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부분일식 예보 2004-10-0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조세형)은 오는 10월 14일 오전에 발생하는 부분일식 현상을 다음과 같이 예보한다. 이번 부분일식은 14일 오전 10시 52분(이하 서울기준)부터 11시 44분까지 52분간 진행된다.

  ○  일식이란 달이 해를 가려 해의 일부 혹은 전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이 중 해의 전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개기일식이라 하고, 일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부분일식이라 한다(그림 1 참조).

  ○  이번 일식은 달이 해의 극히 일부만 가리는 부분일식이다(그림 2 참조). 또한 광주광역시로부터 서남쪽 지역과 제주도(그림 3 참조) 등에서는 일식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  일식을 맨눈으로 관측하면 실명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일식을 관측하려면 컴퓨터용 플로피 디스크나 사진 필름의 검은 부분을 눈앞에 대고 보면 된다. 또한 소형 망원경을 사용할 경우 필히 태양 필터를 사용하며, 태양 필터가 없는 경우 망원경 뒤에 하얀 종이를 두고 태양을 투영하여 관측할 수도 있다. 필터 없이 망원경으로 직접 태양을 보면 즉시 실명하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이번 부분일식은 극동 아시아와 시베리아 지역, 북아메리카 북부, 태평양 북부 등에서만 관측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지역별 일식 진행 상황은 아래 표와 같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번 일식이 지난 2002년 6월 11일 이후 처음 일어나며, 다음 부분일식은 2007년 3월 19일에나 볼 수 있다.

  ○  지역별 부분일식의 진행상황

지역

시 작

최대

종료

지속시간

식분

서울

10:52

11:18

11:44

52분

0.04929

대전

10:59

11:20

11:42

43분

0.03236

강릉

10:46 

11:20 

11:55

69분

0.08622

대구

10:58 

11:23

11:48 

50분

0.04408

부산

11:01 

11:25 

11:48 

47분

0.03749

전주

11:05 

11:20 

11:36 

31분

0.01727

독도

10:44 

11:26 

12:07

83분 

0.1283 


그림 1.  일식의 원리 (지구의 위치에 따라 일식의 양상은 틀려진다.)
a : 개기일식, b : 부분일식, c : 부분일식, d : 금환일식  

 


 
그림 2. 부분일식의 진행모습

 

그림 3. 관측 가능지역(짙은 파랑)과 관측 불가능지역(옅은 파랑)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 (042-865-3226, 011-9837-3228)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이동주  
(042-865-3226, 011-9840-3397)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