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필호)은 지난 1월 30일 발사한 나로호를 통해 궤도에 안착한 나로과학위성까지의 정밀한 거리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천문연 임형철 박사 등 SLR(Satellite Laser Ranging) 개발팀은 지난 3월 25일 나로과학위성의 레이저추적 승인을 받은 후 4월 12일 추적에 성공하였다.
○ 현재 나로과학위성에 대해서는 약간 큰 오차를 가지는 TLE가 제공되기 때문에 정밀한 추적 관측이 쉽지 않다. 하지만 이번 관측과 같이 각국의 SLR 관측을 통해 위치 정보는 계속해서 정밀하게 보정하게 된다.
※ TLE : Two Line Elements. 북미우주방위사령부에서 관측 후 계산되어 발표하는 특정 시각 위성의 궤도 정보로, 두 줄로 구성되어 있기에 TLE로 불린다.
□ 나로과학위성의 SLR 추적은 3월 29일 중국의 장춘관측소에서 처음 성공하였으며, 지리적인 관측 조건에 따라 천문연에서는 4월 12일 저녁 7시 52분 레이저추적에 성공하였다.
그림 1 SLR 추적 화면의 모습. 왼편 위로부터 오른편 아래로 흐르는 사선이 위성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레이저 광선의 신호이다.
그림 2 붉은 원 안이 나로과학위성이며 왼편의 흰 선은 추적중인 레이저 광선이다. 천문연 동영상 캡쳐
○ 이번 추적으로 계산된 천문연 관측소와 나로과학위성까지의 거리는 1,560,027.804m로 (2013.04.12. 19:53:15 한국시간 기준) 거리측정 오차는 ± 1cm 수준이며, 관측데이터 자료처리를 통해 그 정밀도는 mm 수준으로 향상될 것이다.
○ 천문연은 2012년 10월부터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을 운영하며 현재까지 약 20여기의 인공위성을 추적해오고 있다.
※ SLR 이란 : 2012년 10월 11일자 관련 보도자료 참조
http://kasi.re.kr/View.aspx?id=report&page=0&si=False&sn=False&ss=True&sc=False&keyword=&pagesize=20&uid=3806
○ 천문연은 나로과학위성 등 위성 관측자료를 국제기구(ILRS, International Laser Ranging Service)에 보고하고 위성의 정밀위치파악에 기여할 예정이다.
자료문의
☎ 042-865-3222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사업센터 박장현 센터장
☎ 042-860-2398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사업센터 임형철 박사
[참고 1] 나로과학위성 SLR 추적 개요
□ Mission 개요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 제공)
○ 발사일 : 2013.01.30
○ 궤도 : 고도 300∼1,500km, 궤도 기울기 80°, 이심율 0.082
○ 주요 탑제체
- Laser Retroreflector Array(LRA)
- Femtosecond Laser Oscillator(FSO)
- IR Sensor(IRS)
○ LRA(레이저 반사경) : 9개 반사경, 크기 20cm
그림 3.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 제공
□ 나로과학위성 레이저추적 현황
○ 인공위성연구센터 레이저추적 요청 시기 : 2013.03.25
○ 최초 레이저추적 : 2013.03.29. (장춘관측소, 중국)
○ ARGO-M 레이저추적 성공 : 2013.04.12
○ 나로과학위성 레이저추적 현황
- 전 세계 50여개 관측소 중 7개 관측소 성공
- ARGO-M은 7번째 레이저추적 성공
※ 배포되는 나로과학위성의 궤도가 정밀하지 않아 레이저추적하기 어려움(현재 모든 관측소는 TLE 기반으로 추적하고 있음)
□ 나로과학위성 레이저추적 개요
○ 레이저추적 성공 일시 : 2013.04.12. 오후 7시 52분
○ 레이저추적 기간 : 약 1분 (오후 7시 52분 ∼ 오후 7시 53분)
※ 고도 10도 이상 관측가능 시간은 5분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