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82 RSS
13 2015-01
2015년 중소기업 기술멘토링 및 수요기반 R&D기획지원 사업공고
No. 362 일반
『중소기업 기술멘토링 및 수요기반 R&D기획지원 사업』안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R&D 관련 지식, 노하우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지원, R&D기획 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공동연구과제 발굴을 위한『중소기업 기술멘토링 및 수요기반 R&D기획지원 사업』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사업내용 1) 지원규모 - 기술멘토링 : 40개 기업 - R&D기획지원 : 10개 기업 (기술멘토링 참여기업 중 선정) 2) 지원형태 - 애로기술 해결지원 : 기업이 지원요청한 내용에 대하여 출연(연) 및 해당분야 전문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역량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결하도록 지원 - R&D기획지원 : 기업 보유기술 관련 기술?시장정보 분석, 사업화전략 수립 지원 등을 통해 해당 출연(연)의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연구과제 계획서 작성 또는 중기청 등 관련 사업예산 확보를 위한 계획서 작성지원 등 3) 지원부문 - 기술멘토링 - 신사업분야 탐색/발굴 지원 - 현안애로기술 해결 - 연구장비활용 지원 - 출연(연) 보유기술 이전 및 연계 - 기술역량 강화교육 - 기술커뮤니티 활동 지원 - R&D기획지원 10) 기술/시장/특허정보 분석 - 사업화전략 수립 지원 - 지원기관 및 지원내용 기관명, 주요내용의 지원기관 및 지원내용입니다. 기관명 주요내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www.kist.re.kr - 신경과학, 기능커넥토믹스, 뇌의약 등 뇌과학 분야 - 바이오닉스, 생체재료, 테라그노시스 등 의공학 분야 - 물질구조제어, 광전융합시스템 등 다원물질융합 - 물자원순환, 환경복지, 도시에너지시스템 등 녹색도시기술 - 스핀융합, 계면제어, 고온에너지재료, 전자재료, 분자인식, 화학키노믹스, 나노양자정보 등 미래융합기술 - 연료전지, 청정에너지, 센서시스템, 광전하이브리드, 실감교류 로보틱스, 영상미디어 등 국가기반기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www.kbsi.re.kr - 대형연구시설장비 구축 및 성능 최적화, 첨단공동활용장비 확충 및 성능향상 등 첨단/대형 장비구축 - 대형장비 기반 공동연구 및 첨단장비 활용 분석지원 등 전문연구지원 - 분석기술?장비 개발 - 국가 연구시설장비 총괄관리 국가핵융합연구소 (NFRI) www.nfri.re.kr - KSTAR 운영을 통한 세계수준의 핵융합 연구능력 확보 - ITER 국내 전담기구 역할 수행과 기술이전 - 핵융합 연구인력 양성 및 핵융합발전로 건설 첨단?원천기술 연구 - 핵융합 관련 파생기술을 활용한 첨단 신산업 창출에 기여 한국천문연구원 (KASI) www.kasi.re.kr 광학천문학, 전파천문학, 우주과학 위성항법 연구 천문우주과학 장비개발 전통천문학 연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www.kribb.re.kr - 바이오융합 및 원천기술, 바이오GT 원천기술, 바이오아젠다 원천기술 (대전본원) - 맞춤바이오신약 특화, NA중 고령화 대응 질환분야 (오창 분원) - 바이오GT 실용화/산업화, NA 중 신종감염질환 대응소재 분야 (전북 분원) 한국한의학연구원 (KIOM) www.kiom.re.kr - 한의과학화 및 원천기술 개발 ?한의학 이론의 과학화 ?한의진단?치료기술 및 침구경락 표준화 ?한약 규격화 및 한약제제 개발 - 한의인프라에 기반한 공공지원 기능 강화 ?한의학술정보 서비스 및 한의약 정책 수립 지원 ?전통의학 관련 국제 협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www.etri.re.kr - 방송?통신, 미디어분야 연구개발/SW?콘텐츠분야 연구개발 - IT 기반 융복합분야 연구개발 - IT 부품?소재분야 연구개발 - IT분야 정보보호 및 표준화 연구 - IT분야 기술사업화 및 중소기업 기술지원 - 기타 기술정책 수립지원, 시험평가 인증, 인력양성 등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이 위탁하는 사업 및 연구원의 임무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의 수행 국가보안기술연구소 (NSRI) - 국가보안시스템 연구개발 - 국가사이버 안전기술 연구개발 - 국가보안 기반기술 연구 - 국가보안업무 기술지원 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www.kict.re.kr - 국가기반시설 성능 및 안전 고도화 기술 연구개발 - 국토 재해 대응 기술 연구개발 - 친환경 국토 조성 기술 연구개발 - 국토관리 정보화 기술 연구개발 - 고성능 건설자재 기술 연구개발 - 건설공사 및 건설기자재의 품질인증, 검사 및 시험 - 기술정책 수립의 지원, 기업 기술지원, 기술사업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RI) www.krri.re.kr - 고속?일반?도시철도, 경량전철시스템 연구개발 - 초고속열차, 무가선 트램 등 신교통시스템 연구개발 - 철도안전, 표준화기술 연구개발 - 철도시스템 시험평가 및 인증 - 교통?물류시스템 설계 및 정책 연구개발 - 남북?대륙철도 연계기술 연구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www.kriss.re.kr - 길이, 시간, 온도, 광도, 질량, 전류 등 기본단위와 힘, 압력 등의 유도단위 국가측정표준 확립 및 유지?