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9 RSS
24 2006-10
한국천문연구원 ‘제3회 금요문화마당’-영상 강연 ‘태양! 우리의 별’-
No. 219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제3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을 오는 27일(금) 오후 8시에 한국천문연구원 내에 위치한 은하수홀 소극장에서 개최한다.   ○ 이번 문화마당은 태양을 주제로 한 영상물을 통해 태양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가 태양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전문가의 해설과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은 매주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에 개최하며 공연, 과학강연, 영화상영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진행된다. 모든 행사는 사전예약이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FileLink0#   그림 1. 은하수홀 전경   ○ 은하수홀은 담장을 헐고 일반 시민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꿈돌이광장’ 전면 3층 건물의 새로운 이름으로,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일반인에게 개방되고 있으며, 꿈돌이 광장에 주차 후 은하수홀의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FileLink1#   그림 2. 제2회 금요문화마당 ‘천문강연’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3220 (ysahnn@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20 2006-10
국제 GNSS 관측망 국제 데이터 센터 공식 개소식
No. 21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국제 GNSS 관측망(IGS IGS : International GNSS Service)의 국제 데이터 센터(GDC GDC : Global Data Center (IGS와 전 세계 IGS 사용자간의 자료 interface 제공))를 유치하여, 2006년 1월 1일부터 공식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06년 10월 20일 IGS 회장인 Dr. John Dow와 IGS 운영 사무장인 Ms. Ruth Neilan를 모시고 공식 개소식을 한다. 이 센터는 세계에서 4번째이고, 아시아-오세아니아 권에서 유일한 국제 데이터 센터(이하 GDC)이다.   ○ 2005년 12월 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제 27차 국제 GNSS 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유럽연합의 Galileo 등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성항법시스템 전체를 통칭)  관측망(이하 IGS) 이사회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의 국제 데이터 센터(GDC)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   ○ 따라서, 2003년 4월 유치 신청 이후 GDC 시스템 및 운영기술을 독자적으로 구축?개발하고, 지난 1 년간의 시험 운용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은 천문연의 데이터 센터가 2006년 1월 1일부터 IGS의 4번째 GDC로 공식 출범했다.   ○ IGS는 1994년 출범 이후 13년 만에 처음으로 신규 국제 데이터 센터를 승인하였으며, 이로써 한국은 출범 당시부터 활동한 미국(2개소)과 프랑스(1개소)의 국제 데이터 센터와 함께 3번째 GDC 보유 국가가 된다.   #FileLink0#   그림 1. 국제 데이터 센터의 모습   ○ IGS GDC는 전 세계 350여개의 IGS 관측소로부터 GNSS 관측 데이터를 수집-저장하고 이를 전 세계의 IGS 사용자들에게 공급하는 GNSS 연구와 응용의 핵심인프라다.   #FileLink1#   그림 2. 전 세계 IGS 관측소   □ 한국천문연구원 GDC 승인과 개소식의 의의    ○ 한국천문연구원은 GDC 운영을 통하여 국제 GNSS 학계에 중요한 기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위성항법시스템의 단순 수혜국 입장을 탈피하는 동시에 우주선진국의 이미지 제고 및 국제적 입지를 구축하였다.    ○ 따라서 Telematics, 측지측량, 지구과학 및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GNSS 활용을 촉진시킴으로서, 국내 관련기술 및 산업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현재 추진 중인 국가 위성항법시스템 종합발전 계획의 원천기술 확보 및 국제협력체계 구축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한국천문연구원의 GDC는 IGS의 계획에 따라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및 유럽연합의 갈릴레오 시스템의 데이터 센터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며, 이를 통하여 GGOS GGOS : Global Geodetic Observation System (GEOSS의 관측시스템에 포함)  및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에도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하게 되었다.    ○ 특히, 한국천문연구원의 GDC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유일한 GDC로서, 이 지역을 대표하는 GNSS 데이터 허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 이번 IGS의 회장인 Dr. John Dow와 그간 IGS 운영의 핵인 사무장 Ms. Ruth Neilan을 모시고 한국천문연의 IGS GDC 개소식을 함으로써 지난 1월 1일의 공식 운영시작 이후 이제 천문연의 GDC가 완전히 공식적 승인, 인증 절차가 끝났음을 의미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의 IGS GDC는 기초기술연구회, 과학기술부의 지원과 한국전산원의 연구지원망 제공으로 구축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박종욱 부장 : 042-865-3233 (연구실), jupark@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조중현 박사 : 042-865-3238 (연구실), jhjo39@kasi.re.kr   국제 데이터 센터 (GDC : Global Data Center)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 의해 운용되고 있는 GPS를 시작으로 러시아의 GLONASS와 2008년 운영개시를 목표로 유럽연합(EU)이 준비 중인 Galileo 등 인공위성을 이용한 범지구 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s System)은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정보통신산업의 급속한 확대에 발맞추어 위치 및 시간정보가 관련된 제반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GPS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측위 기술은 다양한 지상 이동체의 항법분야뿐만 아니라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LBS(Location Based System), Telematics 등과 같은 위치정보 기반의 정보융합 응용 분야에서도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측지, 측량, 지도제작,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등의 전통적인 위치기반 산업분야도 GPS의 등장과 함께 관련기술의 발전 및 새로운 활용분야의 개척이라는 전기를 맞고 있다. 이와 더불어 GPS를 이용한 시간결정 기능은 통신 네트워크 및 모바일(Mobile) 환경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출현한 이동통신 분야 및 전자 금융, 전자 상거래, 유비쿼터스(Ubiquitous) 등 각종 전자 정보의 관리와 관련된 분야에 정밀한 시각정보 제공에 이용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GPS의 관측 정보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술은 세계 기준 좌표계의 설정, 지구 자전축의 회전계수 결정 등과 같은 우주측지 천문학 분야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각운동의 검출 및 감시, 지구대기의 변화감시 등과 같은 지구과학 분야에서도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한 필수 정보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GPS를 이용한 산업과 학술 응용분야의 급팽창에 따라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최고 품질의 다양한 GPS 정보의 수요가 국내외에서 폭주하는 추세이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1994년 국제 GPS 관측망(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이 설립되었다. IGS는 GNSS 관련 연구 및 개발 분야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국제기구로서 IGS 산하에 3개의 국제 GPS 국제데이터센터(Global Data Center)를 구축하여 세계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GPS 관측소에서 관측된 측정정보의 확보 및 가공, 저장, 배포에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IGS에 가입하는 GPS 관측소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GPS 사용자들이 다양한 정보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북미 및 유럽에 구축된 3개의 IGS 국제데이터센터만으로는 그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GPS 분야의 국내외적인 흐름에 부응하고, 동북아 지역 및 국제적으로 주도적인 지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2003년 4월 IGS에 국제데이터센터 구축을 제안하여 2004년 4월에 국제데이터센터 운용 가승인을 통보받았다. 국제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고성능 데이터 저장 클러스터, 고성능 웹서버, 데이터 처리서버, 고속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및 저장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사용자 편의를 위한 웹 포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1년간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2005년 3월부터 시험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4월 오스트리아의 IGS Governing Board 회의에서 2005년 말까지 시험운영과 시스템 무결성 보완 후 2006년부터 정식 운영하기로 잠정 결의되었다. 마침내 한국천문연구원이 2003년부터 추진해온 IGS 국제데이터센터가 2005년 12월 5일 IGS 이사회에서 공식적인 승인을 받음에 따라 세계에서 네 번째이자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첫 번째인 IGS 국제데이터센터가 되었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 및 우리나라 위상을 높이고, 국가 역량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국제데이터센터는 측지, 기상, 통신 등 우주측지 실용화 기술 개발의 중요 인프라로서 표준화된 고품질 GNSS 통합정보 제공을 통한 국내 측위기반 산업분야의 기술력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GPS 활용 연구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기반을 제공하고, GPS 기반 자연재해 방재정보 제공을 통한 경제, 산업적 손실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GPS 연구 및 활용분야에서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여 국제 공동연구를 주도하리라 기대하고 있다.   #FileLink2#   국제데이터센터 시스템 구성도   #FileLink3#   국제데이터센터 홈페이지 (http://gdc.kasi.re.kr/)  
