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천문연 참고자료] 나노위성 도요샛 관련 개요 및 참고 영상 2023-05-23

나노위성 도요샛 관련 개요 및 참고 영상



□ 도요샛(SNIPE, Small 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프로젝트 개요

 ㅇ 4기 나노위성으로 구성된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위성을 개발해, 지상에서 관측할 수 없는 우주 플라즈마 분포의 미세 구조를 연구

 ㅇ 개발 및 발사에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나노위성 여러 대를 동시에 발사해 우주환경을 입체적으로 관측

   - 미국, 일본, 유렵 등 우주 선진국에서도 도요샛과 비슷한 임무를 가진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 위성들을 발사했으나, 이들은 지구 규모의 거시적 관측만을 수행한 반면,

   - 도요샛은 위성간 거리와 비행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편대비행 기능을 추가하여 저궤도에서의 우주환경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 가능

 ㅇ 도요샛의 비행모델 개발은 모두 완료됐으며 누리호 3차 발사를 통해 2023년 5월 24일 나로우주센터 발사장에서 4기의 나노위성이 동시에 발사될 예정



도요샛(SNIPE) 상세 사양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도요샛(SNIPE) 상세 사양>

■ 임무 고도: 500km 태양동기궤도*

  * 궤도면과 태양이 이루는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궤도 

  - 위성 개수: 4기(가람, 나래, 다솔, 라온) 

  - 무게: 각 10kg 이하

  - 임무 수명: 1년

  - 소비 전력: 12W

  - 통신: UHF-대역, S-대역

  - 과학탑재체: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전리권 플라즈마 측정센서(랑뮈어 탐침), 정밀 지구 자기장 측정기





[붙임1] 도요샛 관련 동영상 및 사진

ㅇ 도요샛(SNIPE) 프로젝트 히스토리 유튜브: 도요샛 개발 주역들이 직접 소개하는 도요샛 히스토리

    - 1편 : https://youtu.be/rAmr4DwxR8Q

    - 2편 : https://youtu.be/ZwVZb6T-UNY

    - 3편 : https://youtu.be/AnWEJP8aaC8

    - 4편: https://youtu.be/10qFBpFz9Fg

    - 무자막본 : http://naver.me/xevdGfwN (“클린본” 폴더)

    - 도요샛 궤도: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HLDHWuIO_sc~.egg


그림 1

그림 1. 도요샛(SNIPE) 가상도


그림 2

그림 2. 도요샛(SNIPE) 가상도


그림 3

그림 3. 도요샛(SNIPE) 가상도


그림 4

그림 4. 도요샛(SNIPE) 기술검증모델



[붙임2도요샛 프로젝트 관련 홈페이지

ㅇ 도요샛 홈페이지 링크: http://kswrc.kasi.re.kr/snipe/main.php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