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97 RSS
18 2006-10
가족과 함께하는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
No. 21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서귀포시(시장 이영두)는 과학문화를 쉽게 접할 수 없는 학생과 시민 및 관광객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별과 우주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을 10월 28일(토)과 29(일) 양일간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에서 개최한다.   ○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개관 기념으로 열리는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은 서귀포시와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서귀포시교육청, 제주교육과학연구원이 주관한다.   #FileLink0#   그림 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보조관측실 관측 장면   ○ 주요 행사로는 우주의 신비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천체관측과 천문강연, 도전 퀴즈골든별★, 천문관련 영화상영, 천체사진전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내에서는 천체투영실, 주관측실, 보조관측실, 전시실 등이 함께 운영된다. 이외에도 제주도 내 교사 단체에서 운영하는 10여개 우주과학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과 시민, 관광객들에게 천문우주에 대한 관심과 과학마인드 확산에 기여함으로써, 서귀포시가 과학문화도시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건설하고 있는 KVN을 홍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행사는 오후 4시부터 밤 10시까지 열리며 날씨가 흐릴 경우, 천체 관측 행사만 제외하고 모두 진행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홈페이지(http://astronomy.seogwipo.go.kr)를 확인하면 된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이동주 (042-865-3226)       서귀포시청 지역경제과 미래산업계 김명성 계장 (064-760-264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교육팀 박성홍 (064-739-970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교육팀 김병하 (064-739-9702)     1. 계속 프로그램(16:00 ~ 22:00)   연번 내용 장소 내용 1 우주과학체험 주차장 동쪽 우주과학 관련 체험 부스 운영 2 주관측실 관측 주관측실 LX200 16인치 (달, M13, M57) 3 보조관측실 보조관측실 망원경 3대 (달, 태양) 4 야외관측실 야외광장 망원경 9대 (천체관측) 5 영상물 강의실(영상실) 천문우주 동영상 6 별자리 이야기 플라네타리움 가을, 겨울 별자리 7 전시관 전시관 별, 행성 사진   2. 무대 프로그램    ? 1일차(10. 28.)   시간 내용 주제 진행 소속 17:00~17:30 과학마술 신기한 마술 세계 이명훈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7:30~18:00 개막식 테이프커팅 및 로켓쇼 김남오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8:00~18:30 강연 노인성 및 KVN 김봉규 한국천문연구원  18:40~19:30 퀴즈 도전골든별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19:40~20:30 즉석경연 공포조립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20:50~21:20 강연 소행성 충돌 임홍서 한국천문연구원   ? 2일차(10. 29.)   시간 내용 주제 진행 담당 17:30~18:00 화학실험 신기한 화학실험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8:00~18:30 강연 노인성 및 KVN 김봉규 한국천문연구원 18:40~19:30 퀴즈 도전골든별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19:40~20:30 즉석경연 소마큐브 조립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20:50~21:20 강연 소행성 충돌 임홍서 한국천문연구원
17 2006-10
우주 적외선카메라용 냉각시스템 시험모델 (PSICS) 개발 성공
No. 21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강신원)은 인공위성에 탑재하여 천체나 지상을 관측하기위한 우주탑재용 적외선냉각시스템 시험모델(Protomodel of Space Infrared Cryogenic System, 이하 PSICS)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 적외선 우주망원경의 핵심 부품인 적외선 센서는 절대온도 약 77 K (영하 196도)의 극저온에서만 동작하므로, 센서를 냉각시키기 위해 액체질소 등의 냉매를 이용할 경우 부피나 무게가 커져서 소형 위성에는 탑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형 위성에 적외선 우주망원경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소형 냉동기를 이용한 효율적 냉각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번에 개발된 PSICS는 이러한 냉각시스템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것이며 이를 이용해 향후 과학기술위성의 탑재체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FileLink0#   그림 1. 