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3 RSS
07 2006-12
제5회 한국아마추어천문학 축제 한마당
No. 23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회장 심우훈)는 사이언스 코리아 건설과 아마추어 천문학의 저변 확대를 위해 12월 9일 오후 3시부터 6시까지 대덕특구 내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에서 ‘한국아마추어천문학 축제 한마당’ 행사를 개최한다.   O 이 행사는 아마추어천문인의 증가와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해 8월에 처음 개최되어 이번이 5회째를 맞는다. 이번 행사에서는 작년에 이어 아마추어천문활동을 통해 천문학 분야의 저변확대 및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아마추어천문인을 선정하여 수상하는 아마추어천문인 공로상과 천문우주관련 홈페이지 경진대회의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지난 8월 시행한 2006년도 한국아마추어천문학 발전을 위한 위탁연구과제의 결과도 발표될 예정이다.   O 아마추어천문인과 시민천문대 및 천문시설 운영관계자 그리고 천문학과 아마추어 활동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의 참석 가능하며, 행사는 무료로 진행된다.   #FileLink0# 그림 1. 제4회 한국아마추어천문학 축제 한마당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042-865-3321)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042-865-2005)  
28 2006-11
양홍진 박사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No. 23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 천문정보센터의 양홍진 박사가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에서 주관하는 제16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는 매년 관련 학회에 수상후보자를 추천받아 지난 일 년 동안 해당 과학기술분야의 우수논문 한편을 선정해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고 있다. 양홍진 박사는 한국천문학회의 추천을 받아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게 되었으며, 시상식은 11월 30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시행된다.    ○ 양 박사는 한국의 과거 천문자료를 이용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우리나라 역대 유성우 기록을 조사하여 오랜 시간의 변화 특성을 발표하였으며, 고려사에 기록된 물병자리 R 변광성의 특이 폭발 현상 기록을 연구해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특히, 물병자리 변광성의 연구결과는 유럽천문학회지의 표지 그림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번 우수논문상은 물병자리 변광성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선정되었다.   #FileLink0#   #FileLink1#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선임기술원 이동주  (042-865-3226)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선임연구원 양홍진  (042-865-2001)    
22 2006-11
No. 23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제5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을 오는 24일(금요일) 오후 8시에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에서 개최한다.   ○ 이번 문화마당은 일반강연으로 별의 탄생과 우주의 크기에 대해서 이야기할 예정이다. 우리 태양과 같은 별도 태어나고 죽는 일생을 가지고 있으며 별과 별 사이의 거리, 은하와 은하 사이의 거리를 통해 우주의 거대함을 생각해 보는 시간으로 추천 연령은 중학생 이상이다.   ○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은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에 개최하며 과학강연, 공연, 영상 상영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진행된다. 모든 행사는 사전예약이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20 2006-11
손봉원 박사 세계인명사전 등재
No. 230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박석재) KVN 사업그룹의 손봉원 박사가 최근 세계 3대 인명사전 가운데 하나인 미국의 인명연감 ‘마르퀴즈 후즈 후’ (Marquis Who's Who) 과학기술 인명사전 (Science & Engineering) 2006~2007 (9th Ed.) 판과 새로운 리더 (Emerging leaders) 2007 (1st Ed.) 판에 각각 등재되었다.   ○ 손 박사는 밀리미터파용 다중 빔 (Multi-beam) 수신기를 위한 편광관측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거대 전파은하 주변에서 은하단보다 큰 규모의 자기장 구조를 연구하였다. 참고로, 다중 빔 수신기는 한꺼번에 보다 넓은 하늘을 관측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전파 수신기를 뜻한다. 또한, 손 박사는 밀리미터파 초장거리 간섭계 (VLBI) 편광관측기법을 처음 개발했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격변변광 은하핵 (OVV AGN)의 제트에 관한 편광관측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 손 박사는 한국천문연구원 KVN 사업그룹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파장 동시수신 VLBI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인 KVN 사업에 참여, VLBI 대기 위상보정기법 개발과 활동성 은하핵 관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FileLink0# 사진1.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KVN 사업그룹 손봉원 박사 (02-2012-7522)
