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국내 연구진이 광학망원경 등에 사용 되는 고성능 비구면 거울의 초정밀 가공을 위한 차세대 진화형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 신 기술은 광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Optics Express 3월호에 수록되었다.
○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의 한정열 연구원 등은 고성능 비구면 거울 제작 시, 가공 작업 오차를 스스로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나노미터 급 목표 표면 거칠기에 신속하게 도달하는 차세대 진화형 광학 가공 공정 모델을 세계 최초로 원천 개발하였다.
○ 개발된 차세대 광 가공 공정모델은 설정된 목표 표면 거칠기를 만들어내는 가공 변수들을 스스로 결정하며, 이전 가공 작업에서 발생된 오차들을 기억하여 다음 가공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 시키는 ‘차세대 지능형 공정 제어’ 기법을 사용하였다. 더욱이 기존에 개발된 신경 회로망 모델 등과 같은 복잡한 수치 모델과 차별화되어, 단순한 ‘다변수 회귀 (multi-variable regression) 수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광학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현장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정밀 비구면 거울은 차세대 30m 급 천체망원경은 물론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정밀 광학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천문연구원 연구진은 연세대학교 및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함께 100 mm 급 시제품을 가공하여 개발된 차세대 기술을 실제 가공 작업에 적용하였으며, 현재 국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1미터 이상의 거울 수백 개로 이루어진 30m 급 거대 망원경 주, 부경의 가공에도 능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한정열 연구원 (042-865-2050 eqhan@kasi.re.kr)
|
차세대 가공 기법으로 연삭 가공된 시제품 거울. 연삭 가공 되었으나 나노미터급 표면 거칠기를 가짐으로써 마치 연마된 표면처럼 보인다. |
참고자료 : Optics Express 란?
미국 광학회 (Optical Society of America) 가 광학 및 광기술 전 분야에서 새롭게 개발된 이론, 방법론, 기술을 가장 빠르고 널리 알리기 위해 발간하는 SCI 등재 학술지. 1997년 처음 발간되기 시작 하였으며, 최근 SCI Journal Citation Report에 의하면 Impact factor 순 1등으로 등재되어, 현재 광학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가진 국제 학술지이다.
표면 거칠기란?
국제 표준 기구(ISO)에서 정의한 중심선 평균 거칠기. 기준 길이 내에서 산과 골의 높이와 깊이를 기준 선을 중심으로 평균한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