개발된 PSICS의 사진   ○ 개발된 냉각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PSICS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적외선 센서 및 냉각계, 광학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적외선 영상을 성공적으로 관측하였다(그림 2).   #FileLink1#   그림 2.  PSICS로 획득한 적외선 영상 (좌, 우) 및 일반 사진 (가운데, 왼쪽 컵에는 뜨거운 물이, 오른쪽 컵에는 찬물이 들어있다.)   ○ PSICS가 성공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적외선 우주망원경의 국산화 가능성에 청신호가 켜졌으며, 미래에 예상되는 수요에 대비하여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제는 기초기술연구회 협동과제로 추진되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위성탑재체그룹 남욱원 박사 : 042-865-3221          한국천문연구원 위성탑재체그룹 이대희 박사 : 042-865-337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자기장개발팀 김동락 박사 : 042-865-391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자기장개발팀 양형석 박사 : 042-865-3911  
16 2006-10
문용재 박사 세계인명사전 동시 등재
No. 215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박석재) 태양우주환경그룹 그룹장인 문용재 박사가 최근 세계 3대 인명사전 중에 미국의 인명연감 ‘마르퀴즈 후즈 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7 (24th Ed.) 와 영국의 ‘국제인명센터’ (International Biograph Center) 33rd Ed.에 동시에 등재되었다.   ○ 문 박사는 그 외에도 ‘마르퀴즈 후즈 후’에서 발간하는 Marquis Who's Who in Asia와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도 동시에 등재되었으며, 작년에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6 (23th Ed.)에 등재된 바 있다.   ○ 문 박사는 태양천문학 및 우주환경 연구 분야에서 80여 편(SCI 45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2002년 이후에 태양폭발 현상 및 우주환경 변화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통하여 2002년 이후 SCI 43편을 발표하였으며, 2005년에는 태양물질방출의 지구 방향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인자를 최초로 제시하였다. 특히, 이러한 연구 결과의 대부분을 이 분야 최고의 저널인 미국천문학회지와 미국지구물리학회지에 발표하였다.   ○ 문 박사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 2002년 한국천문연구원 논문특별상, 2003년 한국과총 우수논문상, 2003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 2004년 대통령상, 2006년 한국천문연구원 논문최우수상을 각각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태양폭발 위치감지 및 관측 기술개발 사업의 과제책임자를 수행하고 있다.   #FileLink0#   사진1. 한국천문연구원 문용재 박사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 문용재 박사 : 042-865-3249 (연구실)  
13 2006-10
“APSG2006 국제학술대회“ 개최
No. 214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제주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6회 APSG2006 (Asia-Pacific Space Geodynamics)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 APSG 국제학술회의는 현대의 첨단 우주측지학 및 지구관측기술을 바탕으로 지구의 형상과 변화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교류하는 장으로 측지학과 천문학, 대기과학, 해양학, 지구물리학 등 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1996년 중국 상해에서 제1회 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 이번 학술회의는 “Space Geodesy and Dynamic Planet"이란 주제 하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10여 개국에서 100여명이 참석하리라 예상된다.    ○ 이 학술회의를 통해서 GPS 및 여러 종류의 지구관측 위성을 이용한 지구과학연구와 더불어 지구의 환경변화 및 자연재해예방에 대한 응용 연구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게 된다.   #FileLink0#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측지연구부 박종욱 박사 (042-865-3233, 016-427-3231)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측지연구부 임형철 박사 (042-865-3235, 010-9540-1256)    
