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부분일식 예보 2002-05-31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조세형, 趙世衡)은 오는 6월 11일 오전에 일어날 부분일식 현상을 다음과 같이 예보합니다.
이번에 일어나는 일식은, 사이판을 포함한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는 금환일식으로 관측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됩니다. 일식이란 해와 달과 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달이 해를 가려 해의 모습이 일시적으로 볼 수 없게 되는 현상으로, 겉보기에 달이 해보다 크면 해를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나게 되고, 달이 작으면 해의 변두리 부분이 보이는 금환일식이 됩니다.
이번 일식은 태평양의 일부 지역에서는 해와 달과 그 지역이 완전히 일직선에 놓이게 되어 금환일식이 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일직선상에서 약간 벗어나기 때문에 부분일식으로 관측됩니다.
일식의 진행 시각은 지역에 따라 약간 다르며, 우리 나라의 주요 지역별 진행 시각은 표1과 같습니다. 이번 부분일식은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98년 8월 22일 이후 처음이며 다음 부분일식은 2004년 10월 14일에 일어납니다.
 

문의 : 한국천문정보연구그룹 김봉규 책임연구원(042-865-3228, 011-9837-3228)

(표1) 주요지역별 일식의 진행 상황

식의 진행 상황
지역

식의 시작

식의 최대

식의 종료

식의 진행시간

시각

시각

식분

시각

강릉

6시 53분

7시 39분

0.28

8시 28분

1시간 35분

광주

6시 47분

7시 33분

0.31

8시 24분

1시간 37분

대전

6시 50분

7시 35분

0.29

8시 25분

1시간 35분

부산

6시 46분

7시 34분

0.33

8시 27분

1시간 41분

서울

6시 53분

7시 38분

0.27

8시 25분

1시간 32분

제주

6시 43분

7시 31분

0.33

8시 22분

1시간 39분

※ 주의 사항 :
태양을 장시간 맨눈으로 보면 실명의 위험이 있으므로 짙은 색의 셀로판지를 여러 장을 겹친 것, 컴퓨터 플로피 디스켓, 카메라 필름의 검은 부분 등을 통해 이용해 일식을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특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망원경으로 해를 보면 즉시 실명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그림 1. 부분일식 예상도)


(그림2. 92년 12월의 부분일식 사진)


(그 림. 3) 금환일식 사진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