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9 RSS
12 2011-01
천문(연)의 외계행성 발견 논문 미국천문학회지 최다 인용에 선정
No. 439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9년 2월 연구원에서 발표한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행성 발견 논문’이 미국 천문학회지(Astronomical Journal)에서 지난 2년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5편 중 하나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미국 천문학회지는 지난 2년간 발표된 논문의 인용도를 조사한 결과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행성 발견 논문’(제목: The sdB+M Eclipsing System HW Virginis and its Circumbinary Planets)이 최다 인용된 5편에 포함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출처 : http://iopscience.iop.org/1538-3881?tab=most_cited ) ○ 최다 인용된 5편의 논문 중 천문(연)의 논문을 제외한 4편은 대형 관측장비를 이용한 장기탐색관측 결과로서 관측자료에 대한 인용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논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논문은 단일 천체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인용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행성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이 논문의 중요성과 우수성을 국제 학계가 인정한 것이다. 이 논문의 인용도는 평균에 비해 약 10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본부의 이재우, 김승리 박사와 충북대학교 김천휘 교수 등 국내외 학자 7명으로 이루어진 연구팀은 2009년 2월 두 별로 이루어진 쌍성 주위에서 쌍성과 함께 생성된 후 쌍성의 격렬한 진화과정 속에서도 오랫동안 살아남은 2개의 외계행성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여 미국 천문학회지에 게재하였다. ○ 이 발견은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주인공 루크 스카이워커(Luke Skywalker)의 고향 행성인 타투인(Tatooine)과 같이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행성의 존재 가능성과 더불어 2개의 별로 이루어진 쌍성에서도 행성이 생성되고 살아남을 수 있음을 밝히는 중요한 관측적 증거를 세계 최초로 제시하고 있어 행성의 기원과 진화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 바 있다. ○ 이미 집계된 논문의 피인용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외계행성 연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천문(연) 김승리 박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건설 중인 2미터급 외계행성 탐색용 망원경이 완성되어 연구에 활용되면 지구형 외계행성의 발견과 더불어 우리 은하 내의 외계행성에 관한 우수한 연구결과를 다수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림 1] 미국 천문학회지에 집계된 최다 인용 논문 5편. 다른 4편은 비교적 인용도가 높은 대형 장비를 이용한 장기탐색관측 결과임에 반하여, 우리의 연구는 단일 관측대상에 대한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인용도를 보이고 있다. (출처 : http://iopscience.iop.org/1538-3881?tab=most_cited ) [그림 2] 두 별로 이루어진 쌍성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계 모식도 [그림 3] 스타워즈의 한 장면. 타투인 행성에서 2개의 태양이 지고 있다.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본부     이재우 박사 042-865-3264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본부     김승리 박사 042-865-3252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천문우주학과     김천휘 교수 043-861-3139
06 2011-01
별과 우주, 선생님도 배운다. - 2011년 1월 10일, 교원천문연수 개최
No. 43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1월 10일(월)부터 15일(토)까지 대전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전국의 초·중·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교원천문연수를 실시한다. ○ 교원천문연수는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표적인 교육기부 프로그램으로 평소에 접하기 힘든 천문학 지식과 최근 연구 결과들을 연구자들이 쉽게 설명하여, 선생님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연수프로그램이다. ○ 이번 연수는 한국의 전통천문학, 생활천문학, 천체망원경 활용 등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망원경으로 천체를 직접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직접 우주를 바라볼 수 있는 흥미로운 연수가 될 전망이다. ○ 연수는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론 수업은 한국의 전통천문학을 비롯하여 별과 우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실습은 천체망원경 사용법을 배우고 직접 망원경을 사용해 천체를 관측해보는 시간으로 진행된다. ○ 교원천문연수는 매년 동계와 하계 방학기간 동안에 초등, 중등 각각 2기로 나누어 실시된다. 연수에는 지난 16년 동안 전국의 초?중?고등 교사 5,0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연수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95% 가 우수하다고 응답하여, 교원천문연수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사진 1] 2010년 동계 교원천문연수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설아침 042-865-3226 홍보팀         권숙현 042-865-2004
