 10 강릉경포대 7 39 43 12 27 29 17 15 21 양양낙산 7 41 42 12 28 35 17 15 34 서울남산 7 46 43 12 35 11 17 23 45 대전 7 41 38 12 33 28 17 25 25 대구 7 35 38 12 28 40 17 21 48 광주 7 40 36 12 35 28 17 30 27 인천 7 47 36 12 36 20 17 25 11       각 지방의 일출몰시각(2007년 12월 31일)   지역 일   출 일남중 일   몰 시 분 초 시 분 초 시 분 초 인천백령도 7 56 55 12 43 56 17 31  3 인천월미도 7 47 51 12 36 16 17 24 47 경기장화리 7 49 13 12 37 11 17 25 14 보령대천 7 45  0 12 36 36 17 28 18 태안만리포 7 47 47 12 38  5 17 28 29 충남모항리 7 47 47 12 38 10 17 28 38 안면도꽃지 7 45 57 12 37 12 17 28 32 변산반도 7 43 25 12 36 49 17 30 19 전남심동리 7 41 44 12 38 17 17 34 57 소흑산도 7 44 53 12 42 19 17 39 51 해남 7 39 40 12 36 33 17 33 32 제주용수리 7 38 40 12 37 59 17 37 24 제주서귀포 7 36 51 12 36 23 17 36  1 제주마라도 7 37 45 12 37 35 17 37 31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26 2007-12
'꿈돌이 우주학교' 캠프 실시
No. 285
■ 한국천문연구원 · 국립중앙과학관 · 꿈돌이랜드 · 대전교육과학연구원 · 엑스포과학공원 등 5개 기관은 지난 10월 2일 꿈돌이 사이언스 존(Kumdori Science Zone) 발전협의회를 결성한 바 있다. ■ 발전협의회는 꿈돌이 사이언스 존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첫 공동사업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꿈돌이 우주학교(교장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장)’ 1일 캠프를 오는 12월 30일(일)부터 실시한다. ■ 참가한 어린이들은, 주간에는 엑스포과학공원에서 꿈돌이와의 만남 · 첨단과학관 관람 · 행성으로의 여행을, 꿈돌이랜드에서 자유이용 · 석식을 즐기게 된다. 야간에는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보며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천문학자와 아마추어 천문가들로부터 재미있는 우주 이야기를 듣게 된다. ■ 자기부상열차가 개통되면 국립중앙과학관으로 가서 대형천체관을 관람한 후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천문대까지 둘러보는 여정이 추가될 예정이다. ■ 자세한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으며, 참가신청은 꿈돌이랜드 홈페이지 www.kumdori.co.kr 또는 전화 (042)862-4000를 이용하기 바란다.
21 2007-12
유엔 총회, ‘2009 세계 천문의 해’ 선포
No. 284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박석재)은, 유엔(사무총장: 반기문)이 어제(2007년 12월20일) 개최된 제62차 총회를 통해 2009년을 ‘세계 천문의 해’로 선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본 결의안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천체망원경을 발명한지 4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국제천문연맹과 유네스코의 제안으로 발의되어 유엔 총회에서 통과되었다.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이번 유엔 선언에 따라 천문우주과학과 관련된 여러 행사를 관련 단체와 함께 진행하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준비하기 위해 한국 대표를 맡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김호일 박사는 “우리는 한국이 현대 사회의 중심 축 가운데 하나인 과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유엔이 지정한 ‘2009 세계 천문의 해’ 결의에 동참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우리 천문학계에서는 천문 우주과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하였다.   □ 전 세계 천문학계는 지난 몇 년간 ‘2009 세계 천문의 해’와 천체망원경 발명 400주년을 축하하는 기념행사를 준비해 왔다.  망원경이 최초로 천문학적으로 활용된 것은 우리 인류사에 있어서 기념비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인류의 세계관이 획기적으로 변했고, 우주의 크기에 대한 이해가 급격하게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 총재인 카트린 세자르스키(Catherine Cezarsky) 박사는 “ ‘2009 세계 천문의 해’는 지구촌 모든 국가가 현재 진행 중인 과학기술 혁명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할 것입니다.”라고 말하였다.   □ 이번 ‘2009 세계 천문의 해’는 우주의 기원에 관한 연구, 그리고 지구촌 시민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인류 문화유산 지정과 같은 평화적 목적을 통해 전 지구적인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2009 세계 천문의 해’는 전 세계 99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공식 웹 사이트인 www.astronomy2009.kr과 국제 공식 웹 사이트인 www.astronomy2009.org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ileLink0#   '2009 세계 천문의 해' 참가국 현황 ( 99개국. 