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50 RSS
13 2018-02
No. 430 일반
대한민국 천문우주과학을 이끌어 갈 참신하고 역량 있는 당신을 환영합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연구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 (https://major.ust.ac.kr/astros.do 또는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에서는 2018학년도 2학기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에 의해 지도받을 수 있는 연구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졸업생은 한국천문연구원 이외의 연구기관으로 취업하여 연구역량을 키우도록 적극 지도 및 권장하고 있습니다. 2018학년도 2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아래 명기한 연구 분야들이며, 이 외 분야의 신입생은 선발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보내주시고, 기타 일반 문의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3월 5일부터 16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ust.ac.kr/admission.do).  이상성 드림. 전공책임교수 1. 곽영실 교수 (yskwak@kasi.re.kr) ▶연구주제: Study on the Ionospheric irregularities using ground-based and satellite observation data ▶연구목표    (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KASI ionospheric radar and MU radar.    (2)Study on the generation mechanism of the middle 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all-sky camera, GPS TEC map, scintillation monitor, ionosonde, meteor radar and SWARM satellite observation data.    (3)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latitude ionospheric irregularities by using polar space environment observation system (all-sky camera, FPI, VIPIR, scintillation monitor) which are operated by KASI and KOPRI, and EISCAT observation and SWARM satellite data. 2. 김상혁 교수 (astro91@kasi.re.kr), 민병희 교수 (bhmin@kasi.re.kr) ▶ 연구목표: 한국 및 인류의 역사 속에 발견된 천문학 및 그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하고 인류의 과학 유산의 가치를 재해석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방법: 기초적인 천문학에 해당하는 구면천문학, 천체역학 등의 필수과목을 이수한다. 주요한 연구 분야로 고천문역법, 고관측기기 복원, 천문학사 등이 있으며, 세부 주제에 따른 전공 선택 과목을 수강한다. 천문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에 대한 천문기록을 수집하거나 천문 유산을 조사한다. 이들을 다시 현대적인 과학기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과학 유산의 가치를 재평가한다.  ▶ 기대효과 및 결과    (1) 한국 및 인류의 천문기록을 집대성하고 현대적인 매체로 보존한다.    (2) 한국 및 동아시아의 천문과학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가치를 재해석한다.    (3) 과학 발전의 관점에서 한국 천문학의 큰 줄기를 완성한다.    (4) 현대 천문학의 성과를 기록하는 이정표를 개발한다.  3. 정웅섭 교수 (jeongws@kasi.re.kr) 적외선 관측기기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적외선 은하 생성 기원과 우주 별탄생 역사 연구 우주에서 활발한 별생성 활동을 보이는 은하들 대부분은 "obscured"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은하들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관측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먼 우주초기의 은하나 별빛들이 적색이동되어 관측되는 적외선 파장대는 지상 대기 및 열잡음에 의한 영향으로 지상 관측이 어려워, 우주에서의 관측이 매우 효율적이기도 하다. 우주에서의 적외선 관측기술은 광학, 광기계, 자료 및 신호 처리 등에서 극한 우주환경을 견딜 수 있는 설계/제작/시험이 요구되며, 적외선 은하의 생성 기원과 우주 별탄생 연구를 위해 적외선 관측에 최적화된 다양한 영상/분광 타입의 적외선 관측 기기를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적외선 관측 기기 혹은 활용 가능한 지상/우주 관측 기기로 얻은 적외선 은하 관측 자료들로부터 그 은하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천체 물리학적인 이론과 분석 방법도 함께 연구될 계획이다. 근적외선에서 부터 서브밀리 파장대에 이르는 적외선 다파장 관측 자료로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확인된 적외선 은하들의 생성 기원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먼 우주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는 우주 별생성 역사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주 암흑시대에서 기인된다고 여겨지는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정확한 기원을 밝히고자 한다.신입생들은 현재 개발이 진행/계획 중이거나 이미 운영 중인 적외선 우주망원경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기기의 주요 파트들을 개발할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국외 협력 기관들과의 연구/개발 협력 기회도 주어질 예정이다. 아울러, AKARI, Herschel 등 국외 우주 망원경 및 국내 우주망원경인 MIRIS, NISS 등의 기존/예정 우주 적외선 관측 자료들뿐만이 아니라, 관측된 적외선 은하의 다파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시광/적외선 (KMTNet, 중대형 망원경), 서브밀리 (JCMT 및 ALMA) 등 후속 관측으로 얻은 자료들을 제안/분석하고 연구할 계획이다. 4. Prof. Arman Shafieloo (shafieloo@kasi.re.kr) In cosmology group we are looking for very strong,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in order to train them at a competitive level internationally and making them prepared for the near future and next generation of the cosmological surveys.