18 2006-10
가족과 함께하는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
No. 21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서귀포시(시장 이영두)는 과학문화를 쉽게 접할 수 없는 학생과 시민 및 관광객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별과 우주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을 10월 28일(토)과 29(일) 양일간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에서 개최한다.   ○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개관 기념으로 열리는 2006 서귀포 별자리 여행은 서귀포시와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서귀포시교육청, 제주교육과학연구원이 주관한다.   #FileLink0#   그림 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보조관측실 관측 장면   ○ 주요 행사로는 우주의 신비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천체관측과 천문강연, 도전 퀴즈골든별★, 천문관련 영화상영, 천체사진전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내에서는 천체투영실, 주관측실, 보조관측실, 전시실 등이 함께 운영된다. 이외에도 제주도 내 교사 단체에서 운영하는 10여개 우주과학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과 시민, 관광객들에게 천문우주에 대한 관심과 과학마인드 확산에 기여함으로써, 서귀포시가 과학문화도시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건설하고 있는 KVN을 홍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행사는 오후 4시부터 밤 10시까지 열리며 날씨가 흐릴 경우, 천체 관측 행사만 제외하고 모두 진행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홈페이지(http://astronomy.seogwipo.go.kr)를 확인하면 된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이동주 (042-865-3226)       서귀포시청 지역경제과 미래산업계 김명성 계장 (064-760-264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교육팀 박성홍 (064-739-970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교육팀 김병하 (064-739-9702)     1. 계속 프로그램(16:00 ~ 22:00)   연번 내용 장소 내용 1 우주과학체험 주차장 동쪽 우주과학 관련 체험 부스 운영 2 주관측실 관측 주관측실 LX200 16인치 (달, M13, M57) 3 보조관측실 보조관측실 망원경 3대 (달, 태양) 4 야외관측실 야외광장 망원경 9대 (천체관측) 5 영상물 강의실(영상실) 천문우주 동영상 6 별자리 이야기 플라네타리움 가을, 겨울 별자리 7 전시관 전시관 별, 행성 사진   2. 무대 프로그램    ? 1일차(10. 28.)   시간 내용 주제 진행 소속 17:00~17:30 과학마술 신기한 마술 세계 이명훈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7:30~18:00 개막식 테이프커팅 및 로켓쇼 김남오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8:00~18:30 강연 노인성 및 KVN 김봉규 한국천문연구원  18:40~19:30 퀴즈 도전골든별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19:40~20:30 즉석경연 공포조립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20:50~21:20 강연 소행성 충돌 임홍서 한국천문연구원   ? 2일차(10. 29.)   시간 내용 주제 진행 담당 17:30~18:00 화학실험 신기한 화학실험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18:00~18:30 강연 노인성 및 KVN 김봉규 한국천문연구원 18:40~19:30 퀴즈 도전골든별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19:40~20:30 즉석경연 소마큐브 조립 고용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20:50~21:20 강연 소행성 충돌 임홍서 한국천문연구원
17 2006-10
우주 적외선카메라용 냉각시스템 시험모델 (PSICS) 개발 성공
No. 21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강신원)은 인공위성에 탑재하여 천체나 지상을 관측하기위한 우주탑재용 적외선냉각시스템 시험모델(Protomodel of Space Infrared Cryogenic System, 이하 PSICS)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 적외선 우주망원경의 핵심 부품인 적외선 센서는 절대온도 약 77 K (영하 196도)의 극저온에서만 동작하므로, 센서를 냉각시키기 위해 액체질소 등의 냉매를 이용할 경우 부피나 무게가 커져서 소형 위성에는 탑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형 위성에 적외선 우주망원경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소형 냉동기를 이용한 효율적 냉각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번에 개발된 PSICS는 이러한 냉각시스템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것이며 이를 이용해 향후 과학기술위성의 탑재체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FileLink0#   그림 1. 개발된 PSICS의 사진   ○ 개발된 냉각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PSICS에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적외선 센서 및 냉각계, 광학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적외선 영상을 성공적으로 관측하였다(그림 2).   #FileLink1#   그림 2.  