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피인용 상위 1% 논문1)에 게재된 우리나라 연구자의 현황을 전 세계 상위 1% 논문과비교?분석한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를 발표함
’02년부터 ’12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고피인용 논문(피인용 상위 1%, 0.1%, 0.01%)을 대상으로 국가별, 분야별, 기관별 현황 분석 및 고피인용도 논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있는 자료 제공
우리나라에서 최근 11년간(’02년~’12년) 발표된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2,483편이며, 이는 세계 15위 수준으로 우리나라 SCI 논문의 0.7%에 해당하는 규모
※ ’02년~’1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전체 SCI 논문수는 341,834편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02년 1.4%에서 ’12년 3.2%로 약 2.3배 증가
우리나라의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은 ’08년~’12년 0.77%로 세계 평균(1.0%)보다 낮은 수준
- ’02년~’06년 0.64%에서 0.13%p 오른 수치로 증가추이를 유지
- 일본, 중국 등 타 아시아 국가들도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의 증가 추세는 유지하나, 세계 평균(1.0%)보다는 낮은 수준임
분야별로 볼 때 우리나라 피인용 상위 1% 논문 순위가 높은 분야는 재료과학(6위, 307편) 분야
- 화학(8위, 473편), 공학(11위, 317편), 수학(11위, 71편), 물리학(13위, 405편) 분야에서도 상위권을 차지
- 분야에 따른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을 살펴보면, 융합분야, 면역학, 수학 분야 등에서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우리나라의 강점 분야인 재료과학, 물리학 및 공학 분야는 증가세가 둔화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및 점유율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짐
- 중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02년 3.2%에서 ’12년 13.2%로 약 4배가 증가
- 재료과학, 화학, 공학 등 주요 이공학 분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순위에서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
※ 중국 주요 분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순위(’02~’12) : 재료과학 2위(1,026편), 화학 2위(1,873편), 공학 2위(1,557편), 수학 2위(475편), 컴퓨터과학 4위(256편), 물리학 6위(1,142편)
[목차]
1. 개요
2. 국가별 현황
3. ESI 분야별 현황
4. 정리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