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come officially involved with SDSS-IV (Sloan Digital Sky Survey, Stage 4) and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surveys and the project will include studying and performing research o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cosmology such as testing early universe scenarios and reconstruction of the growth and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using large scale structure data.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regression approaches) and preparation to deal with future big data will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or integrated-PhD. Candidates are required to have strong mathematics and physics background and during the course of PhD a successful candidate has to work on and develop advanced methods of data analysis tailored suitably to analyze cosmology data in different context. 5. 조중현 교수 (jhjo39@kasi.re.kr) 우리나라는 우주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우주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을 2015년에 국가지정 하였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는 이 ‘우주환경감시기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종합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우주위험의 감시 및 대응 기술을 확보하며 우주위험 대비 기반확충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학위를 수여하여 대한민국의 우주감시 전문인력 배출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현재 이 분야는 연구인력이 극소수이어서 여전히 채용시장전망도 밝습니다.현재 입학생이 연구지도를 받을 수 있는 연구분야는 아래의 광범위한 분야를 박사학위 수준까지 받을 수 있으며, 현재 지도교수의 주 관심사항은 지구중심 궤도 우주물체의 궤도추정과 그 진화입니다. 2-3 년에는 태양중심 궤도 우주물체의 궤도추정 및 그 진화가 주 관심사항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연구주제는 매우 flexible 합니다.또한 박사과정 또는 통합석박사과정 양 과정 다 환영합니다. ▶ 천체 역학, 궤도공학, 우주동력학, 위치천문학, 기본계천문학           - EOP 및 ERP 분석 (GPS, SLR 자료) ▶ 우주감시 관측 정보 처리 및 분석           - 광학 위성관측자료 분석, 광학자료 이용 궤도추정           - 레이다 위성관측자료 분석, 레이다자료 이용 궤도 추정 ▶ 인공 및 자연우주물체 위험도 분석           - 인공우주물체 충돌 확률 및 재진입 예측           - 소행성 관측자료 분석 (궤도, 궤도진화)           - 소행성 충돌확률 분석  현재 우주위험감시센터에는 이와 관련한 전공교수 2명을 포함하여 현장 강의가 가능한 박사연구인력이 5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자연우주물체 관련 전공 박사연구인력이 4명이 인접 그룹에서 근무하여 강의 및 연구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번 UST학생 모집에서는 석박사 통합과정이나 박사과정 학생을 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 시에는  기본과목을 KAIST, 연세대, 충남대 등에서 공동학점으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6. 변도영 교수 (bdy@kasi.re.kr) ▶ 연구목표 현재 125-142 GHz 관측이 가능한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Korean VLBI Network:KVN, http://kvn.kasi.re.kr)의 D band 수신기의 frontend의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125-170 GHz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수신기를 이루고 있는 관련 부품의 광대역화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이 대역에서 동작하는 원형 편광기의 개발, 초전도 믹서와 국부 발진부(LO) 개발이 필요하다. 초전도 믹서는 언급한 RF/LO 대역에서 동작할 뿐 만 아니라, 한 번에 출력하는 중간 주파수 (IF) 대역이 8-16 GHz가 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 연구방법 RF 회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현된 회로에 대한 3차원 전자기 해석 소프트웨어 이용한 회로 성능 최적화 방식을 이용한 원형 편광기 개발  - 초전도 믹서의 원리를 이해하고, 광대역 입력 신호 정합과 출력 IF 신호 대역 정합을 고려한 새로운 초전도 믹서의 제작/ 측정  - 관측을 통한 광대역 125-170GHz 수신기의 성능 검증 및 과학연구 활용  ▶기대결과  - KVN의 125-170GHz 대역에서 편광 관측 대역을 넓힘으로써 편광각 측정 정밀도 개선과 편광각의 π-ambiguity 해결 가능하기 때문에 AGN의 Rotation Measure 측정 연구에 우수한 성능 기대.  - KVN의 새로운 수신기의 개발과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한 전파 천문학 분야 차세대 초전도 검출기 개발 인력 양성. 7.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성간, 은하주변 및 은하간 물질 연구 우주에는 조용한 은하부터 매우 폭발적인 별탄생을 보이는 은하까지 흥미롭고 다양한 은하들이 존재한다. 우리팀은 가까운 우주에서 먼 우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현상을 보이는 은하들을 천체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성간/은하간 물질의 공간적 분포 및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은하내부에서 발생한 빛의 생성과 전달 메카니즘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한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은하주변 및 은하간 물질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그러나, 미국 및 유럽의 경우는 은하간 및 은하주변 물질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은하의 생성 및 바리온 물질의 우주내에서의 분포에 대한 연구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먼 우주의 은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라이먼 알파(Lyα) 관측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라이먼 알파와 같은 공명선은 수많은 산란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해석이 용이하지 않다. 