31 2010-12
No. 43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1월 1일부로 다음과 같이 인사이동을 실시한다. - 다 음 - ○ 광학적외선천문연구본부장 성언창 (49세, 成 彦 昌) ○ 거대마젤란망원경사업실장 박병곤 (46세, 朴 炳 坤)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총무인사팀장     지용구 042-865-3331총무인사팀         정동진 042-865-3325
30 2010-12
박종욱 우주과학연구본부장, '올해의 KASI인 상' 수상자로 선정
No. 43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10년 올해의 KASI인 상’ 에 박종욱 우주과학연구본부장을 선정하였다. ○ 박종욱 우주과학연구본부장은 국가현안문제 해결형 사업 (NAP : National Agenda Project)과 관련하여 “광학우주감시체계 구축사업”이 NAP 본과제로 선정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국제위성항법서비스 (IGS : International GNSS Service) 이사회의 이사로 선출되는 등 국가 및 연구원의 국제적 위상제고에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우주기술개발사업 추진위원회’ 등 다수의 위원회에서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기관의 명예를 드높이는 활동을 하였다. ○ 또한 박 본부장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장기발전전략 로드맵에 반영된 우주과학 관련 대형 연구개발사업들이 “국가대형연구시설장비로드맵(2010~2025년)”에 선정되는데 기여하여 연구원이 향후 관련 연구시설을 확보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항공우주국( NASA)과 2건의 약정서(LoA) 체결을 주도하여 연구원의 발전 및 위상제고에 기여하였다. ○ 시상식은 31일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에서 개최된다. [사진 1] 박종욱 우주과학연구본부장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27 2010-12
새 해에 다양한 우주쇼 볼 수 있다. - 2011년 주요 천문현상 예보
No. 435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11년에 시민들이 볼 수 있는 주요 천문현상을 아래와 같이 예보했다. [그림 1] 1월15일 밤하늘  ○ 2011년 1월 소행성 아이리스가 지구에 접근한다. 지름이 200km로 서울에서 대전까지 가릴 수 있을 정도로 큰 아이리스는 1월 15일 오전 2시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며 그 거리는 약 1억 7천만 km 이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450배이므로 지구와 충돌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지구에 가까워진 아이리스는 약 7.9등급까지 밝아져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해진다. [그림 2] 5월1일 새벽 동쪽   [그림 3] 5월30일 새벽 동쪽 ○ 월, 화, 수, 목, 금, 일? 5월에는 토성을 제외한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해를 하루 동안 다 볼 수 있다. 특히 5월 1일 해뜨기 전 동쪽 하늘에는 천왕성까지 포함한 5개의 행성이 달 옆에 모여 관측하기가 좋다. 5월 30일에도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관측할 수 있다. [그림 4] 7월31일 밤12시   ○ 7월 31일 밤에는 베스타(VESTA)와 팔라스(PALLAS), 두 개의 소행성을 볼 수 있다. 이것들은 서울시보다 20배 더 큰 소행성이지만, 밤하늘에서는 작은 점으로 밖에 볼 수가 없다. 베스타는 5.6등급까지 밝아져 주위에 빛이 없고 공기가 맑은 지역에서는 맨 눈으로도 볼 수 있고, 팔라스는 9.5등급으로 소형 천체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   [그림 5] 6월16일 개기월식  [그림 6] 12월10일 개기월식   ○ 2011년에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는 개기월식을 두 번 볼 수 있다. 6월 16일과 12월 10일 일어나는 월식 중 12월에 일어나는 개기월식은 2000년 이후 처음으로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월식의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것은 약 10년 만에 한 번 볼 수 있는 일로 이후 2018년이 되어야 관측할 수 있다.   ○ 기타 매 월 가장 대표적인 천문현상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에서 자세히 찾아볼 수 있다. (http://astro.kasi.re.kr/)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23 2010-12
No. 434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새해 1월 1일 주요 지역의 해 뜨는 시각을 아래와 같이 발표한다. ○ 2011년 새해 떠오르는 첫 해는 7시 26분에 독도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으며,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 한편, 2010년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소흑산도로 17시 40분경 지는 해를 볼 수 있다. ○ 기타 지역의 일출·몰 시각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의 생활천문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http://astro.kasi.re.kr/) [첨부 1] 2010년 12월 21일 일몰 시각 및 2011년 1월 1일 일출 시각 다음은 연말 말일 일출몰시각과 새해 일출몰시각의 자료로서, 관측지의 고도를 0m 기준(수평선과 일치)으로 산출한 값입니다. 