노란색)   ************************************************************************************ *문의 :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위원회          www.astronomy2009.kr    한국위원장 김호일 박사 (hikim@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이서구 연구원 (sglee@kasi.re.kr)   *관련 자료 : www.webhard.co.kr 아이디 : kasi3226 비번 1234            ‘IYA2009 -세계천문의 해’ 폴더   *************************************************************     첨부 1   IAU란?  #FileLink1#     IAU(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는 국제천문연맹의 약자로 1919년 7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설립되었다. IAU에는 총회, 행정위원회, 사무국 등이 있으며 11개 과학 분과와 40여 개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1922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제 1회 총회가 열린 이후, 매 3년 마다 회원국을 순회하며 총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 26차 총회는 2006년 체코 프라하에서 열렸으며 명왕성의 행성 지위 퇴출 결정으로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IAU는 총회와 지역학술회의, 분야별 심포지엄 등 정기회의를 개최하는 한편, 신진 천문학자를 위한 국제학교와 천문학 발전을 위한 교육과정을 마련해 전 세계 천문학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천문학회가 지난 1973년 시드니 총회에서 단체회원으로 가입하였다.  IAU에는 전 세계 63개 회원국에서 약 9,8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97명의 회원이 있다. 사무국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해 있다.   첨부 2   2009년 세계 천문의 해 UN 선언문   유엔 총회는, 국제적으로 특정 연도를 기념하는 방안에 대하여 규정한 2006년 12월 20일자 UN 결의안 61/185에 의거,   유구한 역사를 지닌 기초학문으로서 타 과학 분야는 물론, 폭넓은 응용 분야에서 발전의 기반이 된 천문학의 학문적 위상과, 천체관측이 과학, 철학, 문화는 물론, 우주에 대한 기본개념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한편, 일반인들의 천문학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 관련 정보와 지식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그 사회의 문화유산의 일부인 하늘과 행성, 별들에 대한 전설, 신화, 전통을 발전시켜 왔다. 2005년 10월 19일, 유네스코 총회의 33 C/25 결의 채택을 축하하며, 2009년 세계 천문의 해 선포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표명하는 동시에, 천문학의 가치와, 천문학이 인류의 발전과 지식 증진에 기여해왔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2005년 10월 3일~21일,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33회 총회 회의록 제 1권, 5장   지난 2003년, 국제천문연맹은 세계 천문의 해 지정을 제안한 이후 사업 수행을 지원해왔으며, 향후 가장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사업주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세계 천문의 해는 천문학과 기초과학이 우리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당위성과,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제고하는 한편, 우리가 천문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지적인 자극을 통해서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을 촉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세계 천문의 해를 통해서 우리는 과학관과 학교 등에서 공식 ·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지원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은 물론, 과학에 대한 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2009년 세계 천문의 해 선포를 결의한다. 2. 세계 천문의 해와 관련하여 유네스코를 총괄기구로 지정하고, 유네스코가 UN 산하 각종 기구와, 국제천문연맹, 유럽남천문대, 전 세계 관련 학회 및 그룹들과 공동으로 1년간 해당 사업을 기획,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한편, 사업예산은 민간 영역을 포함한 기부를 통해 조성될 수 있도록 한다. 3. 세계 천문의 해를 통해서 일반인들의 천문학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한편, 그들이 천체관측에 대해서 새로운 지식 습득과 체험이 가능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UN과 산하 회원국 등 관련 기구 및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한다.   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2009 The General Assembly, Recalling its resolution 61/185 of 20 December 2006 on the proclamation of international years, Aware that astronomy is one of the oldest basic sciences and that it has contributed and still contributes fundamentally to the evolution of other sciences and applications in a wide range of fields, Recognizing that astronomical observations have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philosophy, culture and the general conception of the the universe, Noting that, although there is a general interest