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천문연, 템펠 1 혜성과 딥임팩트 충돌 예보 2005-06-30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오는 7월 4일 오후 2시 52분(한국시각), 미국 애리조나 주에 설치된 레몬산 망원경을 가동하여 템펠 1 혜성과 딥 임팩트 탐사선의 충돌 장면을 관측할 계획이다.

 ○ 레몬산천문대는 지난 2003년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애리조나 주 레몬산에 설치, 운영 중인 구경 1m 망원경으로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여 대전-레몬산간 무인원격 관측에 활용된다.   

 ○ 소백산천문대와 남아공관측소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덜랜드 소재)의 관측시설을 이용해 충돌 전후 상황을 관측할 계획이며, 이와 함께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과 고분산분광기를 이용해 스펙트럼 관측을 수행하고 혜성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충돌 전후의 혜성 밝기 변화를 통해서 분출물질의 양을 측정할 예정이다.  

 ○ 오는 7월 3일 딥 임팩트 탐사선에서 발사된 충돌체는 오후 2시 52분경 (한국시간 기준) 템펠 1 혜성과 충돌하며, 이 때 방대한 양의 먼지와 혜성 물질이 분출될 것으로 예측된다.

표 1.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계획 중인 템펠1혜성과 딥임팩트 탐사선의 충돌 관측 계획

 

관측시설 명

구경

설치 위치

소유기관

충돌 시 현지시간

관측 시점

남아공관측소

0.5m

남아공 서덜랜드

연세대-천문연

7월 4일 07:52

충돌 전후

소백산천문대

0.6m

한국, 충북 단양

천문연

7월 4일 14:52

충돌 6시간 후

보현산천문대

1.8m

한국, 경북 영천

천문연

7월 4일 14:52

충돌 6시간 후

레몬산천문대

1m

미국 레몬산

천문연

7월 3일 22:52

충돌 시점

 ○ 그림 1은 지난 6월 11일 오전 2시 35분 (한국시간 기준) 남아공관측소에서 촬영한 템펠 1 혜성의 관측영상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의 임홍서 선임연구원과 윤재혁 연구원이 대전-남아공 간 무인원격 관측을 통하여 얻었다. 이 영상은 V 필터 (60초), R 필터 (50초), I 필터 (40초) 촬영 후 합성한 것이다. 남아공관측소는 지난 2002년 4월, 한국천문연구원과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설립하여 현재 무인원격으로 자동운영되고 있다.


그림 1. 사진 가운데 희미한 꼬리를 가진 천체가 템펠 1 혜성으로, 현재 약 9등급이지만, 충돌 후에는 약 6등급까지 밝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림 2. 템펠 1 혜성은 충돌 당시, 처녀자리 알파별인 스피카 근처를 지나간다.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7월 4일 오후 딥 임팩트 탐사선과 템펠 1 혜성의 충돌장면을 공개할 예정이다. (관측결과는 현지 기상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첨부 1.  템펠 1 혜성 자료

--------------------------------------------------------------------------------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장 문홍규 : 042-865-3251
             한국천문연구원 홍보사업팀 이동주 : 042-865-3226

첨부 1.  템펠 1 혜성 자료

□ 템펠 1 혜성은 6월 말∼7월 초순, 저녁 9∼10시경 남쪽 하늘 처녀자리에서 찾을 수 있으며, 한국시간으로 7월 5일∼7일경 처녀자리 알파별 스피카 동쪽을 통과해 지나간다.

□ 템펠 1은 한국시간으로 7월 4일,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 (근일점)을 통과하는데, 이 때 밝기는 9.3등급이며, 충돌 이후 3∼4등급이 밝아져 6등급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일부 학자들은 충돌 직후 밝아진 혜성을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소형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템펠 1 혜성은 5년 6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궤도는 화성과 목성 사이를 지난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과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관측결과에 따르면 이 혜성은 길이 14km, 폭 4km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 혜성은 1867년 4월 3일,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에른스트 빌헬름 템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같은 해 5월 독일의 C. 브룬스에 의해 주기혜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 템펠 1 혜성은 발견 당시부터 1881년까지 5.68년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했으나, 그 이후 목성의 중력 영향 때문에 공전주기가 짧아져 현재 5.5년을 주기로 공전하게 되었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