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련번호:KAO-PR 9911-2 배포일자:1999년 11월 9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수성의 태양 면 통과
한국천문연구원(원장 李愚伯)은
이 현상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리 나타나며, 우리 나라의 경우 아침 6시 15분에 시작해서 7시 8분(포항 기준)
에 종료된다. 이 현상은 제주도 및 경상도 지역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기타 지역에서는 현상이 종료된 뒤에야 해
가 뜨기 때문이다. 관측이 가능한 지역에서도 현상이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에 해가 뜨므로 이 현상을 처음부터 관
측할 수는 없다. 또한 관측이 가능한 지역이라 할 지라도 해가 뜨는 방향에 산이 가려져 있으면 관측이 불가능하
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발표하는 일출 시각은 지평선 상에서 해가 뜨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그런 지역에서 이번
현상을 관측하려면 산의 정상에 올라가야 된다. 참고로 높은 산에 올라갈수록 해가 일찍 뜨기 때문에 관측이 용이
하다.
관측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 현상은 해가 뜰 때 수성이 해의 왼쪽 변두리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다(그림 참조). 수
성의 태양 면 통과는 금세기 중 13번이 있고, 이번이 금세기의 마지막이다. 또한 가장 최근에는 1993년 11월 6일
에 이 같은 현상이 있었고, 금후에는 2003년 5월 7일에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현상은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며 소형망원경 등을 이용해야 관측이 가능하다. 특히 맨눈으로 태양을
보는 경우 실명의 위험이 있다. 소형망원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태양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필터 없이 망원경으
로 태양을 보면 극히 위험하다.
진행 시간표(포항 기준)
1차접촉 |
2차접촉 |
식의 최대 |
3차 접촉 |
4차접촉 |
6시
15분 |
6시
29분 |
6시
42분 |
6시
55분 |
7시
8분 |
※ 1차 접촉 : 수성의 한쪽 끝 부분이 태양 면에 접촉(식의 시작)
2차 접촉 : 수성의 전부가 태양 면에 들어옴
3차 접촉 : 수성의 일부가 태양 면을 빠져나감
4차 접촉 : 수성의 전부가 태양 면을 빠져나감(식의 종료)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