기존의 은하주변 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단순한 모델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Si II (1번 이온화된 실리콘) 또는 C IV (3번 이온화된 탄소) 등 흡수선 관측과 라이먼 알파 방출선을 동시에 설명하지 못한다. 우리는 좀 더 현실적인 모델을 고안하여 다양한 파장의 방출선과 흡수선의 기작, 기체의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편광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단순한 은하 모델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수치 모델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은하 모델과 성간먼지 복사전달 모델을 결합하여 다파장 관측자료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는 매우 빠른 계산 코드를 이미 보유하고 있다. 우리는 기존의 수 많은 관측 데이터를 이용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관측제안서를 통해 관측을 제안할 것이다. 또한, 관측 자료로부터 모델 추론을 위해 필요한 매우 효율적인 MCMC (Markov Chain Monte-Carlo) 코드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 국내외 여러 연구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은하 서베이 관측과 우주론적 시뮬레이션을 연결하는 고리가 될 것이다.  또한, 먼 우주 또는 가까운 은하의 진화 및 별탄생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신입생은 자신의 선호도 및 재능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이론적인 배경 및 관측자료 해석방법, 그리고 시뮬레이션 방법 등을 익히고 자신만의 연구주제를 발굴 8. 이병철 교수(bclee@kasi.re.kr) 불과 30 여 년 전만 하더라도 외계행성이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현재 외계행성 연구는 이 찰나의 순간에 현대천문학의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의 하나가 되었다. 차세대 지상 대형망원경인 GMT의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라는 사실이 잘 입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3년 보현산고분산분광기(BOES)가 개발되고 2008년부터 본격적인 외계행성 탐색 연구를 시작하여 2017년 12월 현재까지 50 여개의 외계행성(후보포함)을 발견하여 약 2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는 다파장 영역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양하고 특이한 행성들이 발견되었는데, 외계행성의 발견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춘 지금까지의 연구를 외계행성 연구의 제 1세대로 구분한다면, 이제부터의 연구방향은 행성 발견을 넘어서 외계행성 자체를 연구하는 제 2세대 연구단계라고 할 수 있겠다. 차세대 지상 대형망원경인 GMT를 활용한 외계행성 연구를 위해서는 분광학을 포함한행성대기모형, 행성계시뮬레이션, 지질학 등 융합연구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천문학 신생아에 불과한 외계행성 연구가 단기간에 현대천문학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매김이 가능하게 된 근본적인 힘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편견 없는 시각으로 연구에 몰입한 덕이었을 것이다. 이에 본 그룹에서는 외계행성 연구에 열의가 있는 분광학/대기모형/시뮬레이션 등을 전공할 박사과정 혹은 석박사통합과정의 겸손을 지닌 인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국내 연구진은 다소 미비한 편이지만 약 20년에 걸쳐서 조직된 국외 선진 연구진(러시아, 우크라이나, 독일, 일본, 미국 등)과 풍부한 관측인프라(러시아, 일본, 중국 등)가 매우 잘 갖춰져 있다. 이에 참여할 학생은 물심양면 풍부한 지원을 기대할만 합니다.
31 2018-01
No. 429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와 별도로 부서별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웹 설문을 통해 조사가 이루어지며, 부득이한 경우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ㅇ조사대상 :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부서별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ㅇ조사방법 : Web 설문조사  ㅇ조사기간 : 2018년 1월 17일 ~ 2월 14일 ㅇ주간사업자 : (주)트랜드리서치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 ㅇ법적근거:「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 ㅇ제공목적: 한국천문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ㅇ제공대상: (주)트랜드리서치 ㅇ제공일자: 2018년 1월  ㅇ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성명, 소속기관/부서, 연락처, 이메일 주소 ㅇ활용시기: 2017년도 한국천문연구원 부서별 고객만족도조사 완료시까지(2018년 2월 예정) ㅇ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ㅇ개인정보보호담당자: 한국천문연구원 황은정(hej9750@kasi.re.kr / 042-865-2074)                                            ㈜트랜드리서치 김용수(yskim@trendmr.com) / 02-3442-0617)
02 2018-01
No. 428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방학을 맞아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원을 개방하여 소개하는 방문의 날을 개최합니다. ■ 행사개요   - 행사명: 2018 동계 연구원 방문의 날   - 일시: 2018년 1월 11일(목), 12일(금) 14시~17시   - 장소: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   - 문의: 글로벌협력실 조국섭(042-865-3279)   - 대상: 개별 참가자 누구나(선착순 200명)   - 접수: visit@kasi.re.kr   - 오시는길: 바로가기 * 행사 진행 중 사진촬영이 있으며 추후 홍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신청 양식   - 참가희망일: 11일, 12일 중 택1   - 이름   - 연령: 어린이/청소년/성인(*연령에 따라 견학 코스가 달라짐)   - 연락처: 개인 휴대전화가 없는 경우 보호자 연락처 기재 * 어린이 신청이 마감되어 초등학교 5학년 이상만 신청 가능합니다. ■ 연구원 방문 프로그램 연구원 방문 프로그램으로 시간별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시간 내용 13:45~14:00 접수 및 기념품 수령 14:00~15:00 천문학 강연 15:10~16:40 시설물 견학 및 체험 16:40~17:00 설문지작성
19 2017-12