각 지방의 연말 일출/일몰을 2010년 12월 31일, 2011년 1월 1일 도표로 나타내었습니다. 각 지방의 연말 일출/일몰 (2010년 12월 31일) 각 지방의 연말 일출/일몰 (2011년 1월 1일) 지역 일출 일몰 지역 일출 일몰 인천 백령도 07 57 17 31 독도 07 26 17 05 인천 월미도 07 48 17 25 울산 간절곶 07 31 17 20 경기 장화리 07 49 17 25 울산 방어진 07 31 17 20 보령 대천 07 45 17 29 기장 삼성리 07 32 17 21 태안 만리포 07 48 17 29 부산 태종대 07 32 17 22 충남 모항리 07 48 17 29 부산 해운대 07 32 17 22 안면도 꽃지 07 46 17 29 감포 수중릉 07 32 17 19 변산반도 07 43 17 31 포항 석병리 07 32 17 18 전남 심동리 07 42 17 35 포항 호미곶 07 32 17 18 소흑산도(가거도) 07 45 17 40 포항 강사리 07 34 17 16 해남 07 40 17 34 울진 망양정 07 35 17 16 제주 용수리 07 39 17 38 성산일출봉 07 36 17 35 제주 서귀포 07 37 17 36 동해 추암 07 38 17 15 제주 마라도 07 38 17 38 동해 망상 07 38 17 15 강릉 정동진 07 39 17 15 강릉 경포대 07 40 17 16 양양 낙산 07 42 17 16 서울 남산 07 47 17 24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임홍서 042-865-3226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16 2010-12
12월 21일, 어두워진 달이 뜬다. - 개기월식 현상 예보
No. 43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12월 21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 현상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 이번 월식은 달이 뜨기 전인 2시 27분부터 진행되므로, 해 진 후 동쪽하늘을 바라보면 평소보다 어두워진 달이 뜨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월식은 저녁 8시 6분까지 진행된다. [그림 1] 12월21일 월식 진행도 ○ 이 날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12분, 개기월식이 진행되는 5시 53분까지는 어두워진 달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이후 부분월식이 진행되는 7시 1분까지는 달의 일부분만 밝아진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저녁 7시 1분 부분월식이 종료되면 달은 평소의 밝기를 서서히 되찾으며 8시 6분 반영식의 종료와 함께 평소 보름달 밝기로 되돌아온다.   [표 1] 12월21일 월식 진행 시간 12월21일 월식 진행 시간을 나타내었습니다. 진행상황 시각 반영식의 시작 14시 27분 부분식의 시작 15시 32분 개기식의 시작 16시 40분 개기식의 최대 17시 17분 개기식의 종료 17시 53분 부분식의 종료 19시 01분 반영식의 종료 20시 06분 ○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설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지구의 그림자는 태양빛이 전혀 보이지 않는 본그림자(본영)와 태양빛이 일부 보이는 반그림자(반영)로 나누어진다(그림 2). 개기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정확히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그림 2] 해·지구·달의 위치에 따른 본그림자와 반그림자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임홍서 042-865-3226 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15 2010-12
우주의 별처럼 소중한 고객들을 위해 한국천문연구원 고객헌장 제정
No. 43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고객중심의 가치경영을 실현하고 고객의 만족과 신뢰를 받는 연구원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고객헌장'을 제정하였다. ○ 고객헌장은 한국천문연구원이라는 연구분야 특성에 맞추어 고객의 요구와 기대수준을 반영하기 위하여 "You're a STAR"를 제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친절하고 신속한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임직원은 고객헌장 제정을 통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KASI 고객응대매뉴얼을 제작함으로써 표준화된 고객 서비스 이행 표준을 마련하였다. ○ 이에 앞서 지난 8월에는 출연(연) 최초로 천문(연)의 조직문화에 기반한 자체 교육프로그램을 연구개발인력교육원(KIRD)과 공동 기획하여 전 직원에게 맞춤형 CS(Customer Satisfaction)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일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고객중심 경영을 위해 먼저 임직원의 마인드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할 것이며 아울러, 외부 서비스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체제를 갖추어 나갈 예정이다.  [사진 1] You are a STAR 한국천문연구원 고객헌장 고객은 우주의 별처럼 소중한 존재입니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별들을 찾아내어 이름을 부여하고 의미 있는 별로 탄생시키는 것이 우리의 임무입니다. 고객 한 분 한 분을 의미 있는 별로서 모시기 위하여 한국천문연구원 임직원은 다음의 사항을 실천하겠습니다.   고객에 대한 한국천문연구원의 약속" You're a STAR " 첫째, 서비스 이행 표준을 준수하겠습니다!(Standard service!) 첫째, 항상 발전하는 천문(연)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Tomorrow better than today!) 첫째, 관심과 배려의 마음으로 고객을 대하겠습니다!(Attention to customer!)첫째, 고객의 소리를 경영자산으로서 소중히 받아들이겠습니다!(Respect for voice of customer!)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정책팀장     윤양노 042-865-3320 정책팀        최보실 042-865-3319