측정능력 향상 - 환경, 의료, 식품분야의 측정표준 확립 및 인증표준물질(CRM) 개발 - 산업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데 필요한 측정기술과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을 위한 측정기술 개발 - 양자측정, 나노바이오융합, 뇌인지측정, 의료융합측정표준 등 첨단 융합기술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KFRI) www.kfri.re.kr - 식품 기능성 규명, 신소재·신공정 연구개발 - 식품 저장·유통·안전성 기술 연구개발 - 전통식품의 세계화 연구개발 - 식품분석, 정보, 표준화 및 기반조성 연구개발 - 식품표준화(KS), Codex규격화 등 정책지원 연구 - 국내외 공동연구, 기술협력, 교육훈련 등 세계김치연구소 (WIKIM) www.wikim.re.kr - 김치세계화 추진을 위한 연구 및 사업 수행 - 김치의 원료, 제조공정, 미생물 및 발효, 저장유통 및 포장, 위생및 안전성, 건강기능성 등 김치에 관한 종합적 연구개발 - 김치산업에 대한 기반기술 연구 및 혁신기술 개발 -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및 수출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 - 김치산업 및 김치응용산업에 관한 연구 및 기술지원 - 김치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네트워크 운영 - 김치의 과학적 우수성 발굴 및 홍보 - 김치산업 및 김치관련 전문가를 위한 교육 및 훈련 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www.kigam.re.kr - 지질자원 기반정보 구축 및 지반?지하공간의 효율적 이용 기술 연구개발 - 광물자원 탐사?개발 및 순환?활용 기술 연구개발 - 지하 에너지자원 확보 기술 연구개발 - 지진, 지질재해와 지질관련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기술 연구개발 - 지하수자원의 탐사, 개발 및 보전기술 연구개발 - 기타 기술정책 수립의 지원, 시험평가인증, 인력양성, 기술지원, 기술사업화 등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이 위탁하는 사업 및 연구원의 임무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의 수행 한국기계연구원 (KIMM) www.kimm.re.kr - 나노융합기계 공정, 측정 및 장비기술 연구개발 - 초정밀, 지능형 생산시스템 단위장비 및 관련 공정기술 연구개발 - 환경오염 저감 및 친환경 기계시스템 연구개발 - 에너지 플랜트 핵심설비 및 기계시스템 연구개발 - 기계시스템 설계?엔지니링 연구개발 - 기계류?부품 신뢰성, 기술정책 수립, 기술지원, 인력양성, 기술사업화 등 재료연구소 (KIMS) - 금속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 - 세라믹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 - 표면 관련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 - 융복합 소재 및 관련 공정 연구개발 - 소재/부품의 공인시험평가 인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www.kari.re.kr - 항공기?인공위성?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과 상용화 - 항공우주 안전성 및 품질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항공우주 생산품의 법적인증 및 국가 간 상호인증 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www.kier.re.kr - 태양광, 풍력,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 이산화탄소 포집 등 온실가스 처리 연구개발 - 청정석탄, 비재래형 연료 등 화석에너지 청정 이용 연구개발 한국전기연구원 (KERI) www.keri.re.kr - 전력기술 및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시스템 연계기술 연구개발 - 전기기기 연구개발 - 전기부품소재 연구개발 - 전자의료기기 및 전기기술 기반 융합기술 연구개발 - 전기기기 시험?인증서비스 제공 및 관련기술 연구개발 한국화학연구원 (KRICT) www.krict.re.kr - 친환경 화학공정기술 개발 - 고부가가치 녹색 화학소재 개발 - 질환치료 신물질 파이프라인 확보 - 신성장동력 녹색 융합화학기술 개발 - 화학기업 지원 공공인프라 구축 및 운영 안전성평가연구소 (KIT) www.kit.re.kr - 안전성평가기술 연구개발 - 약리평가기술 연구개발 - 환경독성시험 및 위해성 평가기술 연구개발 - 화학 및 생물산업계에 대한 기술지원 및 전문 인력 양성 - 기타 기술정책 수립의 지원, 시험평가 인증, 기술사업화 등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이 위탁하는 사업 및 연구소의 임무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의 수행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www.kaeri.re.kr - 연구용 원자로 이용 연구개발 - 수출형 원자로?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 원자력 안전 연구개발 - 핵연료?원자력 재료 개발 - 미래형 신기술 개발 *자세한 내용 및 사업신청서는 첨부파일 확인 바랍니다.  
