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가상천문대 2003-03-17

- 망원경 없이 우주를 관측한다 -

사장된 관측자료의 재활용으로 우주의 신비 규명

국가간 Network 구축으로 전세계의 관측자료를 한자리에

1. 한국가상천문대란 ?

가상천문대란 ?

세계 각 나라가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망원경으로 그 동안 관측한 자료를 한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시켜 놓고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상의 천문대. 즉, 가상천문대는 컴퓨터 안에 가상의 망원경이 있고, 그 망원경으로 원하는 관측자료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그림 1 참조). 가상천문대는 국가별로 구축되고 있다.
그림1. 컴퓨터 안에 들어있는 망원경과 관측자료

국제가상천문대연맹이란 ?

세계 각국의 가상천문대 간의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만든 조직. 국제가상천문대연맹은 궁극적으로 개개의 국가가 구축한 가상천문대를 하나로 연결하는 그리드(grid)망의 구축과 각 나라의 관측 자료간의 표준화, 자료처리 프로그램 공동 개발 등에 대해 상호 조정한다.

한국가상천문대란 ?

국내의 천문대 즉,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소백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대덕전파천문대와 대학 소유 천문대가 지금까지 관측한 자료를 한국천문연구원 전산 시스템에 입력해 누구나 쉽게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장기적으로는 세계 여러 나라의 가상천문대와 연결해 전 세계의 모든 관측자료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그림 2 참조).

2. 가상천문대의 장점

① 시간 및 비용 절감 관측자는 가상천문대에서 자신이 원하는 관측자료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있다면 실제 망원경으로 관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망원경을 사용해 관측할 경우 사용권 신청 후 몇 달이 지나야 실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상천문대에서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면 연구 기간을 몇 달이나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상천문대는 관측자료를 원하는 수준까지 분석해 제공하기 때문에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도 시간과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② 망원경 수의 최소화 가상천문대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관측자의 50 % 이상이 가상천문대에서 자료를 찾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망원경 설치를 국가에 요구하는 빈도도 낮아질 것이다.

③ 획기적 연구가 가능해 진다. 과거 특정한 시각의 특정한 천체에 대한 관측자료가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초신성 폭발이 발견되었을 때, 실제 폭발한 때가 언제인지 추적해 볼 수 있으며, 혜성이나 소행성이 발견되면 과거의 위치를 추적해 즉시 궤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지구접근 소행성의 경우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궤도를 결정해야 하므로 가상천문대의 자료는 대단히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④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가상천문대 자료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학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일반인들도 가상천문대의 자료로 멋진 천체사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2. 추진현황

세계 가상천문대 동향 조사 한국가상천문대 설치를 위한 기본 설계 11번째 국제가상천문대연맹 회원국으로 가입(03년 2월) 한국가상천문대 구축을 위해 국내 망원경 관측자료 수집 중

3. 향후계획 한국가상천문대 구축('02년 ∼'06년)

-보현산천문대,소백산천문대,대덕전파천문대,한국우주전파관측망, 우주자외선분광 관측자료 DB 구축

-관측자료의 표준화 및 자료처리 프로그램 개발

-국제 공동 협력 추진

 

가상천문대 홈페이지 : http://kvo.kao.re.kr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 (042-865-3228/011-9837-3228)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