No. 427 일반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18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겨울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Long-slit Spectroscopy" ■ 대상: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 ■ 일정: 2018년 1월 29일(월)~2018년 2월 2일(금) (4박 5일간) ■ 인원: 약20명(2인1조, 총 10여개 팀으로 구성) ■ 강의계획   - 천체분광관측   - IRAF 사용법 및 Long-slit 분광   - 시선속도/속도분산 분석   - 방출선 및 흡수선 스펙트럼 분석   - 특강: 미정   - 기타 특별활동: 태양안시관측, 눈썰매타기, 트레킹 등   - 팀별 결과발표 ■ 참가비: (4박 5일 숙식비, 관측자 기준 적용): 1인 12만원 ■ 강사진: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신청 및 마감: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18년 1월 15일 신청 마감 ■선정 및 통보: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1월 19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043-422-1108(담당자: 최한별)   - 신청접수: stella84@kasi.re.kr ■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 첨부파일(2018년 대학생 겨울학교 참가신청서)
16 2017-11
No. 426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방문을 통해 조사가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고객님께 면접 약속을 잡기 위한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우리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일부 - 조사방법: 1대1 면접조사(면접원 방문조사)-방문전 사전 전화안내 실시 - 조사기간: 2017년 11월 ~ 2018년 1월 - 주간사업자: ㈜리서치랩- 조사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객만족도 조사 공동실사단 본 조사는 2007년 4월 1일 시행된「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있고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 또한,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 법적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13조제2항, 동법시행령 제17조제3항 - 제공목적: 한국천문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 제공대상: ㈜리서치랩 - 제공일자: 2017년 11월 16일 - 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성명, 소속기관/부서, 직급, 연락처, 주소 - 활용시기: 2017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조사 완료시까지 - 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03 2017-11
No. 425 일반
한국천문연구원(KASI) 원장 초빙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천문우주과학의 연구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여 천문우주과학의 국가적 발전을 달성을 목적으로 1974년에 설립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변화를 이끌 경영 및 조직혁신을 위한 비전과 미래지향적 리더십을 갖춘 최고경영자를 아래와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직위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임기: 3년) □ 응모자격      - 해당연구기관의 경영혁신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적극 추진할 수 있는 자      - 해당 연구분야에 관한 식견이 풍부하고 덕망이 있는 자      - 조직혁신에 대한 다수 경험과 의지를 가진 자      - 국제감각과 미래지향적 비전을 가진 자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의 1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5매 이내) 1부 (별첨 포함)      - 당해 연구기관의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서(A4 5매 이내) 1부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 최종학력증명서 1부      - 경력증명서(주요경력)   □ 응모방법      - 방문제출 또는 등기우편 접수(등기우편 제출 시 담당자에 사전연락)   □ 제출기한      - 2017년 11월 17일(금) 17시까지 제출서류 도착분에 한함   □ 접수 및 문의처          - (우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연구지원동(A동) 7층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기획부 임원 선임 담당자 앞  (Tel. 044-287-7438)      □ 기타      - 제출서류 서식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http://www.nst.re.kr)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asi.re.kr)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 제출된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며, 서류의 반환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합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정관상 원장은 그 직무 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와 정당가입이 금지됩니다.      - 원장은 취임 후「공직자 윤리법」및「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해당사항에 대하여 재산등록, 주식백지신탁, 병역사항신고 등의 의무가 있습니다.      - 원장은 취임 후 2개월내에 성과지표와 지표별 목표를 포함한 기관의 경영목표를 연구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 상기내용은 추진과정 상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17. 11.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11 2017-09
No. 424 일반
안녕하세요. 한국천문연구원 입니다. 다음과 같이 내부 서버작업으로 인해 홈페이지 접속이 중단됩니다. - 일시: 2017년 9월 13일(수) 10:00~14:00 불편하시더라도 양해 부탁 드립니다.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한국천문연구원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7 2017-09
제11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안내
No. 423 일반