11 2006-10
한국천문연구원 ‘제2회 금요문화마당’-천문특강 ‘빅뱅부터 블랙홀까지’-
No. 21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제2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을 오는 13일(금) 오후 8시에 한국천문연구원 내에 위치한 은하수홀 소극장에서 개최한다.   ○ 이번 문화마당은 ‘빅뱅부터 블랙홀까지’라는 제목의 천문특강으로, 블랙홀 박사로 알려진 박석재 원장이 직접 현대 우주론에 관해 알기 쉽게 진행할 예정이다.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은 매주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에 개최하며 공연, 과학강연, 영화상영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진행된다. 모든 행사는 사전예약이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FileLink0# 그림 1. 은하수홀 전경   ○ 은하수홀은 담장을 헐고 일반 시민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꿈돌이광장’(9월 12일자 보도자료 참고) 전면 3층 건물의 새로운 이름으로,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일반인에게 개방되고 있으며, 꿈돌이 광장에 주차 후 은하수홀의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FileLink1# 그림 2. 제1회 금요문화마당 ‘의사랑 음사랑’ 공연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2005 (ysahnn@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18 2006-09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첫 공연
No. 21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담장을 헐고 일반 시민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꿈돌이광장’(12일자 보도자료 참고) 전면 3층 건물을 ‘은하수홀’로 명명한다.   ○ 은하수홀 소극장에서는 9월 22일(금) 20시 음악인 모임 ‘의사랑음사랑’의 공연을 시작으로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공연, 강연, 영화상영 등이 열릴 계획이다. ‘의사랑음사랑’은 성악과 기악을 즐기는 의사들이 주축이 되어 그동안 시민천문대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별 음악회를 주관해 온 음악동아리이다.   ○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이외에도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일반 시민들은 꿈돌이 광장에 주차 후 ‘은하수홀’의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FileLink0# 그림 1. 꿈돌이 광장과 은하수홀 전경 사진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의사랑음사랑 018-411-4502 심우훈,  http://cafe.daum.net/doctorlovemusic )  
11 2006-09
한국천문연구원 ‘꿈돌이 광장’ 준공식
No. 21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담장을 헐고 방문객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는 ‘꿈돌이 광장’을 조성하여 9월 12일 준공식을 갖는다. #FileLink0# 그림 1. 꿈돌이 광장 전경 ○ 천문(연)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및 대전시내로 진입하는 관문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꿈돌이 광장에 주차장과 휴식 공간을 조성하였다. ○ 방문객들은 광장 옆 3층 건물 안에 있는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 꿈돌이 광장 준공식은 천문(연) 창립 기념일인 9월 13일의 전날인 9월 12일(화) 오후 6시부터 축사, 꿈돌이와 꿈순이 조형물 제막식, 만찬, 인기 그룹 ‘프렌즈’의 축하공연 등으로 이어질 계획이다. ○ 꿈돌이와 꿈순이 조형물은 엑스포의 영광을 재현시키겠다는 바람을 담아 꿈돌이랜드에서 기증한 것이다. ○ 천문(연)은 앞으로 당분간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소극장을 개방하고 공연, 과학강연, 영화상영 등을 유치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 구성원 사이 마음의 장벽을 허무는 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소극장 첫 공연일자는 9월 22일(금)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시 알릴 예정이다. #FileLink1# 그림 2. 꿈돌이 광장 주차장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총무팀장 주재기 : 042-865-3331 한국천문연구원 총무팀 배정희 : 042-865-3316
06 2006-09
부분월식 예보- 보름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
