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9 RSS
30 2006-03
이집트 개기일식 원정 관측 대성공
No. 189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이집트 엘살룸(El Sellum, Egypt)에 일식 원정 관측팀(팀장 : 박영득)을 파견하여 3월 29일 일어난 ‘개기일식’을 성공적으로 관측하였다.   #FileLink1# #FileLink2# (그림 설명)  2006년 3월 29일 12시 40분(이집트현지시각)에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린 개기일식의 백색광 관측 사진   ? 한국천문연구원 ‘2006 개기일식 원정팀’(박영득, 전영범, 장비호, 김연한, 이동주, 최성환)은 3월 29일, 이집트 서부 엘살룸(EL Sellum)에서 성공적으로 개기일식을 관측하였다.   ?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6시 20분에 시작한 일식은 8시 59분에 종료되었다.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7시 38분부터 약 4분간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 있었다(사진참조). 이번 관측은 이집트 현지의 날씨가 매우 좋아 지난 2001년 잠비아 관측에 이은 성공적인 일식 원정 관측이었다.   (표 설명) 이집트 개기일식의 진행상황    진 행 상 황       이집트 현지 시각 태양고도 우리나라 시각  식   의    시   작  3월 29일 11시 20분 04초 58˚ 0' 22"  3월 29일 18시 20분 04초  개 기 식 의  시 작       29일 12시 38분 02초 61˚ 34' 34"      29일 19시 38분 02초  개 기 식 의  종 료       29일 12시 41분 59초 61˚ 30' 31"      29일 19시 41분 59초  식   의    종   료      29일 13시 59분 54초 53˚ 51' 53"      29일 20시 59분 54초    ? 위의 사진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3월 29일 오후 7시 40분에 촬영한 개기일식의 백색광 관측 영상으로 태양 상층대기인 코로나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모습으로부터 코로나의 자기장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 오전 9시 40분(평양, 원산 지역)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2009년에는 7월에는 우리나라 내에서는 부분일식 밖에 보이지 않지만, 배를 타고 남쪽바다로 나가면 황홀한 개기일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의 우리나라 개기일식은 1887년 8월 19일에 있었다.   첨부자료 : 개기일식의 중요성(첨부).hwp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장 문용재 박사 (042-865-3249, 016-686-6234)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민병희 연구원   (042-865-2044)    
28 2006-03
No. 18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조청원) 등 7개 기관(아래 참조)은 과학의 달을 맞이하여 12개 시도  교육과학연구원, 9개 공?사립 천문대 등을 포함한 총 28개 천문기관과 연계하여  ‘2006 대한민국 별 축제’를 개최한다.   □  가장 많은 기관이 참여하는 대전 축제의 경우, 4월 8일(토요일)과 9일(일요일)에 국립중앙과학관과 대전교육과학연구원(주간), 꿈돌이랜드와 엑스포과학공원(야간) 등지에서 개최된다.   □ ‘2006 대한민국 별 축제’는 달, 토성, 화성 등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관측행사, 로켓 모형 등의 전시회, 조경철 박사 등 여러 과학자의 과학강연, 별 음악회, 과학블록 만들기, 퀴즈대회 등 각 지역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 본 행사 기간동안 전국 대부분의 행사장 입장은 무료이나 일부 사설기관은 사전예약이나 이용료를 확인해야 한다. 자세한 행사 내용과 기관연락처는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as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주최기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조청원),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회장  심우훈),      한국우주과학회(회장  안병호), 한국우주소년단 (총재  이상희),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  한국천문학회(회장  안홍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열)[이상 7개 기관, 가나다 순]   대한민국 별 축제 참여 기관 및 행사 안내   지역 주최기관 날짜 행사명 장소 연락처 대 전 계룡산자연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꿈돌이랜드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시민천문대 엑스포과학공원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소년단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8,9 2006 대한민국 