1. 대회명칭- 제11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2. 주최- 한국천문연구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3. 주관- (사)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4. 일시 및 장소   가. 관측대회 예선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각 지역 지부별 예선대회 공지 나. 관측대회 본선 및 시상식           - 일 시 : 2017년 10월 21일(토)~22일(일) 12:00 ~익일 11:00           - 장 소 :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재개발원  5. 참가 요령 및 평가   가. 참가자격: 중·고등학교 재학생 4명과 지도교사 1명이 팀을 구성하여                       학교장의 추천서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해당 지부의 추천을 받은 학생팀   나. 관측장비 : 적도의식, 경위대식 등 형식에 상관없이 학교의 장비로 평가   다. 참가부문: 중등부, 고등부   라. 평가: 지필평가(20), 천체망원경 조작능력평가(15), 천체관측기록 발표능력평가(15),  천체관측평가(50)      * 천체관측평가 불가능 시 : 대회일을 포함하여 양일 모두 흐림 또는 우천 시 토요일날 실내에서 대체 평가   6. 시상내용 제11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안내의 시상내용을 나타낸 표로서 대상, 금상, 은상, 동상, 특별상, 우수지도상의 시상명과 시상팀과 시상수입니다. 구분 시상명 시상팀 시상수 대상 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장관상 각 부문 1팀 2개 금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각 부문 2팀 4개 은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각 부문 2팀 4개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각 부문 5팀 10개 특별상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상 각 부문 1팀 2개 우수지도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각 부문 수상팀 교사 -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7. 문의사항    대회 관련 문의사항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아마추어학회 홈페이지 - 학생천체관측대회 - 2017년 천체관측대회QA게시판    - https://www.kaas.or.kr:50109/board/?bid=celGuide_QA
24 2017-08
No. 422 일반
대한민국 천문우주과학을 이끌어 갈 참신하고 역량 있는 당신을 환영합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과 함께 여러분의 연구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 (https://major.ust.ac.kr/astros.do 또는 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에서는 2018학년도 1학기 석박사 통합과정 및 박사과정 UST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천문우주과학 전공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학위과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강좌, 현장연구, 세미나 등의 교과과정과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에 의해 지도받을 수 있는 연구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공적인 졸업생은 한국천문연구원 이외의 연구기관으로 취업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2018학년도 1학기 신입생 모집분야는 아래 명기한 연구 분야들이며, 이 외 분야의 신입생은 선발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담당 교수께 보내주시고, 기타 일반 문의사항은 전공책임교수(이상성, sslee@kasi.re.kr)에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지원 원서접수는 9월 1일부터 14일(오후 5시)까지 가능하며, UST 홈페이지 입학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ust.ac.kr/admission.do). 이상성 드림.전공책임교수 1. 김상혁 교수 (astro91@kasi.re.kr), 민병희 교수 (bhmin@kasi.re.kr)  ▶ 연구개요: 고천문은 과거의 천문기록을 포함, 이를 활용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다. 이를 통해 한국 및 인류의 천문과학유산의 가치를 규명하여 과학기술의 발전과 과학지식의 진보를 조망할 수 있다. 세부적인 연구 분야로 역사천문학, 천문학사, 고고천문학 등이 있다. 다양한 세부 분야를 유기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천문학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천문기록 및 천문유산을 목록화하고 집대성하며, 이들을 다시 현대적으로 재생산하는 일련의 연구과정이 필요하다. 고천문의 주요한 연구 대상은 천문역법, 천문기록, 고관측기기, 유물 및 유적의 천문유산 등이 있다.  ▶ 연구목표: 한국 및 인류의 역사 속에 전승된 천문학 및 그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하고 인류의 진보를 천문학의 발전과정으로 재해석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방법: 천문기록과 과학유산의 가치를 규명하는 연구는 학술연구, 연구개발, 자료구축의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학술연구는 천문기록과 유산을 통한 현대천문학적 연구이다. 연구개발은 과거의 천문시계 및 천문관측기기를 복원하는 사업이고, 자료구축은 천문학 사료에 대한 수집과 DB구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한 천문학 대계의 초석을 다지고, 천문학 지식의 확산을 위한 지향점을 갖도록 연구한다.   ▶ 기대효과 및 결과:    - 천문관측기록 분석을 통한 현대천문학적 연구 성과 도출    - 천문역법 및 역사천문의 연구로부터 기본천문학의 가치 재해석    - 천문학사 연구를 통한 천문과학문화유산의 발굴 및 가치 제고  - 천문과학유산 전 분야의 수집, 보존, 연구, (온라인) 전시 등을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천문학 문화유산의 콘트롤 타워 수립  ▶ 학위 연구 주제    - 학술연구분야 : “조선시대 천문역법 중 오성 운동에 대한 분석 연구”                          “표준시 해시계의 수학적 모델 연구”    - 연구개발분야 : “수격식·기계식 천문시계의 연구 및 복원 기술 개발”                          “박명 및 주야간의 태양 위치에 따른 대기밝기 연구”     - 자료구축분야 : “조선시대 천문관직과 제도에 대한 기록 분석 연구”                          “일기체 정사 및 개인문집의 천문기록 분석 연구”                          “역주 분석을 통한 한?중의 시현력서의 동정 및 복원 연구” 2. 곽영실 교수 (yskwak@kasi.re.kr) 전리권 불균일 현상의 특성 및 발생기작 연구  ▶ 연구목표1. 천문연 전리권레이더 및 일본 MU레이더 관측을 통한 중위도 전리권 E/F층 불균일 현상의 특성 연구와 전천카메라, GPS TEC map, 신틸레이션 모니터, 이오노존데, 유성레이더 및 SWARM 위성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위도 전리권 E/F층 불균일 현상의 발생기작 연구  ▶ 연구목표 2. 천문연과 극지연이 남극과 북극에 구축운영하고 있는 극지우주환경관측시스템(전천카메라, FPI, VIPIR, 신틸레이션 모니터)과 천문연이 회원으로 가입한 EISCAT 관측 및 SWARM 위성 관측자료를 활용한 고위도 전리권 불균일 현상 특성 및 발생기작 연구 3. 