No. 210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9월 8일 새벽에 일어나는 부분월식 현상을 다음과 같이 예보한다. 이번 부분월식은 새벽 3시 5분에 시작되어, 4시 38분에 종료된다.    ○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설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지구의 그림자는 태양빛이 전혀 보이지 않는 본영(本影)과 태양빛이 일부 보이는 반영(半影)으로 나뉘어 진다(그림 1). 부분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정확히 일직선으로 늘어서지 않고 약간 어긋나 있어서 달이 지구의 본영에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FileLink0#   그림 1. 해?지구?달의 기하학적인 위치에 따른 본영과 반영    ○ 남쪽하늘에 떠있는 보름달이 새벽 1시 42분 지구 반영에 진입하면서 달의 색이 약간 붉게 변한 뒤, 새벽 3시 5분에는 지구 본영에 들어가면서 부분식으로 나타난다. 4시 38분에 달이 본영을 나오면서 부분식은 종료되고, 6시에 반영식을 나오면서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표 1).   표 1. 시간에 따른 부분월식 진행 상황 진행상황 시 각 반영식의 시작 01시 42분 부분식의 시작 03시 05분 부분식의 최대 03시 51분 부분식의 종료 04시 38분 반영식의 종료 06시 00분    ○ 이번 부분월식의 최대식분은 0.189로서 달 전체 직경의 약 20% 가량이 지구 본영에 들어가기 때문에 식 진행과정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반영식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달의 광량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그림 2).   #FileLink1#   그림 2. 부분월식의 진행모습     #FileLink2#   그림 3. 2004년 5월에 있었던 부분월식 모습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월식으로는 2007년 3월 4일과 8월 28일에 있으며, 이때는 달 전체가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날 예정이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동주 연구원(042-865-3226)  
29 2006-08
2006 대한민국 별 축제-대덕특구의 열기를 서울로-
No. 209
□ 과학문화를 보급하고 우리 어린이들에게 별과 우주를 향한 꿈을 심어주기 위한 “2006 대한민국 별 축제-서울행사” 가 9월 1일(금)과 9월 2일(토) 양일에 걸쳐 서울 63빌딩 앞 한강둔치에서 개최된다.    #FileLink1#   ○ 이번 행사는 대덕특구에서 매년 성황리에 거행되는 ‘대한민국 별 축제’의 열기를 서울에서도 많은 시민들과 함께 나눔으로써 Science Korea 건설의 일익을 담당하고, 또한 유네스코 지정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국가적인 행사로 맞이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마련되었다.    ○ 행사 프로그램으로는 이동천문대와 각종 망원경을 이용하여 달과 목성, 알비레오, 성운·성단 등을 관측하는 것과, 아폴로 박사로 유명한 조경철 박사의 강연과 블랙홀 박사로 잘 알려진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장의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특히 조경철 박사의 ‘굿바이, 명왕성’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번 명왕성 퇴출과정과 그와 관련한 뒷얘기들을 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또한 별 홍보대사인 이승환 사장(갈갈이 삼형제 ‘느끼남’)이 진행하는 천문퀴즈와 퀴즈골든별(★)을 통해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그룹 프렌즈의 별(★) 음악회에서는 천재소년 송유근이 드럼을 치고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장이 기타를 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 이외에도 행사장에는 플라네타륨과 우주관련 3D영상, 학생천체관측대회 등의 행사와 가을밤 별자리 안내, 청소년 진로 상담 등을 위한 천문학자와의 만남 공간과 천체사진 전시부스, 대학, 연구소, 동아리, 업체 소개 공간이 준비될 예정이다.    #FileLink0#   ○ 1일 행사(금)는 오후 5시 연극 ‘꿈돌이와 견우직녀’를 시작으로 밤 10시까지 진행되며, 2일(토) 행사는 오전 11시 보조행사장에서 진행되는 천체사진 전시를 시작으로 오후 10시까지 진행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asi.re.kr)를 참고하면 된다. 날씨가 흐릴 경우에는 천체 관측 행사만 제외하고 모두 진행되며, 이틀 중 비가 오는 날의 행사는 취소될 수 있다.   ○ 이번 행사는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조청원)과 꿈돌이랜드(사장 장세일),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회장 심우훈), 한국우주과학회(회장 안병호), 한국우주소년단(총재 이상희),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 한국천문학회(회장 안홍배)가 공동 주최하고 CMB, 기초기술연구회, 대덕넷,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공동 후원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장 윤한배  : 042-865-3321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 042-865-3220              한국천문학회 