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일식촬영 방법 1997-03-07
일련번호:KAO-PR9703-2 배포일자:1997년 3월 7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천문대에는 부분일식 촬영에 대한 문의전화가 연일 접수되고 있다. 그래서 촬영 방법에 대한 두 가지 예를 소개한다. 필요한 준비물은 50mm 표준렌즈가 부착된 수동식 카메라와 ND 필터, 케이블 릴리이즈(cable release), 삼각대, 필름이다. 자동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노출시간과 조리개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케이블 릴리이즈는 셔터를 개방할 때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ND 필터는 태양 빛의 세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사용 필터의 조합에 따라 2만분의 1에서 10만분의 1까지 태양광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촬영의 예는 다음과 같다. [예1] 필름; ISO 100 필름 조리개; f/8 ∼ f/11 노출시간; 1/500초 필터; ND400 + ND8 + ND2 (세가지 필터를 겹쳐서 사용함) [예2] 필름; ISO 32 슬라이드 필름 조리개; f/5.6 노출시간; 1/500초 필터; ND400 + ND8 + ND2 (또는 ND4) (세가지 필터를 겹쳐서 사용함) 그리고 일식의 전 과정을 찍고자 할 때에는 다중노출 촬영이 좋다. 다중노출이란 필름 한 장에 여러 차례 촬영한 영상을 겹쳐지게 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태양이 달에 가렸다가 나타나는 파노라마를 필름에 담을 수 있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구도를 결정할 때 태양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편 사진 배경에 나무나 교회탑과 같은 지형지물을 배치하면 운치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