조중현 교수 (jhjo39@kasi.re.kr) 우리나라는 우주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우주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을 2015년에 국가지정 하였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는 이 ‘우주환경감시기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종합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우주위험의 감시 및 대응 기술을 확보하며 우주위험 대비 기반확충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학위를 수여하여 대한민국의 우주감시 전문인력 배출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현재 이 분야는 연구인력이 극소수이어서 여전히 채용시장전망도 밝습니다.현재 입학생이 연구지도를 받을 수 있는 연구분야는 아래의 광범위한 분야를 박사학위 수준까지 받을 수 있으며, 현재 지도교수의 주 관심사항은 지구중심 궤도 우주물체의 궤도추정과 그 진화입니다. 2-3 년에는 태양중심 궤도 우주물체의 궤도추정 및 그 진화가 주 관심사항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연구주제는 매우 flexible 합니다.또한 박사과정 또는 박사통합과정 양 과정 다 환영합니다.   - 천체 역학, 궤도공학, 우주동력학, 위치천문학, 기본계천문학   - 우주감시 관측 정보 처리 및 분석  - 인공 및 자연우주물체 위험도 분석 현재 우주위험감시센터에는 이와 관련한 전공교수 2명을 포함하여 현장 강의가 가능한 박사연구인력이 5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자연우주물체 관련 전공 박사연구인력이 2명이 인접 그룹에서 근무하여 강의 및 연구 지원이 가능합니다. 이번 UST학생 모집에서는 석박사 통합과정이나 박사과정 학생을 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시에는  기본과목을 KAIST, 연세대, 충남대 등에서 공동학점으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4. 정웅섭 교수 (jeongws@kasi.re.kr) 적외선 관측기기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적외선 은하 생성 기원과 우주 별탄생 역사 연구 우주에서 활발한 별생성 활동을 보이는 은하들 대부분은 "obscured"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은하들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관측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먼 우주초기의 은하나 별빛들이 적색이동되어 관측되는 적외선 파장대는 지상 대기 및 열잡음에 의한 영향으로 지상 관측이 어려워, 우주에서의 관측이 매우 효율적이기도 하다. 광학, 광기계, 자료 및 신호 처리 등 극한 우주환경을 견딜 수 있는 적외선 우주관측기술을 습득하여, 적외선 은하를 관측하기 위해 최적화된 다양한 영상/분광 타입의 적외선 관측 기기를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적외선 관측 기기 혹은 활용 가능한 지상 관측 기기로 얻은 적외선 은하 관측 자료들로부터 그 은하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천체 물리학적인 이론과 분석 방법도 함께 연구될 계획이다. 근적외선에서 부터 서브밀리 파장대에 이르는 적외선 다파장 관측 자료로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확인된 적외선 은하들의 생성 기원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먼 우주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는 우주 별생성 역사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주 암흑시대에서 기인된다고 여겨지는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정확한 기원을 밝히고자 한다. 신입생들은 현재 개발이 진행/계획 중이거나 이미 운영 중인 적외선 우주망원경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기기의 주요 파트들을 개발할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국외 협력 기관들과의 연구/개발 협력 기회도 주어질 예정이다. 아울러, AKARI, Herschel 등 국외 우주 망원경 및 국내 우주망원경인 MIRIS, NISS 등의 기존/예정 우주 적외선 관측 자료들뿐만이 아니라, 관측된 적외선 은하의 다파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가시광/적외선 (KMTNet, 중대형 망원경), 서브밀리 (JCMT 및 ALMA) 등 후속 관측으로 얻은 자료들을 제안/분석하고 연구할 계획이다. 5. Prof. Arman Shafieloo (shafieloo@kasi.re.kr) Incosmology group we are looking for very strong, competent and enthusiastic PhD candidates in order to train them at a competitive level internationally and making them prepared for the near future and next generation of the cosmological surveys. A successful candidate will become officially involved with SDSS-IV (Sloan Digital Sky Survey, Stage 4) and DESI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surveys and the project will include studying and performing research o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cosmology such as testing early universe scenarios and reconstruction of the growth and expansion history of the universe using large scale structure data. Developing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of data analysis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regression approaches) and preparation to deal with future big data will be a major part of the research during the PhD project. Candidates are required to have strong mathematics and physics background and during the course of PhD a successful candidate has to work on and develop advanced methods of data analysis tailored suitably to analyze cosmology data in different context. 6. 