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381
■ 2009년 9월 11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위원장: 강영운, 양종만, 박석재)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LG 상남도서관(관장: 정윤석) LG 사이언스랜드와 공동으로 천체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알기 쉽게 풀이한 플래시 동영상 '천문송'을 선보인다.
○ 조직위원회와 LG 사이언스랜드는 동영상 제작에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천체물리학을 전공하는 송유근군(과학기술연합대학원 석사과정)을 천재소년 캐릭터로 참여시켜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또래 어린이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도록 했다.
○ 이 동영상은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가 달 분화구와 태양흑점, 목성의 달들을 발견한 사건으로부터 1781년,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의 천왕성 발견과, 우리은하의 재발견에 이르는 근대 천문학의 역사를 단숨에 보여준다.
○ 1946년, 라이만 스피처(Lyman Spitzer) 박사가 ‘위성탑재 망원경’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제창한 이후 허블우주망원경 발사와 함께 천문학은 말 그대로 지각변동을 경험한다. ‘천문송’은 이렇듯 천체망원경 400년의 긴 역사를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플래시 뒷부분에서는 천문학이 우리 일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 과거 역관들이 해, 달, 별의 운동을 기준으로 시간과 달력을 계산했을 뿐 아니라, 서구에서는 관측기술을 항해에 적용해 신대륙 발견으로 이어졌다는 것.
○ 항법기술은 최근 인공위성 운용, 차량항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렇듯 ‘천문송’은 천문학이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들어가 있다는 사실을 재미있게 그려 보인다. 플래시 마지막 장면에서는 앞으로 10년 뒤, 어느덧 청년 과학자가 된 송유근군이 한국 천문학과 우주개발의 밝은 미래를 암시적으로 보여준다.
○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와 한국천문연구원, LG 사이언스랜드가 공동 제작한 ‘천문송’은 어린이들이 쉽게 따라 부르면서 그들의 활동무대가 될 우주에 대해서 꿈과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획했다.
○ ‘천문송’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공식 웹 사이트 (www.astronomy2009.kr)와 LG 사이언스랜드 (http://www.lg-sl.net)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 www.astronomy2009.kr
- 2009 세계 천문의 해 공식 웹 싸이트 : www.astronomy2009.org
- LG 사이언스랜드 : http://www.lg-sl.net
※ 담당자 연락처 :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사무국장 문홍규 박사
(042-865-3251, 017-415-3251, fullmoon@kasi.re.kr)-LG 연암문화재단 LG 상남도서관 임유은 대리(02-708-3705, yooeun@l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