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부 주관으로 개발되어 2003년 9월 27일 발사된 과학기술위성 1호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은 세계 최초로 우리은하에 분포하는 고온가스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성공하였다.
○ 과학기술위성1호는 우주관측을 수행함으로서 국내 우주과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 기초과학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개발되었고, 관측 자료를 이용한 이번 연구결과는 9편의 논문이 국제적으로 저명한 천체물리학회지인 Astrophysical Journal Letter 특별호로 발간되어, 국내 우주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증되었다.
□ 과학기술위성1호의 탑재체인 원자외선 우주망원경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원자외선 방출선의 영상과 스펙트럼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은 이를 이용하여 은하에 분포하는 고온가스의 거시적인 공간분포에 대한 전천탐사 관측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전천탐사 관측을 통해 주요 고온 가스의 냉각과정에서 방출되는 스텍트럼에 대한 전천지도를 작성하여 우리은하에 분포하는 성간물질의 물리적 상태와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은하의 진화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별이 수명을 다해 폭발하면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는 다시 냉각과정을 거쳐 새로운 별을 탄생시키기 때문에 고온가스 구조의 규명은 우리 은하 진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전천지도 이외에도 초신성 폭발과 주변에 분포하는 성간물질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백조자리 초신성잔해인 Cygnus Loop의 관측을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천체 구조들을 찾아냈고, 오리온-에리다누스 슈퍼버블(일련의 초신성 폭발로 형성된 거대 플라즈마 구조) 지역에서는 초신성잔해 내부의 고온가스와 주변의 차가운 분자운이 활발하게 상호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등 다수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FileLink0#
그림 : 과학기술위성 1호에 탑재된 원자외선 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얻은 우리은하 고온가스 전천지도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한원용박사 (042-865-3219)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유광선박사 (042-869-8639)
첨부파일(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