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혜성 발견자를 위한 "에드가 윌슨상" 제정 1998-06-15
일련번호:KAO-PR 9806-2 배포일자:1998년 6월 1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혜성 발견자를 위한 "에드가 윌슨상" 제정 한해 동안 전세계 모든 혜성 발견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에드가 윌슨(Edgar Wilson) 상"이 제정되었다. 이 상 은 1976년 타계한 에드가 윌슨의 유언에 따라 수여되는 것으로 상금 총액은 2만불이다. 그러나 발견자가 전문 연구 기관의 장비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수상 대상자는 대부분 아마추어 천문가이다. 상금(2만불)은 한해 동안 혜성을 발견한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기여도에 따라 균등하게 배분되는데, 각 발견자에 게는 혜성 발견 건수당 1점씩 점수가 부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총액 2만불을 혜성 발견자들에게 부여된 점수의 총점으로 나누어 획득 점수에 비례하는 금액을 발견자들에게 수여한다. 따라서 한 명이 여러 개의 혜성을 발견하 는 경우 그 만큼 상금이 많아진다. 그러나 2명 이상이 혜성을 공동으로 발견할 경우 개개인에게는 1점씩이 가산되 므로 1인당 받을 수 있는 상금의 액수는 작아진다. 그리고 한 혜성을 여러 명이 독립적으로 발견하면 각각 1점씩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마땅한 수상 대상자가 없을 경우 한해 동안 혜성 연구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가장 기여도가 큰 사람(들)에게 상을 수상한다. 수상자 선정 및 상금 액수의 결정은 국제천문연맹의 자문을 받아 미국 하버드대학 부설 스미소니언 천문대에서 시행하며, 매년 6월 11일 9시(한국 시각)부터 다음해 6월 11일 9시 사이에 발견한 혜성에 한한다. 제1회 수상은 1999년부터 시행하며, 올해 6월 11일부터 내년 6월 11일 사이에 발견된 혜성 발견 건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수상자는 매년 7월 중에 발표한다. 에드가 윌슨은 미국 켄터키주 렉싱톤(Lexington) 출신으로 1976년 타계했으며, 고인의 사재는 유언에 따라 하버 드 대학 부설 스미소니언 천문대에 기증되었다. 천문대는 국내 아마추어 천문가가 새로운 혜성 또는 천체를 발견 해 알려오면 즉시 보현산천문대와 소백산천문대 망원경으로 이를 확인해 주며, 발견 사실을 국제천문연맹에 신속하 게 알릴 예정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산 36-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실 (전 화) 042-865-3266 (FAX) 042-861-5610 http://hanul.issa.re.kr/∼knkim/pr.html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