in astronomy, it is often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gain access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he subject, Conscious that each society has developed legends, myths and traditions concerning the sky, the planets and the stars which form part of its cultural heritage, Welcoming resolution 33 C/25 adopted by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on 19 October 2005,1 to express its support for the declaration of 2009 as the 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with a view to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stronomical sciences and their contribution to knowledge and developmen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33rd session, Paris, 3-21 October 2005 (Pari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vol. 1, Resolutions, chap. V.     Noting that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as been supporting the initiative since 2003 and that it will act to grant the project the widest impact, Convinced that the Year could play a crucial role, inter alia, in raising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stronomy and basic sci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moting access to the universal knowledge of fundamental science through the excitement generated by the subject of astronomy, supporting formal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as well as through science centres and museums and other relevant means, stimulating a long-term increase in student enrolment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upporting scientific literacy, 1. Decides to declare 2009 the 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2. Designates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as the lead agency and focal point for the Year, and invites it to organize, in this capacity, activities to be realized during the Year, in collaboration with other relevant entities of the United Nations system,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the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and astronomical societies and groups throughout the world, and, in this regard, notes that the activities of the Year will be funded from voluntary contributions, including from the private sector; 3. Encourages all Member States, the United Nations system and all other actors to take advantage of the Year to promote actions at all levels aimed at increasing awareness among the public of the importance of astronomical sciences and promoting widespread access to new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14 2007-12
휴보의 기술로 중형망원경 국산화
No. 28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12월 13일(목) 오후 4시 (주)천문우주기획과 1m급 중형망원경 국산화를 위한 산·연 협동연구개발협약을 체결하였다.   #FileLink0#   ● 이번 산·연 협동연구개발 사업은 한국천문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여 경기도 장흥 송암천문대와 전남 곡성 섬진강천문대에 설치한 60cm급 반사망원경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성능이 더욱 우수한 1m 급 이하 중형망원경을 국내 산업체와 협동연구 사업으로 개발, 국산화함으로써 국내 천체망원경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 그동안의 추진 경과는, 지난 5월의 공모 공고에 응모해온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6월 중에 1회의 제안서 설명회와 2회의 기술심사를 거쳐 (주)천문우주기획을 제 1순위 우선협상 기업으로 선정하였다. (주)천문우주기획과는 7월부터 12월까지 협동연구개발에 따르는 제반 조건들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를 거친 끝에 최종적으로 산·연 협동연구개발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 더욱이 이번 협약에 의해 개발될 중형망원경은 휴보 로봇 개발로 유명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오준호 교수가 참여하여 제어 및 자동화 부분에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게 될 것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이 협동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휴보 로봇 기술이 접합된 세계적 수준의 1m 급 중형 천체망원경 제작기술을 국산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 042-865-3321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05 2007-12