별축제   국립중앙과학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 엑스포 과학공원, 꿈돌이랜드   042-865-2005 (www.kasi.re.kr) 대전시민천문대 4/18~4/23 과학의달 별축제 대전시민천문대 042-863-876 (star.metro.daejeon.kr) 서 울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4/15,16 한낮에 즐기는 우주여행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02-881-3000 (www.ssp.re.kr) 4/1 가족천문교실 4/8, 4/22 천체관측 동아리 관측교실 4/3~4/30 일일탐구교실 부 산 부산광역시과학교육원 4/7  천체관측 및 천체관측회 부산광역시과학교육원 051-753-9853~5 (www.bise.go.kr) 광 주 광주광역시과학교육원 4/20 화성 토성관측/ 메시에 목록 관측 광산구 학생 본량 야영장 062-230-3501 (http://gise.gen.go.kr) 인 천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4/28 가족단위  천체관측 행사 인천교육과학연구원 032-880-0757 (www.edulib.re.kr) 경 기 경기도과학교육원 4/6,7  행성축제 경기도 과학교육원 031-250-1708 (www.kise.re.kr) 양평 중미산천문대 4월 매주 금-토요일 2006 행성축제 경기도 양평 중미산천문대 031-771-0306 (www.astrocafe.co.kr)     지역 주최기관 날짜 행사명 장소 연락처 강 원 강원도교육 과학연구원 4/18~21 과학주간 행사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033-252-5732 (www.keric.or.kr) 덕초현 천문인마을 4/1,2 메시에 마라톤 강원도 횡성군 천문인 마을 033-342-9023 (www.astrovil.co.kr) 충 북 충북교육 과학연구원 4/3,4 4월 천체관측 교실 충청북도 교육과학연구원 043-224-4202 (www.cbesr.or.kr) 4/21 과학의 달 별축제 서당골 수련원 천문대 4/8, 22 엄마, 아빠 서당골 천문대로 별 보러 가요 서당골 청소년 수련원 천문대 043-542-0981~5 (www.seodanggol.co.kr) 충 남 충남교육 과학연구원 4/3 충남 별의축제 부여(부여중학교) 042-582-0064 (www.edus.or.kr) 4/5 아산  4/7 연기  전 북 전북교육 정보과학원 4/7 가족과 함께하는 별자리 여행 전북 교육정보과학원 063-250-3715 (www.cein.or.kr) 전 남 전남교육 과학연구원 4/13 야간천체관측 전라남도 교육과학연구원 061-330-2103 (www.jeri.or.kr) 경 북 경북과학교육원 4/28 가족단위 천체관측교실 경상북도 과학교육원 054-249-9986~9 (http://www.ksei.or.kr) 재)예천천문 과학문화센터 4월 중 천체관측회 및 천문우주과학강의 예천 별천문대 054-654-1710 (www.portsky.net) 경 남 경남교육 과학연구원 4/4,5 2006년 별의축제 경상남도 교육과학연구원 055-269-0731 (www.gnise.re.kr) 김해천문대 4월 중 토성축제 및 찾아가는 시민 천체관측회 김해천문대, 시내 전역 055-337-3785 (www.astro.gsiseol.or.kr) 월성 청소년 수련관 4/1.29 천체관측회 월성 청소년수련관 055-945-1913 (www.moonstar.or.kr)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3220)  홍보사업팀    이서구 연구원(042-865-2005) sglee@kasi.re.kr    
27 2006-03
이집트 개기일식 원정 관측 -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 개기일식을 보러 가자 -
No. 18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이집트 엘살룸(El Sellum, Egypt)에 일식 원정 관측팀(팀장 : 박영득)을 파견하여 3월 29일 17시 20분부터 21시(한국시각)까지 일어나는 ‘2006 개기일식’ 현상을 관측할 예정이다.    ○ 일식이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달이 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리게 되는데, 이 중 해의 전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개기일식이라 한다.   #FileLink0# a지역에 관측자가 위치할 경우, 지구의 관측자는 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b, c에 관측자가 위치할 경우, 달은 태양의 일부만을 가려 부분일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d의 지역에 관측자가 위치할 경우, 달의 겉보기 크기가 태양의 겉보기 크기보다 작아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여 금환일식이 일어난다.    ○ 2006년 3월 29일에 발생하는 개기일식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이번 개기일식은 브라질의 동부해안에서 처음 시작한다. 이 그림자는 대서양을 지나 아프리카의 가나(Ghana)에 도착하고, 나이지리아(Nigeria), 니제르(Niger), 리비아(Libya), 이집트(Egypt)를 통과하여 북동쪽으로 계속 진행한다. 개기일식은 지중해, 중앙아시아를 거쳐 북 몽골(Mongolia)에서 해질녘에 끝나게 된다.   #FileLink1# 한국천문연구원 개기일식 웹페이지(http://www.kasi.re.kr/Eclipse/)    ○ 이에 한국천문연구원은 개기일식 원정대(박영득, 전영범, 장비호, 김연한, 이동주, 최성환)를 이집트 서부 엘살룸(El Sellum)에 파견하여 일식의 전 과정을 관측할 예정이다. 이집트 현지에서의 개기일식은 3월 29일 오전 11시 20분부터 오후 2시(이집트 현지시각)까지 진행되며,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오후 6시 20분부터 오후 9시까지이다. 실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시간은 오후 7시 38분부터 42분까지 약 4분 동안 진행된다.    ○ 우리 원정대는 개기일식 동안에 백색광 관측, 백색광 편광관측, 내부 코로나(5303 파장) 관측, H-alpha 편광관측을 동시에 수행하여 코로나의 특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이집트 현지에서 관측되는 개기일식의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 개기일식을 위한 전용 웹페이지(http://www.kasi.re.kr/Eclipse/)를 개설하였다.      진 행 상 황       이집트 현지 시각 태양고도 우리나라 시각  식   의    시   작  3월 29일 11시 20분 04초 58˚ 0' 22"  3월 29일 18시 20분 04초  개 기 식 의  시 작       29일 12시 38분 02초 61˚ 34' 34"      29일 19시 38분 02초  개 기 식 의  종 료       29일 12시 41분 59초 61˚ 30' 31"      29일 19시 41분 59초  식   의    종   료      29일 13시 59분 54초 53˚ 51' 53"      29일 20시 59분 54초   #FileLink2#    ○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개기일식은 1887년 8월 19일, 금환일식은 1948년 5월 21일에 있었다. 다음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은 2035년 9월 2일 오전 9시 40분(평양지역 통과)과 2041년 10월 25일 9시(원산지역 통과)에 각각 일어난다. 또한 2009년에는 7월에는 우리나라 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배를 타고 남쪽바다로 나가면 황홀한 개기일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첨부자료 : 개기일식의 중요성 및 진행상황(첨부).hwp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장 문용재 박사(042-865-3249)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민병희 연구원(042-865-2044)
23 2006-03
개그맨 이승환 별 홍보대사 위촉
No. 18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6년 3월 22일 ‘갈갈이 삼형제’의 ‘느끼남’으로 명성을 떨친 이승환 사장을 별 홍보대사로 정식 위촉하고 위촉패를 수여하였다(사진).   #FileLink0#    ○ 이승환 사장은 평소 과학을 사랑하는 개그맨으로서 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제작사인 (주)에듀몬 대표이사도 맡고 있다. 최근에는 KBS ‘신나라 과학나라’ 같은 과학 프로그램에만 출연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재능방송에서 어린이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고 있는 개구리 ‘야랑이’는 바로 이 사장이 탄생시킨 캐릭터다.      ○ 이승환 홍보대사는 첫 업무로 오는 4월 8일(토)부터 9일(일)까지 한국천문연구원 등 10개 기관이 공동주최하는 대전 행사에서 활약할 예정이다(자세한 행사 내용은 3월 22일자 보도자료 참조).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042-865-3321)              홍보사업팀 이서구(042-865-2005), sglee@kasi.re.kr
22 2006-03
No. 185
□ 국립중앙과학관 등 대전광역시 소재 10개 기관(아래 참조)은 과학의 달을 맞아 청소년 및 일반인의 천문 우주과학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2006 대한민국 별 축제’ 행사를 개최한다.    ○ 이 행사는 2006년 4월 8일(토)과 9일(일) 양 일간 주간에는 국립중앙과학관과 대전교육과학연구원에서, 야간에는 꿈돌이랜드와 엑스포과학공원에서 진행된다.    ○ 과학의 달 4월이 오면 여러 기관이 독립적으로 별 축제를 주최하였기 때문에 대전에서만도 일주일동안 무려 세 번이나 열린 적도 있었다. 이를 발전적으로 통합하고 행사를 확대하기 위하여 올해는 10개 기관이 공동 주최하였다. 여기에 대전광역시와 대전광역시교육청,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의 후원으로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대형 별 축제(Astrofest)를 준비하였다.    ○ 주최측 관계자는, 이러한 대규모 별 축제가 과학도시 대전의 힘을 세계에 보여주고 대전 시민의 자부심을 더욱 강하게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밝혔다.    ○ 첫 날(8일) 개그맨 출신의 별 홍보대사 이승환사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개막식 프로그램에서는 ‘돌아온 꿈돌이쇼’, ‘불꽃놀이’ 등이 진행되며, 이 외에도 달, 토성, 화성 등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관측행사, 로켓 모형 등 전시회,조경철 박사 등의 과학강연, 별 음악회, 과학블록 만들기, 퀴즈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 행사기간동안 모든 행사장의 입장은 무료이며 특히, 시민들의 편리한 행사참여를 위하여 지하철역 (종합청사역 3번 출구 부근)에서 행사장 입구까지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다.   ※ 주최기관  계룡산자연사박물관 (관장 조한희), 국립중앙과학관 (관장 조청원), 꿈돌이랜드 (사장 장세일),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원장 윤춘영), 대전시민천문대 (대장 김기환), 엑스포과학공원 (사장 조명식),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장 심우훈), 한국우주소년단 (총재 이상희),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박석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백홍열) [이상 10개 기관, 가나다 순]       행사 프로그램   1. 4월 8일(토) 프로그램     행사 시간 장소 비고 주간 야간 공통 전시물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시물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계룡산자연사박물관 천체사진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한국천문연구원 주간 블록 만들기 14:30~15:30 꿈돌이랜드 썰매장   과학 강연 1 14:30~15:20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강당 국립중앙과학관 별자리 탐험 1 13:20~14:00 국립중앙과학관 천체관 8일 오전 11시부터 각 회차별 입장권 배부 (배부장소 : 천체관 입구)   과학강연 2 14:20~15:00 한국천문연구원 별자리 탐험 2 15:20~16:00   별 음악회 1 16:20~16:50   과학강연 3 17:10~17:50 한국천문연구원 야간  천체 관측 1 18:00~21:30 엑스포과학공원 행사장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도전 골든별 1 18:00~19:00 꿈돌이랜드 알비레오광장   별음악회 2 19:00~19:3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개회식 19:30~20:0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불꽃놀이 별음악회 3 20:00~20:3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초청공연 학생천체관측대회 19:30~21:30 엑스포과학공원 행사장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과학강연 4 20:00~20:30 꿈돌이랜드 알비레오광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강연 5 20:30~21:00 꿈돌이랜드 알비레오광장  조경철박사   2. 4월 9일(일) 프로그램     행사 시간 장소 비고 주간 야간 공통 전시물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시물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계룡산자연사박물관 천체사진 관람 10:00 ~ 21:30 꿈돌이랜드 특설전시장 한국천문연구원 주간 OX퀴즈 13:00~13:50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앞   블록 만들기 14:30~15:30 꿈돌이랜드 썰매장   과학 강연 6 14:00~14:50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강당 한국천문연구원 별자리 탐험 3 14:20~15:00 국립중앙과학관 천체관 9일 오전 11시부터 각 회차별 입장권 배부 (배부장소 : 천체관 입구)   별자리 탐험 4 15:20~16:00   별 음악회 4 16:20~16:50   과학 강연 7 17:10~17:50 한국천문연구원 야간  천체 관측 2 18:00~21:30 엑스포과학공원 행사장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도전 골든별 2 18:00~19:0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별 음악회 5 19:00~19:3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꿈돌이 귀환쇼 19:30~20:00 꿈돌이랜드 가든스테이지 불꽃놀이 과학강연 8 20:00~20:30 꿈돌이랜드 알비레오광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강연 9 21:00~21:30 꿈돌이랜드 알비레오광장 대전시민천문대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042-865-3321)              홍보사업팀 이서구(042-865-2005), sglee@kasi.re.kr
14 2006-03
국내 연구진, 목성급 행성 검출에 이어 해왕성급 행성 검출
No. 184