PSICS로 획득한 적외선 영상 (좌, 우) 및 일반 사진 (가운데, 왼쪽 컵에는 뜨거운 물이, 오른쪽 컵에는 찬물이 들어있다.)   ○ PSICS가 성공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적외선 우주망원경의 국산화 가능성에 청신호가 켜졌으며, 미래에 예상되는 수요에 대비하여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제는 기초기술연구회 협동과제로 추진되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위성탑재체그룹 남욱원 박사 : 042-865-3221          한국천문연구원 위성탑재체그룹 이대희 박사 : 042-865-337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자기장개발팀 김동락 박사 : 042-865-391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자기장개발팀 양형석 박사 : 042-865-3911  
16 2006-10
문용재 박사 세계인명사전 동시 등재
No. 215
○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박석재) 태양우주환경그룹 그룹장인 문용재 박사가 최근 세계 3대 인명사전 중에 미국의 인명연감 ‘마르퀴즈 후즈 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7 (24th Ed.) 와 영국의 ‘국제인명센터’ (International Biograph Center) 33rd Ed.에 동시에 등재되었다.   ○ 문 박사는 그 외에도 ‘마르퀴즈 후즈 후’에서 발간하는 Marquis Who's Who in Asia와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도 동시에 등재되었으며, 작년에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6 (23th Ed.)에 등재된 바 있다.   ○ 문 박사는 태양천문학 및 우주환경 연구 분야에서 80여 편(SCI 45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2002년 이후에 태양폭발 현상 및 우주환경 변화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통하여 2002년 이후 SCI 43편을 발표하였으며, 2005년에는 태양물질방출의 지구 방향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인자를 최초로 제시하였다. 특히, 이러한 연구 결과의 대부분을 이 분야 최고의 저널인 미국천문학회지와 미국지구물리학회지에 발표하였다.   ○ 문 박사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 2002년 한국천문연구원 논문특별상, 2003년 한국과총 우수논문상, 2003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 2004년 대통령상, 2006년 한국천문연구원 논문최우수상을 각각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태양폭발 위치감지 및 관측 기술개발 사업의 과제책임자를 수행하고 있다.   #FileLink0#   사진1. 한국천문연구원 문용재 박사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 문용재 박사 : 042-865-3249 (연구실)  
13 2006-10
“APSG2006 국제학술대회“ 개최
No. 214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제주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6회 APSG2006 (Asia-Pacific Space Geodynamics)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 APSG 국제학술회의는 현대의 첨단 우주측지학 및 지구관측기술을 바탕으로 지구의 형상과 변화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교류하는 장으로 측지학과 천문학, 대기과학, 해양학, 지구물리학 등 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1996년 중국 상해에서 제1회 학술회의가 개최되었다.    ○ 이번 학술회의는 “Space Geodesy and Dynamic Planet"이란 주제 하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10여 개국에서 100여명이 참석하리라 예상된다.    ○ 이 학술회의를 통해서 GPS 및 여러 종류의 지구관측 위성을 이용한 지구과학연구와 더불어 지구의 환경변화 및 자연재해예방에 대한 응용 연구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게 된다.   #FileLink0#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측지연구부 박종욱 박사 (042-865-3233, 016-427-3231)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측지연구부 임형철 박사 (042-865-3235, 010-9540-1256)    
11 2006-10
한국천문연구원 ‘제2회 금요문화마당’-천문특강 ‘빅뱅부터 블랙홀까지’-
No. 21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제2회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을 오는 13일(금) 오후 8시에 한국천문연구원 내에 위치한 은하수홀 소극장에서 개최한다.   ○ 이번 문화마당은 ‘빅뱅부터 블랙홀까지’라는 제목의 천문특강으로, 블랙홀 박사로 알려진 박석재 원장이 직접 현대 우주론에 관해 알기 쉽게 진행할 예정이다. 천문연 금요문화마당은 매주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에 개최하며 공연, 과학강연, 영화상영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진행된다. 모든 행사는 사전예약이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FileLink0# 그림 1. 은하수홀 전경   ○ 은하수홀은 담장을 헐고 일반 시민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꿈돌이광장’(9월 12일자 보도자료 참고) 전면 3층 건물의 새로운 이름으로,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일반인에게 개방되고 있으며, 꿈돌이 광장에 주차 후 은하수홀의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FileLink1# 그림 2. 제1회 금요문화마당 ‘의사랑 음사랑’ 공연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2005 (ysahnn@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18 2006-09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첫 공연