02 2015-01
2015 신년사
No. 361 일반
2015년 한국천문연구원장 신년사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여러분, 201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먼저 올 한 해도 여러분들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운이 깃들기를 진심으로 기원 드립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여러분, 작년에 우리는 연구원 창립 40주년을 기념했습니다. 40주년 기념식에서 저는 10년 후 50 주년에는 우리연구소가 세계최고수준의 국가천문연구기관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올해는 이런 목표를 향해 첫발을 내딛는 해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성취하는 데 중요한 몇 가지 화두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개방형 혁신입니다. 개방형 혁신이라는 것은 우리 조직을 더 개방적으로 변화시키고 대내외 협력을 강화하여 혁신을 이루는 것입니다. 대외협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 내부의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호 협업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갑시다. 개방성의 핵심은 대외 기관과 인력교류를 더 활발히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외부의 우수한 연구자가 중단기적으로 천문연구원을 방문하여 우리 연구자와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대폭 확장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우리 연구자들이 외부기관을 방문하는 기회도 늘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이제 연구 성과 평가의 잣대가 양에서 질로 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경우 연구 성과가 아직 양에서도 부족한 측면이 있지만, 과학적으로 정말 중요한 연구 성과에 대한 대내외의 갈망과 기대와 압력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라는 우수한 연구 성과가 지속적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세계수준의 연구그룹의 존재가 전제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제가 제안한 것이 First Mover 연구그룹을 발굴하여 중장기적으로 지원육성하자는 것입니다. First Mover 연구그룹공모가 곧 발표될 예정이니 많은 분들의 관심과 지원을 기대합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 여러분, 올 한해 우리가 수행할 연구 사업 중 특히 몇 가지 기대되는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남반구에 구축하고 있는 KMTNet은 이제 시설 구축이 완료되어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게 됩니다. 그동안 이 사업을 위해 애써준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향후 운영에도 최선을 다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가 쏟아져 나올 수 있도록 수고하여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다음으로 GMT 사업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건설 단계에 진입하게 됩니다. 우리도 과학적 연구를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해주시고 특히 그동안 준비해온 부경 제작 사업을 반드시 우리가 주도하여 올해에는 실제 부경 제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다음으로 텍사스 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한 근적외선 분광기 IGRINS는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구에 투입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분광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좋은 연구주제를 택하여 뛰어나 연구업적이 나올 수 있도록 IGRINS 운영 팀에서는 관련 연구자들을 독려하고 관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4 파장 동시관측 VLBI 시스템으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KVN도 이제 워밍업을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연구업적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VN 운영 그룹 그리고 KVN을 이용한 연구그룹의 분발을 기대하고 요청 드립니다. 우주부에서는 우주재난 대응을 위한 우주감시시스템 구축 사업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하여 2016년에는 실제 사업이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2015년은 UN이 정한 빛의 해입니다. 빛의 해에 천문 관련해서도 세계적으로 많은 행사가 기획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천문연구원이 관련 학회와 협력하여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 여러분, 저는 원장 취임 후 기회 있을 때마다, 저의 제일 중요한 책무는 연구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연구소, 모두가 행복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연구소를 만드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든 직원들을 섬기는 자세로 원장직을 수행하겠다고 공언하였습니다. 