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진흥 및 우수 연구자 집중 육성
- '14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으로 1,065과제에 985억원 지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우수연구자를 중점 육성하고 기초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으로 창조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2014년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o 이번에 선정된 신규과제는 2014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14.1월 수립)에 따라, 금년 1월 사업공고 후 접수된 총 4,469과제를 대상으로 암맹평가* 형식의 1차 토론 평가와 2차 발표 평가 등을 거쳐,
* 암맹평가(Blind Review)는 창의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도전적 연구과제가 선정될 수 있도록 과거 실적평가를 지양
o 우수 연구인력 육성을 위한 개인연구(신진, 중견) 사업에 1,048과제(869억원), 대학을 연구 거점으로 우수 연구그룹 육성을 위한 집단연구(기초연구실, 선도연구센터) 사업에 17과제(116억원) 등 총 1,065과제에 98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신진연구지원사업*은 젊은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차세대 우수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총 2,022과제를 접수받아 581과제**(약 288억원)를 선정하였다.
* 연간 5천만원 내외로 3년간 지원하며, 사업은 유형Ⅰ(본 연구)과 유형 Ⅱ(선행 연구 → 본 연구)구분 수행됨
** 유형 Ⅱ의 70개 과제(6월 선정)가 포함됨
□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은 창의성 높은 연구로 세계적 수준의 우수성과를 창출하는 핵심 연구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총 2,120과제를 접수받아 441과제(약 554억원)를 선정하였다.
o 우수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중견연구자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연구*에서 393과제(약 412억원)를 선정하였으며, 특히 여성과학자 선정목표제**를 설정하여 여성과학자에게 49과제(약 52억원)를 지원하였다.
* 연간 1∼2억원 내외로 3년 지원
** 여성과학자 선정목표제 확대(‘13년 12.5% → ’14년 13%)
o 또한, 리더연구자로 도약할 수 있는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도약연구*는 42과제(약 124억원)를 선정하였으며, 도약연구 종료과제 중 성과가 우수한 6과제(약 18억원)에 대하여 후속 연구를 지원하여 성과 지향적 과제 수행과 안정적 연구 환경 기반을 제공하였다.
* 연간 3억원 내외로 3년 지원
□ 리더연구자지원사업*은 창의적 아이디어 및 지식을 지닌 연구자를 발굴하여 세계수준의 연구리더를 지원하기 위해 총 26개 과제를 접수받아 해외평가** 등을 통해 2개 과제(약 15억원)를 6월에 선정할 계획이다.
* 연간 5~8억원 내외로 9년(3+3+3)간 지원
** 1차 예비 선정된 과제를 대상으로 해외평가 실시
□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은 소규모 집단연구 지원을 통해 차세대 창의·융합인재 양성 및 지역대학의 공동연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총 208개 과제를 접수받아 총 10개 과제(약 45.5억원)를 선정하였다.
* 기초연구실(Basic Research Lab, BRL)은 연간 3~5억원 내외로 5년간(3+2) 지원
o 특히, 지역대학 할당 비율의 확대(30%→50%)와 지역 밀착형 연구주제 위주의 지원으로 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한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 연구 여건 향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 선도연구센터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그룹 육성을 위해 분야별로 특화된 연구목표를 설정하여 총 37개 과제를 접수받아 총 7개 과제(약 71억원)를 선정하였다.
* 선도연구센터는 연간 10~20억원 내외로 7년간(4+3) 지원
o 이학연구센터는 과학적 난제 해결, 공학연구센터는 씨앗기술(특허, 기술이전) 창출, 기초의과학연구센터는 치료법, 헬스케어 기초기술 개발 등을 목표로 과제를 선정하였다.
* 이학연구센터(SRC : Science Research Center), 공학연구센터(ERC : Engineering Research Center),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 Medical Research Center)
□ 미래부 이근재 연구개발정책관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기술사업화 전문가와 전문기관 지원을 통해 이러한 연구성과가 사장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과장(02-2110-2370), 김기태 서기관(02-2110-2371)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