□ 한국 연구진(충북대 한정호 교수, 한국천문연구원 박병곤 박사, 오하이오 주립대 안덕근 대학원생)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이 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하여 목성급 행성을 발견한 데 이어, 불과 9개월 만에 그보다 200배나 작은 질량을 가진 해왕성급 행성을 검출하는 개가를 올렸다.    ○ 이번에 발견된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13배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170여 개의 외계행성 중에서 질량이 네 번째로 작은 것이다. 이 행성은 태양계로부터 8,0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태양질량의 0.59배 정도 되는 중심별로부터 지구-태양 거리의 약 2.7배 정도 떨어져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중력렌즈현상이란 별을 관측하는 도중 두 개의 천체가 관측자의 시선방향에 겹쳐 놓이게 되는 경우, 앞에 놓인 별의 중력 때문에 뒤의 별에서 나오는 빛이 휘어져 관측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른 것이다.    ○ (그림 1)에서 멀리 떨어진 별이 A에서 C로 이동하면서 중력렌즈 현상을 겪게 되면 이 별의 밝기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별이 A의 위치에 있을 경우, 그 별의 밝기는 A'과 같다. 그러나 별이 이동하여 B의 위치로 오면, 중력렌즈현상을 일으키는 별에 의해 빛의 경로가 휘어지고, B'과 같이 밝기가 증가한다. 특히 중력렌즈현상을 일으키는 별이 행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 배경별이 행성의 존재를 알리는 독특한 신호를 발생시켜, 행성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FileLink0# 그림 1. 중력렌즈현상.    ○ 중력렌즈 행성탐사 프로젝트(μ-FUN)는 한국을 포함해 미국, 뉴질랜드 연구진이 참여하여 현재까지 4년간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들은 미국, 칠레, 뉴질랜드에 분포되어 있는 1m급 망원경을 이용하여 중력렌즈 현상을 겪은 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하여, 2005년 5월에 목성급 질량을 가진 행성을 검출하여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이번에 검출된 해왕성급 행성은 2005년에 검출된 목성급 행성보다 2백배나 작은 질량을 가진다. 따라서 그 만큼 검출이 어려운 행성이다.   #FileLink1# 그림 2. 우리은하 중심의 일부분으로, 실제 관측된 영상이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곳에 중력렌즈현상을 겪은 별이 있다.   #FileLink2# 그림 3. 렌즈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그림 2의 사각형 부분). 왼쪽 위 패널은 중력렌즈 현상을 겪기 이전이며, 다음 패널들은 이후 중력렌즈 현상에 의해 별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 이번 행성 검출은 미국 애리조나 소재 2.4m MDM 망원경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행성신호가 발생하던 시점에 다른 천체를 관측 중이던 안덕근 대학원생이 관측 요청을 받은 후, 능숙한 솜씨로 3시간 동안 무려 1,000회에 이르는 높은 빈도와 정밀도로 관측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매우 작은 행성신호를 검출하였다. 이번 발견과 관련한 논문은 천문학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천체물리학회지(Astrophysical Journal)에 제출되었다.   #FileLink3# 그림 4. 이번에 발견된 해왕성급 행성의 상상도.    ○ 현재 외계행성을 찾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가까운 장래에는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험이 계획되고 있다. 중력렌즈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훨씬 적은 경비가 드는 지상관측을 통해서도 지구와 같이 작은 질량을 가진 행성들을 대량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현재 중력렌즈 연구 분야에서는, 관측에 사용되고 있는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번에 검출된 행성보다 10배 이상 가벼운 지구형 행성을 대량으로 검출하려는 노력이 한국 연구진의 주도 하에 진행되고 있다. 가칭 지구사냥(Earth-Hunter) 프로젝트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3대의 2m급 망원경을 남반구의 남아프리카, 칠레, 뉴질랜드에 위치시켜 24시간 행성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FileLink4# #FileLink5# #FileLink6# 그림 5. 충북대학교 한정호 교수 한국천문연구원 박병곤 연구원 오하이오주립대 안덕근 대학원생   -------------------------------------------------------------------------------- □ 문의 : 충북대학교 한정호 교수 : 043-261-3244(연구실), cheongho@astroph.chungbuk.ac.kr              한국천문연구원 박병곤 박사 : 042-865-3207(연구실), bgpark@kasi.re.kr
27 2006-02
한국천문연구원 - 계룡산자연사박물관 MoU 체결