올해도 초심을 변치 않고 여러분들과 호흡을 같이 하며 최선을 다해서 연구소 발전에 매진하겠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런 좋은 연구소를 만드는 주인은 바로 여러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모두 주인의식을 갖고 상호 배려하고 참여하여 즐겁고 활기 있는 연구소를 만드는 주력이 되어주십시오. 새해에는 행복소통위원회에서도 좋은 행사를 많이 기획하여 더 신명나고 즐거운 연구소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 여러분, 2015년에는 더 큰 희망을 갖고 남이 내놓은 길이 아니고 서로 손잡고 우리가 새로운 길을 내며 앞으로 걸어갑시다. 새로운 길을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한 것을 발견하여 과학계의 First Mover로 떠오르는 분들도 올해는 많이 생기리라고 기대합니다. 다시 한 번 여러분들 건강과 가내 행복을 기원 드리며 신년사를 마칩니다. 우리가 소망하는 모든 것을 이루는 한해를 만들어갑시다. 감사합니다. 2015년 1월 1일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한 인우 
02 2015-01
No. 360 일반
JCMT망원경이 2015년 2월 1일자로 EAO (East Asian Observatory)로서 운영이 시작되고 천문연이 여기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본격적인 관측운용 (6월 이후로 예정)에 앞서 각 나라별로 한시적인 망원경 사용을 위한 관측제안서 접수를 받고자 하오니, 아래와 같이 관측제안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1. 대상 : 한국 소재 대학 및 연구원 소속 연구자 2. 제출마감일 : 2015년 1월 15일 17:30분 (KST) 3. 제출처 : eao_jcmt@kasi.re.kr 4. 양식 : 커버 페이지는 붙임 양식 사용. Science & Technical Justification 부분은 특별한 양식 없음. 내용 2장, 그림 1장 이내로 해야 함. 커버페이지와 내용을 포함해서 하나의 PDF 파일로 만들어서 제출. 5. 관측 기간 : 2015년 2월 1일 ~ 5월 31일 6. 최대 제안 시간 : 한 제안서당 12 - 24시간 이내로 함. 만약, 총 제안된 관측시간이 한국에 할당된 총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제안서를 적절히 평가한 후 관측제안시간을 조절할 예정임.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KASI announces a proposal call for the tentative use of Korean time of EAO (East Asian Observatory, previously JCMT) before its main operation (possibly on June 1st, 2015) as follows. 1. Proposer qualification Any researcher affiliated at Universities or Institutes in Korea can his/her proposal 2. Dead line : Jan. 15, 17:30 KST, 2015 3. Submission to: eao_jcmt@kasi.re.kr 4. Proposal form Please use a word file for your cover page as attached. But parts for Science & Technical Justification can be written with any editor. Maximum pages for the proposal are 2 pages (with additional 1 page for figures). Please your proposal including the cover page in a single PDF file. 5. Observing period : Feb. 1st ~ May 31st, 2015 6. Maximum request time Within 12h ~ 24h per one proposal. In case that total request time exceeds our allocated one for Korea, the request time in each proposal can be reduced through an evaluation process of the proposals. 7. Useful site for the proposal Radio Astronomy Division,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23 2014-12
No. 359 일반
2015년 소백산천문대 겨울학교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15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겨울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ㅇ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ㅇ 주제 : “Long-slit Spectros” ㅇ 대상 :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 ㅇ 일정 : 2014년 2월 5일(목) ~ 9일(월) ㅇ 인원 : 약 20명 (2인 1개조, 총 10여개 팀으로 구성) ㅇ 겨울학교 강의 계획    - 천체분광관측    - IRAF 사용법 및 Long-slit 분광    - 시선속도 / 속도분산 분석    - 방출선 및 흡수선 스펙트럼 분석    - 특강 : 미정    - 기타 특별 활동 : 태양안시관측, 눈 썰매타기, 트레킹, 등    - 팀별 결과 발표 ㅇ 참가비 (4박 5일 숙식비, 관측자 기준 적용) : 1인 12만원    - 숙식비 이외의 경비는 소백산천문대에서 지원 ㅇ 강사진 :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ㅇ 신청 및 마감 :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15년 1월 13일 신청 마감 ㅇ 선정 및 통보 :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 (1월 15일까지) ㅇ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 043-422-1108 (담당자 : 최한별, 박찬영)    - 신청접수 : stella84@kasi.re.kr / oossooo15@kasi.re.kr ㅇ참가신청서 : 첨부파일 참조 (2015년 대학생 겨울학교 참가신청서.hwp)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소백산천문대