20 2006-11
No. 229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11월 24일 한국천문연구원 본원(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서 “KVN 워크숍: 메이저와 별 탄생 영역” (KVN Workshop: Masers and Star formation regions)을 개최한다.    ○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사업그룹은 현재 건설 중인 21m 전파망원경 3대를 이용한 연구 활성화와 저변 확대를 위해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관련 연구 분야에 대한 워크숍을 계속 개최하고 있다. 지난 여름에 열린 만기형 별의 메이저 워크숍(7월)과 활동성 은하핵(Active Galactic Nuclei)에 대한 워크숍(8월)에 이어, 이번에는 KVN의 주요 연구 대상 중의 하나인 별 탄생 지역의 메이저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와 KVN을 이용한 효과적인 연구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마련한다.    ○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과 일본에서 메이저와 별 탄생 지역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천문학자와 VLBI 관측 연구를 하는 천문학자가 주로 참석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이지윤 박사 (02-2012-7524)    
18 2006-11
“한일간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6차 회의” 개최
No. 22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울산대학교에서 일본의 국립천문대와 함께, 양 국가의 전파천문학 분야의 발전 및 국제 공동 연구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제6차 한-일 VLBI 회의”(2006 Korea-Japan VLBI Meeting)를 개최한다.    ○ 한국과 일본은 각각 고분해능의 전파천문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VLBI 관측 기술은 지구상의 천문관측장비 가운데 가장 높은 분해능으로 우주를 연구할 수 있는 기술로 전파천문 분야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의, 측지, 지구 물리 연구에도 활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를 건설(한국) 또는 운영(일본)하고 있으며, 이들 양 국가간의 연구 장비를 묶어서 활용하게 되면 지름 2,000 km급에 해당하는 거대한 전파망원경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일 양국은 미국이나 유럽의 대형 전파천문 관측 장비와 맞설 수 있는 동아시아권의 연구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2001년부터 지금까지 본 회의를 통해 기술/정책분야에서 많은 연구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 이번 6차 회의에는 한국천문연구원 약 20인, 일본 국립천문대 약 15인의 전문가가 참석하여 총 25편의 연구 발표를 통해, 양국간 최첨단 관측시스템의 호환성과 문제점 분석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열띤 토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 한편 본 회의가 개최되는 울산대학교는 국내에 설치될 3개 전파천문대(연세대, 울산대, 탐라대) 가운데 가장 먼저 21m전파망원경이 구축될 장소로, 이를 기념하여 초장기선 전파간섭계시스템과 관련된 한국, 일본의 전문가들 이외에도 기술자문을 위해 원로급 인사(일본, 모리모토 마사키 박사) 및 정밀 대기보정 관측기술 전문가(독일 막스프랑크 연구소, 로이 알란 박사)도 초청하였다. 이번 6차 한일간 VLBI 정기회의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주관하며 울산대학교가 협찬하였다.   #FileLink0# 그림 1. 한국우주전파관측망 구성도   #FileLink1# 그림 2. 일본의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시스템 VERA의 구성도   #FileLink2# 그림 3. 울산 관측소의 망원경 건설 모습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이지윤 박사 (02-2012-7524)    
15 2006-11
No. 22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11월 18일(토)과 19일(일) 양일간 천문우주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을 초청하여 1박 2일간의 연수를 실시한다.   ○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에서 진행되는 이번 연수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접하기 어려운 천문학 여러 분야의 연구 현황을 설명하고 각 분야의 전망을 소개함으로써 전공 대학생들의 자부심과 소양을 높이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현재 학부과정에 천문우주과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은 전국적으로 7개 대학교이며 이번 연수에는 7개 대학교에서 약 120명이 참가한다.   ■ 연수 프로그램 11월 18일 (토)   시간 도착 내용 비고 13:30 도착 및 등록     14:00 KASI 소개 연구원 형황과 조직, 한국천문연구원의 주요 사업소개   15:30 한국천문연구원장 특강     16:00 17:00 고천문학 강좌 한국의 천문학 전통과 유물   18:30 우주측지연구 강좌 LAB 소개 포함   19:00 20:00 저녁식사       11월 19일 (일)   시간 도착 내용 비고 10:00 전파천문학 강좌 전파천문학 강좌 Lab 소개   11:00 12:00 점심식사     13:00 태양우주환경 강좌 태양우주환경 강좌 Lab 소개   14:00 15:00 우주과학연구 강좌 NEO 위성탑재체 강좌 Lab 소개   16:00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    (042-865-332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09 2006-11