No. 18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계룡산자연사박물관(관장 조한희)과 21일 오전 11시 계룡산자연사박물관에서 양 기관의 공동 발전을 도모하고, 유익한 장기적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상호 업무협력 협정(MoU)을 체결하였다.    ◯ 본 협약은 과학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과학교육을 위한 각종 시설의 활용 및 지원과 자연탐구 및 체험 등 과학 교육프로그램의 공동개발·운영을 골자로 한다. 또한 학술회의나 강연회 등을 공동주최하고 천문관련 시설의 공동 활용과 정보교류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보급 및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가 천문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내 자연사박물관중 최대 규모인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의 협정체결은 과학문화의 활성화와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협약의 첫 단계로, 한국천문연구원이 매년 4월 과학의 달에 실시하는 별축제를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을 포함해 9개 기관과 공동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안영숙 팀장(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이동주 연구원(042-865-3226)
09 2006-02
No. 18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국가천문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도 달력제작 및 생활천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07년 정해년(丁亥年)의 월력요항을 발표하였다.    ○ 2007년은 정해년(丁亥年), 돼지의 해로 단군기원 4340년이 된다. 2007년은 52일의 일요일과 15일의 법정공휴일(설날, 추석 연휴 포함)을 합하여 총 공휴일 수는 67일다. 그러나 법정공휴일인 설날(2월 18일)이 일요일과 겹치므로 실제 공휴일 수는 66일이다. 이것은 2006년의 실제공휴일 수인 66일과 같다.    ○ 2일이 연속되는 휴일은 2회로 신정인 1월 1일(월)과 어린이 날인 5월 5일(토)이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고, 3일 연휴는 1회로 설날 연휴인 2월 17일∼19일(토, 일, 월)이 있다. 추석 연휴인 9월 24일∼26일(월, 화, 수)은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어 4일 연휴이다.    ○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기관인 경우에는 위의 총 공휴일수에 52일의 토요일이 더해져 총 공휴일수가 119일이 되고, 토요일과 일요일이 겹치는 공휴일이 3일이므로 실제 공휴일수는 116일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3일이 연속되는 휴일은 2회로 신정인 1월 1일(월)이 전년도 토,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고, 설날 연휴인 2월 17일∼19일(토, 일, 월)이 있다. 또한 추석 연휴인 9월 24일∼26일(월, 화 수)은 토, 일요일과 연결되어 5일 연휴가 된다.   ※ 2007년 월력요항 다운로드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안영숙 (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민병희 (042-865-2044)              한국천문연구원 민원전화 (042-865-3332)
06 2006-02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으로 구상성단에서 새로운 유형의 천체 발견
No. 18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 광학천문연구부의 전영범, 김승리 연구원 등은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하여 늙은 별의 집단인 구상성단에서 새로운 유형의 변광성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 (ApJ Letter 2006, 636, L129 : Astrophysical Journal Letter, 저자: 전영범, 김승리 (한국천문연구원), 이명균(서울대학교), 이호(한국교원대), 이재우(세종대학교))에 게재하였다.    ○ 이 변광성은 식(蝕) 현상에 의해 변광하는 식쌍성과 맥동(脈動) 현상에 의해 변광하는 맥동 변광성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특이한 변광성으로, 현재까지 젊은 별에서만 약 30여개 정도 발견되었으며, 나이가 많은 구상성단에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 특히 이 변광성은 1950년대에 처음 발견된 청색낙오성의 기원이 쌍성의 물질 이동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중요한 관측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어서 연구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 구상성단은 별이 수만에서 백만 개 이상 밀집되어 있으며, 나이가 아주 많고 (약 100억년 이상), 우리 은하의 바깥부분인 헤일로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천체이다.    ○ 이번 연구는 은하면에 가까운 M71 구상성단의 청색낙오성 영역에서 식 현상에 의해 변광하는 준접촉 식쌍성 QU Sge가 맥동하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 (그림 1)은 새로운 특성이 발견된 QU Sge 변광성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별의 색으로부터 푸른색을 띄고 있는 청색낙오성의 일원임을 알 수 있다. 준접촉 식쌍성은 (그림 2)와 같이 한 별에서 근접한 별로 물질 이동이 일어나고 있는 천체이다.   그림 1. 구상성단 M71에 속한 QU Sge 변광성의 모습         그림 2. D. Mkrtichian (ARCSEC, 세종대/오데사대학교, 우크라이나)에 의해 이론적으로 만들어진 준접촉 쌍성계의 맥동하는 변광성의 모형도    ○ 관측 결과인 (그림 3)의 광도 변화 곡선을 보면 식변광 모습이 두드러지게 보이고, 3.8일의 주기를 가진 이 식 현상에 의한 곡선을 제거하면 그림 안쪽에 나타낸 것과 같이 0.03일의 짧은 주기의 맥동 변광 모습이 잘 드러나게 된다.   그림 3. 식변광 모습과 맥동변광 모습    ○ 맥동 변광의 모습은 큰 진폭을 가지는 식변광 모습에 감춰져서 정밀관측이 안되면 찾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이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변광성은 아직까지 그 기원이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은 청색낙오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발견이며, 이러한 발견이 우리의 1.8m 망원경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더 큰 의의가 있겠다.    ○ 청색낙오성은 1953년에 샌디지(Sandage)에 의해 구상성단 M3에서 발견된 이후 3000개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기원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별은 질량이 클 경우 에너지 소모가 훨씬 활발하여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나이가 100억년 이상인 구상성단에서 발견되는 청색 낙오성의 경우는 질량에 비해 진화가 매우 늦게 진행되고 있는 매우 특이한 별로써 (나이가) 불과 수 억년에 불과한 진화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진화 경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별과 별의 충돌이나 쌍성의 진화과정에서 물질 유입에 의해 하나의 별로 합쳐져서 새로 만들어진 별인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 최근 연구에서는 밀집도가 큰 성단의 중심부 지역에서는 별이 충돌에 의해 합쳐지고, 성단의 외곽부에서는 성단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쌍성 진화과정에서 별이 질량 유입에 의해 하나의 별로 합쳐져서 만들어졌다는 이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번 연구는 두 번째 이론의 직접적인 관측적 증거가 될 수 있다.   표 1. 새로 발견된 변광성의 특성 천체이름  QU Sge (구상성단 M71) 천체종류  맥동변광을 하는 준접촉 알골형 식쌍성 천체위치  적경 (RA) : 15h 53m 49.3s  적위 (Dec) : 18° 45′43″ 거리  13,000 광년 평균 밝기   = 15.240 등급 평균 색   - = 0.442 등급   첨부 : 용어 설명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연구부 보현산천문대 전영범 박사 : 054-330-1001, ybjeon@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연구부 소백산천문대 김승리 박사 : 042-865-3252, slkim@kasi.re.kr   첨부 : 용어설명 1) 식쌍성 (eclipsing binary) 서로의 중력에 의해 묶여져 회전하는 쌍성계에서 두 별이 우리의 시선방향으로 서로 겹쳐 가려지게 되면, 이 식(食)에 의해 전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식쌍성은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두 별이 분리되어 보이지는 않으나, 밝기의 변화를 통해 쌍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쌍성 중에서 주기가 대략 10일 이내인 것은 쌍성을 구성하는 두 별이 매우 근접해 있기 때문에 근접쌍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근접쌍성 중에는 외층대기를 공유하는 것도 있는데, 두 별이 모두 외층대기를 공유하여 공통의 대기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접촉쌍성이라 하며, 한 별의 외층대기가 다른 별로 유입되는 경우를 준접촉쌍성이라고 한다.   2) 맥동변광성 (pulsating variable) 별의 상층 대기가 주기적으로 팽창-수축하여 별의 밝기와 표면온도는 물론 분광형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천문학에서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도구로 이용된다. 팽창-수축과정이 방사형태로 이루어지면 별의 전표면에 균일한 진동이 발생되어 별은 구형을 유지하게 된다. 