16 2014-12
고해상도 디지털 ‘달 착륙지도’ 다운로드
No. 358 일반
□ 한국천문연구원과 삼성전자가 함께 공동으로 제작한 고해상도 디지털 '달 착륙지도'를 공개합니다. ○ ‘달 착륙지도’에는 월면의 바다 22개, 산맥 11개, 운석구덩이 47개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달 전면지도와 상세지도로 이루어진 이 자료를 통해 1966년 달에 처음 착륙한 옛 소련의 루나 9호부터 2013년 달에 안착한 중국 창어 3호의 옥토끼에 이르기까지 20개의 착륙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이번 ‘달 착륙지도’는 현재 준비 중인 한국의 달 탐사계획에 대비해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대한 원대한 꿈을 심어주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국산 카메라와 광학기술로 촬영한 달 사진을 최초로 활용하여 이뤄졌으며, 국내 최고의 광학기술을 보유한 삼성전자와 국내 유일의 천문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천문(연)이 공동 제작했다는 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림] 달착륙 지도 ○ 인쇄자료는 12월 24일(수)까지 한국천문연구원에 신청하는 학교에 한해 우편으로 배포해 드립니다. 자료를 원하는 학교는 위 신청서 양식을 다운받으셔서 작성 후 (담당자 : 설아침, kalpa@kasi.re.kr) 이메일을 통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 관련 보도자료를 확인하시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 달 착륙지도 관련 자료 문의 우주위험감시센터 최영준 박사 ☎042-865-3266 ▷ 달 착륙지도 관련 배포 문의 글로벌협력실 설아침 ☎042-865-3393
27 2014-11
No. 357 일반
2014 동계 교원천문연수 안내 -연수 요약 2014 동계 교원천문연수의 구분에 대한 기관명, 과정명, 과정구분, 종별, 목적, 장소, 대상, 기간, 경비, 참고사항, 평가계획, 셔틀버스 운행에 대한 상세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주요내용 기관명 한국천문연구원 (대전시교육청 특수분야 연수지정기관) 연수 과정명 초급,중급,고급,연구 연수 과정구분 전문성 향상 연수 종별 직무 연수 연수 목적 현직 교원들이 접하기 어려운 실질적인 천문학 지식과 현대 천문학 분야의 최신 지식을 연수하여 학교 교육에 기여함 연수 장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및 소백산천문대 (충북 단양군) 전화 번호 : 042-865-5909 전자 메일 : qudwp12@kasi.re.kr 우편 번호 : 305-348 F A X : 042-865-2144 연수 대상 전국 초?중등 교원 연수 기간 2014 동계 초급 : 1월12일~14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2014 동계 중급 : 1월14일~16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2014 동계 고급 : 1월23일~25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2014 동계 연구 : 1월19일~22일, 3박4일, 16시간, 1학점 연수 경비 초급 1인당 자비 부담 30,000원(식비별도 20,000원) 중급 1인당 자비 부담 50,000원(식비별도 20,000원) 고급 1인당 자비 부담 50,000원(식비별도 70,000원) 연구 1인당 자비 부담 50,000원(식비별도 110,000원) 참고 사항 강사 : 한국천문연구원 박석재 박사 외 17명 한국천문연구원은 1995년부터 매년 교원천문연수에 관한 특수분야 직무연수를 시행하고 있음 평가 계획 최저 이수 시간 16시간 셔틀버스운행 대전역(동광장), 동부터미널(노블레스 앞) 자세한 내용안내 및 연수 신청서를 작성하실려면 홈페이지 접수 여기를 눌러주세요. 교원연수 신청관련 문의 박병주 010-7378-6898 홈페이지 비밀번호 오류 및 문의 정경숙 042-865-2073
25 2014-1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2014 창조경제박람회 안내
No. 356 일반
2014 창조경제박람회정부출연연구기관 특허기술마당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함께합니다.” 국가괗가기술연구회 소관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분산 보유하고 있는 개별 특허기술을업수요기반의 재품단위로 묶어 빠른 시일 내 상용화 가능하도록 기술을 제공합니다. 11.27 (목)~ 11.30(일) 4일간/코엑스 D홀  전시상담개요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25개 출연연구기관 우수특허·기술 전시 - 기술이전 성공사례전시 - 출연연구기관 보유특허·기술DB 검색시스템을 통한 정보제공 - 현장 기술이전 및 지식재산(P) 금융상담운영  기술 및 IP금융상담 - 상담기간 : 2014.11.27 (목)~11.30 (일) - 상담장소 : 코엑스3층 D홀 전시·상담관 내 - 상담분야 : 환경에너지, 보건의료, 식품과학, 정보통신, 기계재료, 기타(6개분야) - 상담절차 : 기술상담신청(온라인) ▶ 상담시간배정·통보 ▶ 현장상담(코엑스D홀3층) ※전문기술 마케터 및 IP금융지원전문가 배정을 통해 현장상담운영
05 2014-11
No. 355 일반