수성의 태양면 통과 영상 촬영
No. 22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늘 오전 04시 12분부터 진행된 수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을 보현산천문대 태양플레어 망원경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 이번 수성의 태양면 통과 영상은 짙은 구름과 비로 인해 연속적인 영상을 얻을 수 없었으며, 구름사이로 나온 태양을 촬영하여 총 9장의 영상을 관측하였다.   #FileLink0# 그림 1. 수성의 태양면 통과 영상. 수성에 의해 나타나는 검은 윤곽의 크기는 태양의 약 1/200으로 매우 작다.      ○ 각 영상의 관측시각은 아래와 같다.         상좌(上佐) : 08시 28분 21초         상중(上中) : 08시 45분 13초         상우(上下) : 08시 46분 10초         하좌(下佐) : 08시 46분 43초         하중(下中) : 08시 47분 10초         하우(下下) : 08시 47분 46초    ○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2003년 5월 7일 이후, 약 3년 만에 발생한 것으로 21세기 동안에 총 14번 발생하지만, 2016년과 2019년에 일어나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고, 26년 뒤인 2032년에나 다시 관측할 수 있다.    ○ 참고로 금성의 태양면 통과는 2012년 6월 6일과 2117년 12월 11일에 볼 수 있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042-865-3228)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동주   (042-865-3226)     #FileLink1#   #FileLink2#   #FileLink3#   #FileLink4#   #FileLink5#   #FileLink6#   #FileLink7#   #FileLink8#   #FileLink9#      
07 2006-11
제 4 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
No. 225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제4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을 오는 10일(금요일) 오후 8시에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에서 개최한다.     ○ 이번 문화마당은 일반강연 순서로써, 천체 사진 촬영 방법에 대해 알기 쉽게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천체망원경과 일반 카메라렌즈를 활용하여 촬영한 자료가 디지털 처리를 통해 더욱 아름다운 영상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추천 대상은 천체사진에 관심이 많은 중학생 이상이며, 모든 행사는 사전예약이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FileLink0# 그림 1. 제2회 금요문화마당 (박석재 원장 강연)     ○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은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에 개최하며 과학강연, 공연, 영상 상영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진행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06 2006-11
No. 224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전국적으로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인 시민천문대 등 천문관련기관들의 상호협력을 위하여 각 기관 운영자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전국 지방천문과학관 워크숍』을 개최한다.   O  11월 8일(수요일) 오후 2시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에서 진행하는 이번 워크숍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여러 천문기관이 모여 상호 교류와 서로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최된다.  이 워크숍에는 전국적으로 운영중인 6개의 지방천문과학관(시민천문대) 운영진과 건립이 진행 중인 지방천문과학관 관계자, 국ㆍ공립 청소년수련원 소속의 천문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건립한 천문시설 운영진들이 참가한다.    O 지방천문과학관은 과기부의 지원으로 대전, 영월, 김해, 전남 장흥, 서귀포, 경북 영양 등 6개 기관이 개관하여 운영중이고 무주 등 8개의 지방천문과학관이 건립 중에 있다.  이 외에도 경북 예천 등 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건립한 천문대, 시립/구립 문화센터 등에 소속된 천문대 등을 합하면, 약 30여 곳이 일반인을 위해 운영되고 있고 이러한 천문시설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O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러한 천문관련기관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여 전국천문관련기관의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행사 프로그램   시간(오후) 제목 내용  비고 2:00~2:30 접수 및 등록     2:30~3:00 개회식 한국천문연구원장 인사말 천문(연) 기술지원팀 소개   3:00~5:00 천문관련기관 소개 각 천문관련 기관 활동소개   5:00~6:00  자유토론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    (042-865-332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