No. 21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담장을 헐고 일반 시민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꿈돌이광장’(12일자 보도자료 참고) 전면 3층 건물을 ‘은하수홀’로 명명한다.   ○ 은하수홀 소극장에서는 9월 22일(금) 20시 음악인 모임 ‘의사랑음사랑’의 공연을 시작으로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공연, 강연, 영화상영 등이 열릴 계획이다. ‘의사랑음사랑’은 성악과 기악을 즐기는 의사들이 주축이 되어 그동안 시민천문대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별 음악회를 주관해 온 음악동아리이다.   ○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이외에도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일반 시민들은 꿈돌이 광장에 주차 후 ‘은하수홀’의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FileLink0# 그림 1. 꿈돌이 광장과 은하수홀 전경 사진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의사랑음사랑 018-411-4502 심우훈,  http://cafe.daum.net/doctorlovemusic )  
11 2006-09
한국천문연구원 ‘꿈돌이 광장’ 준공식
No. 21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담장을 헐고 방문객들이 휴게소로 이용할 수 있는 ‘꿈돌이 광장’을 조성하여 9월 12일 준공식을 갖는다. #FileLink0# 그림 1. 꿈돌이 광장 전경 ○ 천문(연)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및 대전시내로 진입하는 관문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꿈돌이 광장에 주차장과 휴식 공간을 조성하였다. ○ 방문객들은 광장 옆 3층 건물 안에 있는 소극장, 매점, 전시관, 식당, 화장실, 사무실 등도 평일(주말, 공휴일 제외) 10시부터 17시까지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용시간은 방문객 추이에 맞춰 확대할 방침이다. ○ 꿈돌이 광장 준공식은 천문(연) 창립 기념일인 9월 13일의 전날인 9월 12일(화) 오후 6시부터 축사, 꿈돌이와 꿈순이 조형물 제막식, 만찬, 인기 그룹 ‘프렌즈’의 축하공연 등으로 이어질 계획이다. ○ 꿈돌이와 꿈순이 조형물은 엑스포의 영광을 재현시키겠다는 바람을 담아 꿈돌이랜드에서 기증한 것이다. ○ 천문(연)은 앞으로 당분간 매월 둘째, 넷째 금요일 저녁 소극장을 개방하고 공연, 과학강연, 영화상영 등을 유치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 구성원 사이 마음의 장벽을 허무는 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소극장 첫 공연일자는 9월 22일(금)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시 알릴 예정이다. #FileLink1# 그림 2. 꿈돌이 광장 주차장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총무팀장 주재기 : 042-865-3331 한국천문연구원 총무팀 배정희 : 042-865-3316
06 2006-09
부분월식 예보- 보름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
No. 210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은 오는 9월 8일 새벽에 일어나는 부분월식 현상을 다음과 같이 예보한다. 이번 부분월식은 새벽 3시 5분에 시작되어, 4시 38분에 종료된다.    ○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설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지구의 그림자는 태양빛이 전혀 보이지 않는 본영(本影)과 태양빛이 일부 보이는 반영(半影)으로 나뉘어 진다(그림 1). 부분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정확히 일직선으로 늘어서지 않고 약간 어긋나 있어서 달이 지구의 본영에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FileLink0#   그림 1. 해?지구?달의 기하학적인 위치에 따른 본영과 반영    ○ 남쪽하늘에 떠있는 보름달이 새벽 1시 42분 지구 반영에 진입하면서 달의 색이 약간 붉게 변한 뒤, 새벽 3시 5분에는 지구 본영에 들어가면서 부분식으로 나타난다. 4시 38분에 달이 본영을 나오면서 부분식은 종료되고, 6시에 반영식을 나오면서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표 1).   표 1. 시간에 따른 부분월식 진행 상황 진행상황 시 각 반영식의 시작 01시 42분 부분식의 시작 03시 05분 부분식의 최대 03시 51분 부분식의 종료 04시 38분 반영식의 종료 06시 00분    ○ 이번 부분월식의 최대식분은 0.189로서 달 전체 직경의 약 20% 가량이 지구 본영에 들어가기 때문에 식 진행과정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반영식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달의 광량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그림 2).   #FileLink1#   그림 2. 부분월식의 진행모습     #FileLink2#   그림 3. 2004년 5월에 있었던 부분월식 모습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월식으로는 2007년 3월 4일과 8월 28일에 있으며, 이때는 달 전체가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날 예정이다.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장 안영숙 박사 (042-865-322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사업팀 이동주 연구원(042-865-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