이상성 교수 (sslee@kasi.re.kr) 활동성은하핵 감마선 폭발의 기원에 대한 연구 활동성은하핵 (AGN, Active Galactic Nuclei)에서 최근 Fermi 감마선우주망원경을 통해 자주 관측되는 고에너지 감마선 폭발현상은 상대론적 제트 (relativistic jets)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상대론적 제트에서는 여러 가지 복사기작에 의해 전자기파 전영역에서 복사방출이 일어나는데, 싱크로트론 복사 (Synchrotron radiation), 역콤프턴산란(Inverse Compton scattering), 도플러부스팅 (Doppler boosting)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분야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 의문점은 첫째, AGN에서 관측되는 감마선 폭발현상의 기원은 무엇인가와, 둘째, 그 원인의 물리적 기작은 무엇인가이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설명으로 제기되는 이론은 1) 고에너지 플라즈마로 이루어진 상대론적 제트 (Marscher et al. 2008), 2) 그 상대론적 제트에서 방출되는 복사의 도플러부스팅 (Dermer 1995), 3) 상대론적 전자에 의한 역콤프턴산란 등이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데 중요한 이론적, 관측적 사실로는 1)상대론적 제트 내의 플라즈마의 압축(Compression)과 가열(heating), 2) 상대론적 입자의 생성기작, 3) 제트의 밝기와 자기장의 급격한 변화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성은하핵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감마선 폭발현상의 기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상대론적 제트의 복사 기작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다파장 전파관측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http://radio.kasi.re.kr/kvn/ksp.php 참조).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 전파간섭계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 (KVN, Korean VLBI Network)의 다파장 동시관측 성능을 이용하여 감마선 폭발 현상을 보이는 활동성은하핵 30여개 천체를 고분해능 다파장 VLBI 관측모니터링(iMOGABA: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과 다파장 단일경 편광 모니터링 관측(MOGABA: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을 통해 감마선 폭발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따라서 iMOGABA 관측은 매달 24시간 VLBI 관측을 수행하여 30여 천체의 22/43/86/129 GHz snapshot 영상을 얻고, MOGABA 관측은 감마선 폭발이 발생하는 천체를 대상으로 매주 단일경 편광 관측을22/43/86GHz 대역에서 수행하여 편광된 빛의 특성(편광률, 편광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8년 5월까지 약 50회의 iMOGABA 관측을 수행할 것이고, 다수의 AGN에 대해 MOGABA 관측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7. 선광일 교수 (kiseon@kasi.re.kr) 별탄생은하의 성간 및 은하간 매질에서의 복사전달 연구우주에는 조용한 은하부터 매우 폭발적인 별탄생을 보이는 은하까지 흥미롭고 다양한 은하들이 존재한다. 우리팀은 가까운 우주에서 먼 우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현상을 보이는 은하들을 천체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은하내부에서 발생한 빛의 생성 및 성간/은하간 매질에서의 전달 메카니즘을 잘 이해하여야 한다. [1] 예를 들어, H II 영역과 같은 광이온화(photoionization)된 기체에서 발생한 방출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H II 영역에서 나온 방출선이 주변의 성간먼지에 의해 산란되면서 비율이 심각하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은하 전체 또는 일부의 성간매질에 대한 수치해석 시뮬레이션과 광이온화 및 성간먼지에 의한 복사전달 모델을 결합하고 은하전체의 광이온화 모델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최초의 연구가 될 것이며 최근 유행하는 Integrated Field Unit 관측결과를 이해하는 데 활용될 것이다. [2] 한편, 먼 우주의 은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라이먼 알파(Lyα) 관측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라이먼 알파와 같은 공명선은 수많은 산란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해석이 용이하지 않다. 기존의 라이먼 알파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성간/은하간 매질에 대한 모델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Si II (1번 이온화된 실리콘) 또는 C IV (3번 이온화된 탄소) 등 다른 파장의 흡수선 관측을 동시에 설명하지 못한다. 우리는 좀 더 현실적인 모델을 고안하여 다양한 파장의 방출선과 흡수선의 기작, 기체의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편광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3] 또한, 단순한 은하 모델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수치 모델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은하 모델과 성간먼지 복사전달 모델을 결합하여 다파장 관측자료와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현재 국내외 여러 연구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은하 서베이 관측과 우주론적 시뮬레이션을 연결하는 고리가 될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복사전달 연구를 위해 우리는 매우 빠른 계산 코드를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들은 먼 우주 또는 가까운 은하의 진화 및 별탄생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신입생은 자신의 선호도 및 재능에 따라 연구주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이론적인 배경 및 관측자료 해석방법, 그리고 시뮬레이션 방법 등을 익히고 자신만의 연구주제를 발굴하는 훈련을 받게 될 것이다. 8. Prof. Thiem Hoang (thiemhoang@kasi.re.kr) Self-consistent physical modeling of Galactic dust polarization and Applications  ▶ How did our Universe begin? According to the standard Big Bang theory, our Universe began about 13.7 billion years ago with an early exponential expansion of space, so-called inflation. Inflation is predicted to generate primordial gravitational waves that left the imprint as pinwheel-like (B-mode) patterns in the CMB polarization map. Therefore, the detection of CMB B-modes would constitute conclusive evidence of Inflation, leading to a complete understanding of