한국천문연구원 이대희 박사 세계 3대 인명사전에 수록
No. 28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우주과학연구부의 이대희 박사가 세계 3대 인명 연감 가운데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 후’ (Marquis Who‘s Who) 과학기술 인명사전(Science & Engineering)의 10주년 기념판(2008~2009)에 등재된다고 발표하였다.   ●  이대희 박사는 과학기술위성 1호의 과학탑재체인 원자외선분광기(FIMS,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개발에 참여하여 디지털 전자부 및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하였다. 또한 FIMS 관측결과를 분석하여 원자외선 영역에서의 우리 은하 별 탄생 지역(성간운)을 연구하여 자외선 영역에서의 우주지도를 완성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 이 박사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 탑재체인 ‘다목적 적외선 카메라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Caltech)에서 미항공우주국 NASA 및 일본항공우주국(JAXA)과 함께 국제협력프로젝트인 CIBER(적외선 우주배경복사 로켓 관측 실험) 과제에 참여하고 있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이서구  (042-865-2005) 우주과학연구부 이대희박사 (dhlee@kasi.re.kr)   #FileLink0# 이대희 박사      
22 2007-11
No. 281
: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11월 23일(금)과 24일(토) 양일간 천문우주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국의 대학생들을 초청하여 1박 2일 동안 연수를 실시한다. ○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 홀에서 진행되는 이번 연수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접하기 어려운 천문 우주과학의 여러 분야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각 분야의 전망을 소개함으로써 전공 대학생들의 자부심과 소양을 높이고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는 이번 연수에는 천문우주과학 관련 학과 및 지구과학 전공 학과에서 약 70여명의 학부 학생이 참가한다. ▣ 연수 프로그램 11월 23일 (금) 시  간 제  목 강  사 10:00 ~ 10:30   도착 및 등록   10:30 ~ 11:30   개회식 및 특별강연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장 11:30 ~ 12:30   우주천문학  진 호 박사 12:30 ~ 13:30   점심식사   13:30 ~ 15:00   태양 및 우주환경  봉수찬 박사 15:00 ~ 16:30  우주측지연구 및 GNSS 소개  조중현 박사 16:30 ~ 17:00   휴  식   17:00 ~ 18:30   전파천문학  민영철 박사 18:30 ~   저녁식사       11월 24일 (토) 시간 제목 비고 10:00 ~ 11:00   천체물리학  김종수 박사 11:00 ~ 12:00   전통천문학  양홍진 박사 12:00   폐회 및 정리   그림 1. 2006년, 제1회 천문우주과학 전공 대학생 초청연수 그림 2. 연수 모습
21 2007-11
제1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자 발표
No. 280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조청원)은 지난 11월 10일 개최한 제1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자를 발표하였다.   ◯ 청소년들의 별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각 학교에서 보유한 과학 기자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천체관측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취지로 개최된 이 행사는 대상으로 부총리겸 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 대상 수상자는 고등부에서는 대전 한밭고등학교(지도교사:이덕수)가 수상하였고, 중등부에서는 대전 동산중학교(지도교사: 진병훈)가 차지하였다. 각 부문별 수상자 명단은 아래 표와 같다.  고등부 대상 한밭고등학교 금상 반포고등학교 남원여자고등학교 은상 대성고등학교 진성고등학교 동상 대전전민고등학교 심인고등학교 원광고등학교 춘천여자고등학교 상지여자고등학교   중등부 대상 대전동산중학교 금상 대전중학교 부곡중학교 은상 강원중학교 대전어은중학교 동상 고덕중학교 대청중학교 강화여자중학교 양구중학교 대전전민중학교   ◯ 시상은 11월 24일 오후 2시 국립중앙과학관 천체관에서 진행되는 제7회 한국아마추어천문학 축제한마당에서 진행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안영숙 팀장(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연구원 (042-865-2005)   첨부 : 대상 수상자들 사진 (부총리겸 과기부장관상) 10매     #FileLink0# 대상 한밭고등학교 이덕수 교사 #FileLink1# 대상 한밭고등학교 박주현 #FileLink2# 대상 한밭고등학교 신혜림 #FileLink3# 대상 한밭고등학교 안윤섭 #FileLink4# 대상 한밭고등학교 천세윤 #FileLink5# 대상 동산중학교 지도교사 진병훈 #FileLink6# 대상 동산중학교 김종훅 #FileLink7# 대상 동산중학교 박종효 #FileLink8# 대상 동산중학교 신승민 #FileLink9# 대상 동산중학교 홍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