제8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 공지 제8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을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수상팀 여러분들께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중등부 수상팀 제8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중등부 수상팀의 학교, 팀명, 상명, 내역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상 명 내 역 부림중학교 마카리안 대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대전동산중학교 오거성 금상 국립중앙과학관장상 인천신정중학교 나유타 금상 국립중앙과학관장상 우신중학교 미리내 은상 국립중앙과학관장상 남춘천중학교 Orion 은상 국립중앙과학관장상 명현중학교 GM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계룡중학교 하늘바라기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고창영선중학교 Antares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공주사대부속중학교 StarObserver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인천안남중학교 센타우리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2. 고등부 수상팀 제8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고등부 수상팀의 학교, 팀명, 상명, 내역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상 명 내 역 동두천고등학교 ButterStar 대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영생고등학교 Polaris 금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원곡고등학교 별바라기 금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강화여자고등학교 별바라기 은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강원사대부설고등학교 아스트로 은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남원고등학교 감성관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대전동산고등학교 딥스카이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양운고등학교 Alpha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천안중앙고등학교 별바라기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창원중앙여자고등학교 프로토스타 동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3. 지도교사상 수상자 제8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지도교사상 수상자의 학교, 팀명, 성명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성 명 부림중학교 마카리안 박상인 대전동산중학교 오거성 진병훈 인천신정중학교 나유타 박선영 우신중학교 미리내 김진혁 남춘천중학교 Orion 김정숙 명현중학교 GM 김경숙 계룡중학교 하늘바라기 황수민 고창영선중학교 Antares 박홍제 공주사대부속중학교 StarObserver 김현문 인천안남중학교 센타우리 한영진 동두천고등학교 ButterStar 노지영 영생고등학교 Polaris 이서현 원곡고등학교 별바라기 이승훈 강화여자고등학교 별바라기 고봉천 강원사대부설고등학교 아스트로 최원규 남원고등학교 감성관 하유림 대전동산고등학교 딥스카이 박세재 양운고등학교 Alpha 윤지영 천앙중앙고등학교 별바라기 유성재 창원중앙여자고등학교 프로토스타 김지영 ※ 시상식 날짜와 장소, 수상자 워크숍 관련내용은 추후 공지하겠습니다. ※ 관련문의 한국천문연구원 글로벌협력실 박병주042-865-5909
29 2014-10
No. 354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운영중인 보현산천문대와 레몬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의 2015년 상반기 관측제안서 마감일이 이번주 금요일인 10월 31일입니다. 관측제안서 제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각 천문대의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o 보현산 천문대 바로가기 o 소백산 천문대 바로가기 o 레몬산 천문대 바로가기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22 2014-10
No. 353 일반
한국천문연구원 패밀리 기업 지원업체 모집 공고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각종 제도의 지원을 통하여 강소 · 전문 ·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원하는 기업을 기술지도하는 제도인 테크노닥터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테크노닥터는 기술문제와 전문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전문가가 기술지도하는 제도입니다. 2014년도 신규 참여 업체를 아래와 같이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중소기업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 ○ 신청자격 : 상시 종업원 5인 이상 제조업체 ○ 모집분야 : 광학계 성능 측정 기술, 광학계 설계 및 제작 기술, 전파 신호처리 기술 전파천문 수신 기술, 우주방사선 측정 기술, 우주 측지 분야 기술 영상 · 전자제어 기술, 천체망원경 관련 기술, 천문 콘텐츠 ○ 지도기간 : 2년 ○ 업체분담금 : 없음 ○ 제출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및 거래 통장 사본 1부 ○ 신청기간 : 1차 접수 2014. 10. 30. (이후 수시접수) ○ 문의 및 접수 : 한국천문연구원 중소기업협력센터 ○ 담당자 및 연락처 : 김광동 (전문위원) 042-865-3357 / kdkim@kasi.re.kr 남욱원 (센터장) 042-865-3221 / uwnam@kasi.re.kr ○ 중소기업지원센터 공지문 참조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