홍보사업팀 이서구 연구원 : 042-865-2005     ○ 9월 1일(금) 프로그램   장소 시간 내용 비고 중앙 무대 17:00 ~ 17:30 꿈돌이랜드 쇼 꿈돌이와 견우직녀 17:30 ~ 18:30 OX 퀴즈 이태형 교수 외 18:30 ~ 19:00 과학강연 I 조경철 박사 19:00 ~ 19:30 별 홍보대사 퀴즈 쇼 이승환 대사 외 19:30 ~ 20:00 별 음악회 I 그룹 프렌즈 + 박석재 원장 20:00 ~ 20:30 꿈돌이랜드 쇼 천재소년 송유근 연주 20:30 ~ 21:30 도전 골든 별 양홍진 박사 외 21:30 ~ 22:00 별 음악회 II 그룹 프렌즈 관측 장소 16:00 ~ 22:00 천체 관측 해, 달, 목성 등 17:00 ~ 22:00 학생 천체 관측 대회 I    보조 행사장   천체 사진 전시     관련 대학 소개     천문학자와의 만남 및 진학상담     관련 업계 장비 전시     ○ 9월 2일(토) 프로그램   장소 시간 내용 비고 중앙 무대 17:30 ~ 18:30 OX 퀴즈 이태형 교수 외 18:30 ~ 19:00 별 음악회 III 심우훈 회장 외 19:00 ~ 19:30 별 홍보대사 퀴즈 쇼 이승환 대사 외 19:30 ~ 20:00 별 음악회 IV 그룹 프렌즈 20:00 ~ 21:00 도전 골든 별 양홍진 박사 외 21:00 ~ 21:30 과학강연 II 박석재 원장 관측 장소 14:00 ~ 22:00 천체 관측 해, 달, 목성 등 학생 천체 관측 대회 II    보조 행사장 11:00 ~ 22:00 천체 사진 전시   관련업계 장비 전시   17:00 ~ 22:00 천문학자와의 만남 및 진학상담   18:00 ~ 22:00 관련 대학 소개        
25 2006-08
No. 20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朴碩在)은, 한국시간으로 8월 24일 오후 9시 (체코 프라하 현지시각: 8월 24일 오후 2시) 제 26차 국제천문연맹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총회 2차 회의에서 표결에서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O 이번 총회에서 지금까지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알려진 명왕성이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결정되어, 태양계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8개이다. 따라서 행성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O 이번 회의 안건으로 제시된 5A1 안건이 통과됨으로써, 행성(planet)과 왜소행성(“dwarf planet”), 태양계소천체(Small Solar System Bodies)라는 새로운 용어가 정의되었다. 그리고 6A2 안건의 통과 결정에 따라 명왕성은 왜소행성이며, 해왕성궤도통과천체(TNOs; Trans Neptunian Objects)의 한 분류로 결정되었다.    O 이번 회의에는 500여명의 천문학자들이 투표를 통해 60% 정도의 찬성으로 결정하였으며, 한국천문연구원 김호일 박사를 비롯한 한국 천문학자 5명도 이번 투표에 참가하였다. 또한 이번회의에서는 IAU 고천문학 분과에 한국 원로천문학자인 나일성 박사가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참고.   1.  결의안 5A   (1) 행성1 은 태양계 천체로서 (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b) 충분한 질량을 갖기 때문에 자체중력으로 유체역학적 평형 (hydrostatic equilibrium)을 이루며, 구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한다. 또한, (c) 주변 궤도상의 천체들을 “쓸어버리는” (충돌/포획/기타 섭동에 의한 궤도변화 등) 물리적 과정을 이미 완료했다.   (2) 왜소행성 (“dwarf planet”)은 태양계 천체로서 (a)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b) 충분한 질량을 갖기 때문에 자체중력으로 유체역학적 평형을 이루며, 구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한다. 2 그러나 (c) (8개 행성1들에 비해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주변 궤도상의 천체들을 “쓸어버리지” 못했다. 그러나 이들 천체는 (d) 위성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3)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그 밖의 다른 천체들3 은 태양계 소천체 (Small Solar System Bodies)라고 분류한다.   __________   1 8개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2 IAU는 향후 왜소행성과 그 밖의 천체들을 구분하는 “경계조건” 상의 천체를 규정할 계획이다. 3 소행성과 해왕성궤도 통과천체 (TNOs; Trans-Neptunian Objects)의 대부분, 혜성과 그 밖의 태양계 소천체들이 이 범주에 속한다.     2.  결의안 6A   IAU는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 위 정의에 따라 명왕성을 왜소행성 (dwarf planet)으로 분류하고, 해왕성궤도 통과천체 (TNOs; Trans Neptunian Objects)의 전형으로 간주한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안영숙 박사 (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민병희 연구원 (042-865-2044)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이동주 연구원 (042-865-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