29 2010-11
천체망원경으로 별도 보고, 우주여행도 하고! -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캠프 안내
No. 43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10일부터 ‘스타캠프’를 개최한다. 이번 캠프는 우리나라 최고의 우주문화 공간이 펼쳐진 대전의 첨단 시설을 이용하여, 천문우주과학을 즐기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캠프는 천문학자의 특별강연,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시설 견학, 엑스포과학공원 내 첨단과학관 및 3차원 우주여행 관람, 천문우주테마파크 꿈돌이랜드의 과학놀이시설 체험, 천체투영실 견학, 별자리 탐색 및 천체망원경 실습으로 구성되었다. ○ 스타캠프는 초등학생 4학년 이상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10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시작되며, 한 기수에 30명 정원으로 현재 선착순 접수가 진행 중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가 주관하며 꿈돌이 사이언스존 발전협의회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의 문의 및 접수는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담당자(전화. 042-820-4903)와 홈페이지(www.kaas.or.kr)를 통해 할 수 있다. 가. 캠프일정(1박2일 코스) - 제1기 : 2011. 1. 10.(월) - 2011. 1. 11.(화) - 제2기 : 2011. 1. 11.(화) - 2010. 1. 12.(수) - 선착순 모집하며, 정원 초과 시 다음 기수(3기~)로 배정 나. 참가대상 : 초등학교 4학년 ~ 중학교 3학년 다. 등록비 : 1인당 80,000원(식비 및 숙박비 포함) 라. 등록방법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www.kaas.or.kr) 마. 안내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담당자 042-820-4903 [사진 1] 망원경 원리 체험 [사진 2] 천문우주 전시실 관람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임홍서 042-865-3226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26 2010-11
제 4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자 발표 및 시상식 개최
No. 430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이은우)은 12월 8일에 제4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시상식을 국립중앙과학관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 ○ ‘제4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는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이 공동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가 주관한 행사로써, 지난 11월 13일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에서 고등부 34개팀과 중등부 16개팀이 참가하여 천체관측 경합을 벌였다. ○ 이번 대회에서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상하는 영예의 대상은 광명북고등학교 K-YAK팀과 수원북중학교 Rosette Nebula팀이 차지하였다. 그 밖에 금상 3개팀, 은상 3개팀, 동상 7개팀이 선정되었다. ○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는 중·고등학생들의 별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자재를 활용하여 과학체험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 관측대회는 천체관측지식, 천체망원경 설치 및 조작능력, 지정한 천체를 찾는 능력, 관측한 천체를 시민들에게 발표하는 능력 4개 분야로 나누어 평가되었다. 첨부 1 : 제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 1부. 첨부 2 :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수상팀 사진 10매. [첨부 1] 제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 가. 고등부 시상 내역 (대상 1팀, 금상 2팀, 은상 2팀, 동상 5팀) 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의 고등부 시상 내역 (대상 1팀, 금상 2팀, 은상 2팀, 동상 5팀)입니다. 상명 학교명 팀명 대상 광명북고등학교 K-YAK 금상 대전전민고등학교 천사랑 강화여자고등학교 별바라기 은상 서대전고등학교 별빛세상 한밭고등학교 우주반 동상 대덕고등학교 이오 강원사대 부설고등학교 아스트로 동두천고등학교 Butter Star 심인고등학교 알타이르 원광고등학교 미르 나. 중등부 시상 내역 (대상 1팀, 금상 1팀, 은상 1팀, 동상 2팀) 3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의 중등부 시상 내역 (대상 1팀, 금상 1팀, 은상 1팀, 동상 2팀)입니다. 상명 학교명 팀명 대상 수원북중학교 Rosette Nebula 금상 대전동산중학교 오거성 은상 심원중학교 SUPERNOVA 동상 대전송촌중학교 아크투르스 대전삼천중학교 천랑성 [첨부 2-1]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고등부 수상팀 사진 - 광명북고등학교 학생 유준상 학생 이종민 학생 이주현 학생 최원경 [첨부 2-2]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중등부 수상팀 사진 - 수원북중학교 학생 김동화, 학생 김재병, 학생 이인구, 학생 정 권, 지도교사 김정수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 임홍서 042-865-3226 홍보팀 : 설아침 042-865-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