대부분의 거성이나 초거성이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세페이드형, RR Lyr형, RV Tau 형, Mira 형 별들이 이에 속한다.   3) 청색낙오성 (blue straggler) 청색낙오성은 구상성단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늙은 산개성단에서 발견되는 뜨겁고 밝은 별로서 항성진화모델을 잘 따르지 않는 별이다. 일반적으로 성단을 이루는 별들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며, 이렇게 같은 시점에 태어난 대부분의 별은 초기 질량에 의해 결정된 색-등급도(C-M도)상의 곡선 상에 위치해야 하지만, 청색낙오성은 곡선으로부터 좀 떨어져 있어서, 비정상적인 항성진화를 거친다. 이번에 관측된 QU Sge는 아래 그림에서처럼, 일반적으로 항성들이 위치하는 하늘색 곡선 근처에 위치하지 않고, 왼쪽 위로 많이 떨어져 나와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별들이 청색낙오성이다.     4) 구상성단 (globular cluster) 구상성단은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별들의 집단으로, 그 전체적인 모양이 공과 같아서 구상성단(球狀星團)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구상성단에는 적게는 수만 개에서 많게는 수백만 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크기는 지름이 수십 광년에서 수백 광년으로 다양하다. 구상성단 내의 모든 별들은 나이가 비슷하며, 대개의 구상성단들은 은하가 처음 생성될 시기를 전후하여 태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우리은하 내의 구상성단의 수는 약 150개이고, 현대에는 첨단 관측장비를 이용하여 외부은하의 구상성단들도 끊임없이 발견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 또는 외부은하의 주변에 존재하는 많은 구상성단을 관측하여 별의 진화와 은하의 형성 역사를 연구하고, 더 나아가 우주의 나이를 결정하는 결정적인 단서로 활용한다.   5) M71 화살자리(적경 : 19h 53.8m, 적위 : +18° 47')에 있는 구상성단으로 1745년에 발견되었다. 지구로부터 13,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밝기는 8.2등급이다.
23 2006-01
천문연-연세대, 호주 원격관측소에서 관측한 첫 영상 공개
No. 180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박석재)은 연세대학교 (총장: 정창영)와 공동으로 호주국립대학교 산하 사이딩 스프링(Siding Spring) 천문대에 호주 원격관측소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지난 2000년부터 시스템 구축에 착수, 2004년 12월부터 이전 설치를 시작하였고, 1년에 걸친 노력 끝에 2006년 1월 시스템 정상화에 성공했다.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연구그룹(지구접근천체연구실)과 연세대학교YSATR팀은 이 관측소에서 대마젤란은하(Large Magellanic Cloud 이하  LMC)와 타란툴라(Tarantula) 성운의 첫 관측영상을 얻었으며, 1월 17일 이를 일반에 공개했다.   그림 1.   왼쪽 위에 넓게 보이는 대마젤란은하는 우리 은하의 동반은하로서 소마젤란은하와 함께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천체이다. 이 사진은 2°×2° 넓은 영역을 관측할 수 있는 광시야 망원경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아래 성운은 타란툴라 성운이다.    ○ 이 관측소는 하늘을 빠른 속도로 감시할 수 있는 0.5m 광시야망원경과 7대의 PC로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 각종 자동화 장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능형 S/W와 로보틱스를 채택, 사람의 개입 없이 한국에서 무인원격으로 자동 운영된다. 이 시설은 200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덜랜드에 배치된 남아공관측소와 동일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 호주관측소 사진                                      그림 . 호주관측소 50cm 광시야망원경    ○ 두 기관은 남아공과 호주에 이어 2007년경 칠레에 세 번째 관측소를 건설, 운영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두 기관이 남반구 3개소에 이러한 해외관측소 네트워크를 완성할 경우, 한국은 남반구 하늘의 소행성과 변광천체를 24시간 감시하는 첫 국가가 된다. 또한 NASA 소행성 감시 프로그램의 “사각지대”를 대상으로 24시간 “별이 지지 않는” 관측연구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천문연구원과 연세대학교는 이 연구를 위해 2004년 6월, 호주국립대학교와 양해각서 및 연구협약을 체결했으며,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주립대학과도 연구시설 유지관리 및 과학연구를 위한 국제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연구그룹 박장현 그룹장 : 042-865-3222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연구그룹 임홍서 박사 : 042-865-3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