our early Universe. However, the recent joint analysis of BICEP2/Keck Array and Planck data has revealed that the first detection of CMB B-modes is only achieved when Galactic dust polarization is accurately modeled and separated from the CMB polarization data. The successful candidate will be part of an international team to work on developing a self-consistent physical model of Galactic dust polarization by linking grain alignment to dust properties and local physical conditions of the interstellar medium. An important goal of this project is to apply the self-consistent polarization model to constrain the physics of the early universe with the CMB polarization as well as the physics of the interstellar medium. Students will be trained to master a wide range of research skills, including analytical and theoretical ability, numerical modeling and computational simulations. 9. 이창원 교수 (cwl@kasi.re.kr) 원시천체의 생성과정은 여러 가지 물리적 환경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설명된다. 이중 제일 빈번히 제시되는 설명은, 길쭉한 형태의 필라멘트분자운에서 가스 흐름들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생성된 고밀도 분자운 코어들에서는 중력과 관련된 가스수축 운동을 통해 초기의 원시천체가 만들어진다고 하는 것이다. 원시천체가 만들어지기 위해선 주변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통로인 강착원반 (accreting disk)과 각운동량을 배출하는 통로인 쌍극성 가스분출류 (outflow)의 생성이 필수인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원시천체인 원시성 또는 원시갈색왜성 등이 만들어 진다. 본 연구 팀에서는 이러한 별 생성의 일련의 과정들을 규명하는 연구를 한다. 필라멘트 분자운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 생성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다른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지, 분자운 내에서 집적화되고 있는 분자운 핵은 어떤 물리, 화학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원시천체가 만들어지는 직접적인 물리적 과정은 어떠한지 등을 연구한다. 어떤 물리적 환경이 태양 질량정도의 별로 혹은 갈색왜성을 생성케 하는지, 항성체를 만드는 데에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강착원반이나 가스분출류의 특성이 원시성이나 원시갈색왜성인 경우 어떻게 다른 지, 혹은 비슷한지 등을 조사하여 생성의 물리적과정의 (비)유사성을 연구한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를 주로 직접적인 관측과 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관측하는 주요 파장대는 근적외선부터 mm영역에 이며, 관측에 이용되는 망원경은 적외선 지상/우주망원경, 단일경 전파망원경, 간섭계(예, ALMA)망원경 등이다. 10. 양유진 교수 (yyang@kasi.re.kr) 고적색편이 은하 연구언제, 어떻게 최초의 은하들이 만들어졌는가? 은하로의 가스유입, 은하 간 상호작용, 블랙홀의 되먹임 현상 같은 물리적 기작들이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은 현대 관측 천문학의 중요한 질문 중 하나이다. 우리 연구 팀은 고적색편이 우주에서 한창 생성되고 있는 은하들을 여럿 포함하고 있는 라이만 알파 (Lyα) 성운을 자세히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입학 직후부터 시작할 수 있는 연구 과제들로는 (1) Lyα 성운 내 은하들의 다파장 특성 연구, (2) Lyα 성운의 가스 운동학 및 블랙홀 연구, (3) 중심파장을 바꿀 수 있는 tunable 필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원시은하단/은하군 탐사, (4) 넓은폭 필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원시은하단/은하군 탐사, (5) Lyα 성운의 성간 물질 또는 은하 주변 물질 연구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학생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주제를 가지고 첫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신입생은 대형 광학 망원경(VLT, Gemini, Magellan, MMT), 전파 망원경(PdBI와 JVLA), 그리고 여러 다파장 관측에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얻어질 흥미로운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관측 연구 주제를 고안하고 그 관측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는 훈련을 받게 될 예정이다.
23 2017-08
No. 421 일반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후보자 모집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지원·육성하는 기관입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세계일류기관으로 이끌 미래지향적 비전과 혁신적 리더십을 갖춘 최고경영자를 아래와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직위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임기: 3년) □ 후보자 모집방법: 관련단체 추천 및 공개모집 병행 □ 관련단체 추천     - 추천단체: 과학기술관련 산·학·연 유관 50개 단체      - 추천기한 : 2017년 9월 1일(금) 17시까지 공문으로 추천      - 제출서류        1. 추천공문 1부        2. 이력서 1부       3.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3매 이내) 1부        4.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A4 3매 이내) 1부        5. 이사장 추천사유서 1부      - 관련단체 추천은 해당 단체에 별도 공문 발송됨 □ 공개모집         - 공고문 : 첨부1(공고문) 참조      - 접수기한 : 2017년 9월 1일(금) 17시까지 제출서류 도착분에 한함      - 제출서류 : 첨부2(제출서류 양식) 참조        1. 이력서 1부       2.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3매 이내) 1부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A4 3매 이내) 1부 2017. 8. 2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추천위원회 위원장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