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름달, 봄꽃에 붉게 물들었나. - 4월 4일 개기월식 천문현상 예보 - 2015-03-1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한인우)은 4월 4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천문현상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이번 월식은 4월 4일 19시 15분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시작되며 이후의 모든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지난 2014년 10월에 있었으며, 앞으로 2018년 1월에 이와 같은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다.

4월 4일 월식은 18시 00분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 평소보다 어둡게 보이는 반영식부터 시작되지만, 이때는 달이 뜨기 전이라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

이 날 우리나라에서 달이 뜨는 시각은 18시 48분이며, 19시 15분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 일부가 가려지는 부분월식부터 관측할 수 있다. 이후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20시 54분에 시작되며 21시 6분까지 지속된다. 이후 22시 45분까지 부분월식이 진행되며 4월 5일 00시 01분 반영식이 종료되면 월식의 전 과정이 종료된다.

개기월식 중인 20시 54분에서 21시 6분까지 약 12분 동안은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 


[표 1] 4월 4일 개기월식 진행시각 

4월 4일 개기월식 진행시각을 나타낸 표로서 반영식의 시작, 부분식의 시작, 개기식의 시작, 개기식의 최대, 개기식의 종료, 부분식의 종료, 반영식의 종료와 같은 진행상황별 시간(kst)를 나타냅니다.
진행상황 시각(KST)
반영식의 시작 18시 00분
부분식의 시작 19시 15분
개기식의 시작 20시 54분
개기식의 최대 21시 00분
개기식의 종료 21시 06분
부분식의 종료 22시 45분
반영식의 종료 24시 01분


한국천문연구원은 식목일 하루 전인 4월 4일 일어나는 이번 천문현상을 국민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게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전국천문우주과학관협회 등이 진행하는 전국 개기월식 관측회를 안내 및 지원한다.

전국 개기월식 시민 관측 장소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홈페이지(kasi.re.kr) 및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twitter.com/kasi_news)를 통해서 3월 25일부터 확인 가능하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월식현상이 진행되는 각 과정을 시간대 별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개기월식의 개념도 그림으로 지구에서 본 달의 모습으로 19시30분, 20시, 21시, 22시, 24시의 모습을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1] 개기월식의 개념도






개기월식 원리를 나타낸 그림으로 지구의 공전궤도와 달의 공전궤도, 반영식, 부분식, 개기식의 위치를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2] 월식의 원리




[ 참고자료 ]

개기월식은 어떤 원리로 일어나게 될까?

월식은 태양 ? 지구 - 달 순서로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천문현상이다.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지만, 달과 지구의 궤도가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보름달에 월식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를 부분월식이라고 하며,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를 개기월식이라고 한다.

■개기월식에 달에서는 어떤 현상이?


지구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난다면 달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달, 지구, 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되므로 달에서는 지구 뒤로 태양이 지나가는 일식과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다. 달에서는 지구가 태양보다 크게 보이기 때문에 태양이 지구 뒤를 지나가는 모습이 될 것이다. 커다란 지구 뒤로 작은 태양이 지나가게 되므로 지구에서 보는 일식 보다 더 오래 진행될 것이다.


2015년 4월 4일 개기월식 때 달에서 본 지구 상상도 그림

[그림 3] 개기월식 때 달에서 본 지구 상상도



   
■ 개기월식의 과학 ■

개기월식 때는 왜 달이 붉게 보일까?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를 지난 빛이 굴절되며 달에 도달하는데,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산란이 일어나 붉은 빛이 달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월식이 일어날 때마다 달의 붉은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이를 통해 지구 대기의 상태를 확인 할 수도 있다.

지구는 둥글다는 것은 어떻게 알았을까?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을 관측하다가 달에 드리운 그림자가 지구의 그림자이며, 그림자를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개기월식 관측지역에 대한 그림으로 월출과 함께 개기월식 시작, 월식 전과정 관측가능, 월몰과 함께 개기일식의 끝을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4] 개기월식 관측 가능 지역


   

시간대별 개기월식 진행도 그림으로 월출18:48 동쪽에서 19시15분 부분월식 시작으로 21시 개기월식이 일어난 것을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5] 시간별 개기월식 진행도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달에 대한 그림으로 본그림자 반그림자에 따른 황도를 나타내었습니다.

[그림 6]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달



    

[자료문의]
☎ 042-865-3393 한국천문연구원 글로벌협력실 설아침
☎ 042-865-2084 한국천문연구원 글로벌협력실 신혜정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