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휴가철, 밤하늘에도 볼거리 가득! - 8월 12일~14일, 행성들의 모임, 별똥별비 2010-08-09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8월 13일을 전후하여 일어나는 천문현상들을 예보했다. 12일부터 14일까지 저녁 서쪽하늘에는 태양계 행성 4개와 달이 모여 있는 현상이 일어나고, 13일에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쏟아진다.

○ 8월 13일, 오후 7시 30분에 해가 지평선 아래로 지고나면 서쪽 하늘에 수성, 금성, 화성, 토성, 달이 한 눈에 들어올 정도로 모이게 된다. 고도 10도에서 빛나던 수성(0.6등급)은 저녁 8시 반쯤 서쪽 하늘로 자취를 감추고, 고도 20도에서 빛나던 금성(-4.3등급)과 화성(1.5등급), 토성(1.1등급)은 달과 함께 저녁 9시까지 볼 수가 있다. 달도 밝지 않은 초승달이여서 행성들을 관측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이들은 모두 고도가 낮아 서쪽 하늘에 높은 산이나 건물 없이 트여 있는 곳에서 볼 수 있다. 행성들과 달이 모여 있는 현상은 아래 그림과 같이 12일부터 14일까지 조금씩 그 모양을 달리하며 변화해간다. (그림1)


[그림 1] 8월 12, 13, 14일 저녁 8시 서쪽하늘의 모습
큰 그림(아래쪽)은 망원경으로 본 금성과 토성의 모습

8월12일 저녁8시, 화성, 금성, 토성, 정서쪽 아래 달 사진


8월13일 저녁8시, 화성, 금성, 토성, 정서쪽 아래 달 사진


8월12일 저녁8시, 화성, 금성, 토성, 정서쪽 아래 달 사진의 금성과 토성 확대 이미지


8월14일 저녁8시, 화성, 금성, 토성의 정서쪽을 지나 동쪽의 달



또한, 13일을 전후한 밤하늘에는 별똥별이 평소보다 많이 떨어지는 유성우 현상이 일어난다.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에서 날아오는 듯 보여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로 이름 붙은 이번 유성우는 이상적인 조건의 하늘일 경우 한 시간 동안 100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가 있다. 이번 유성우의 극대시간은 우리나라 시각으로 13일 오전 7시이다. 따라서 극대시간을 전후한 12일 밤, 13일 새벽, 13일 밤이 관측하기 좋은 시기이다. 유성을 많이 보려면 주변에 밝은 빛이 없는 곳에서 머리 꼭대기의 하늘을 넓은 시야로 관측하면 좋다. [그림2]


[그림 2]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예상도

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예상도로 카시오페아, 페르세우스, 백조, 거문고, 독수리 등의 별자리가 있다.



○ 한편 한국천문연구원은 천체들의 모임을 볼 수 있는 13일 저녁에 서울 여의도 플로팅스테이지에서 ‘별 헤는 밤 in Seoul' 행사를 진행한다. 이 행사는 과거에 비해 맑아진 서울의 공기를 느끼고, 대도시에서도 별을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취지로 열리며, 이동천문대차량인 스타-카를 비롯한 수 십 대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별과 우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마련되어 있다.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장 임홍서 042-865-3226
홍보팀     설아침 042-865-3393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