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86 RSS
17 2007-04
기숙사 운영 안내
No. 116 일반
기숙사 운영안내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직원 후생복지 향상을 위하여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입주자격에 해당하여 기숙사 입주를 원하는 분은 아래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시설현황 (32실)    0 1인실 : 7실 (침대, 옷장, 책상, 의자, 냉/난방, 화장실/욕실)    0 2인실 : 22실 (침대, 옷장, 책상, 의자, 냉/난방, 화장실/욕실)    0 게스트 룸 : 3실      - 콘도형 : 2실 (상기 시설 외에 침구, 거실, 주방, 냉장고, TV, 전자렌지 등)      - 1인실 : 1실 (침대, 침구, 옷장, 책상, 의자, 화장실/욕실, 냉/난방 등)    0 휴게실, 공용 주방시설, 공용 세탁실 ■ 입주자격    0 기숙사 입주자격은 다음과 같다.      - 직원, 외국인과학자 및 박사후연수원 위촉연구원, 과제연구원, 학연학생, 연수생 등    0 게스트 룸      - 단기 체류하는 초청 유치과학자 및 전문가      - 기타 공무상 연구원을 방문하는 외부인사 ■ 이용요금 구분 기숙사 게스트룸 비고 1인실 2인실 콘도형 1일실 1개월 100,000원 60,000원 1일(40,000원) 월(400,000원) 1일(20,000원) 월(300,000원) 중간 입주자 1할 계산(기숙사) ■ 세부사항은 기숙사 운영지침에 따른다.   Dormitory User Guide □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has a dormitory with 32 rooms, housing employees and guests from in and outside of Korea. Anyone interested in residing in KASI dormitory can refer to the information below. □ Accommodations    ○ Single : 7 rooms (bed, closet, desk, chair, air-conditioning, bathroom)    ○ Double : 22 rooms (bed, closet, desk, chair, air-conditioning system, bathroom)    ○ Guest : 3 rooms       - Condominium : 2 room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edclothes, living room, kitchen, refrigerator, TV, microwave etc.)       - Single : 1 room (bed, bedclothes, closet, desk, chair, bathroom, air-conditioning)    ○ Facilities for Common Use : Kitchen, Lounge, Launderette □ Eligibility    ○ Applicants for admission to KASI dormitory must meet the following criteria.       - Employees, Foreign scientists and Post-docs, Project researcher, University-Institute joint training students, Trainees,    ○ Guest room       - Invited scientists and experts of a short stay.       - Any guest visiting KASI for official business □ Fees (Unit : Won) Specification Dormitory Guest Room Etc. Single Double Condominium Single 1 month 100,000 60,000 1 day (40,000) 1 month (400,000) 1 day (20,000) 1 month (300,000)   □ Details items comply with dormitory managerial guide.
16 2007-04
과학의 날 특집 EBS다큐멘터리<외계생명체를 찾아서>
No. 115 일반
과학의 날 특집 EBS다큐멘터리   방송 시간: 2007년 4월 20일(금요일) 저녁 9시 50분(50분) 담당PD: 문현식   2007년 과학계의 화두 ‘외계 생명체’ 2007년 과학자들의 키워드는 ‘외계 생명체’다.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등 세계유수의 과학전문잡지는 머지 않아 외계 생명체가 발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연 지구에만 인간과 같은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까?’ ‘이 지구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외계 생명체의 발견은 이 오래된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에게 외계 생명체는 허황된 공상에 불과한 현실이다. EBS다큐멘터리팀은 미국,호주 등의 현지 촬영을 통해 ‘외계 생명체’를 추적, ‘외계 생명체’는 현대 과학의 물음이며 동시에 가장 오래된 철학이라는 것을 말한다.   SETI 프로젝트의 현장 40년 전, 인류는 새로운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외계 문명 탐사) 라 이름 붙은 이 프로젝트는 외계 지적생명체를 추적하고 있다. 어떻게? 전 세계 전파 망원경에서 포착된 우주의 전파 중 누군가가 일부러 만든 흔적이 뚜렷한 인공전파를 찾아 내는 게 SETI 프로젝트의 관건이다. 이 SETI 프로젝트에 몸담고 있는 이들은 소수의 과학자들이 아니다. 전 세계 500만대의 개인 컴퓨터가 외계 지적생명체를 찾는 일을 돕고 있다. 미지의 존재를 찾기 위해 1초에 200조회가  넘는 계산이 실행되고 있는 셈이다.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SETI연구소를 찾았을 때 연구원들은 전 세계 500만 명이 자신의 컴퓨터로 분석해 보내오는 전파 보고서를 선별하느라 분주했다. 그렇다면 40년간 SETI 프로젝트의 성과는? 아직 없다. 성과가 없는 이유에 대해 그들은 “우리가 그들을 찾기 시작한 건 고작 40년 밖에 안되었기 때문” 이라고 대답한다.   질타터, 프랭크 드레이크..세계 유명 천문 과학자에게 듣는 외계생명체 칼세이건 원작으로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조우를 그린 영화 콘택트의 실제 모델인 질타터 박사, 그리고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유명한 프랭크 드레이크박사 등 현재 외계 생명체 추적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과학자들이 입을 열었다. 그들은 외계 지적생명체는 지구보다 훨씬 높은 기술문명을 가진 존재들이라고 말한다. “은하계는  140억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지구의 역사는 고작 45억년이잖아요. 만약 그들이 우리보다 100만년 먼저 우주에서 살기 시작했다면 얼마나 더 진화했을지 상상해 보세요, 기술은 또 얼마나 발전했겠어요 ”   취재진이  그들에게 던진 마지막 질문.   “외계 지적 생명체를 만나면 제일 먼저 무엇을 물어보고 싶으세요?” 각기 다른 장소와 시간에 던진 이 질문에 대해 과학자들의 답은 한결 같았다. “문명을 파괴할 수도 있는 높은 기술문명을 가지고도 어떻게 평화를 유지하고  살아남을 수 있었나?“ 과학자들의 대답은 인류가 외계 생명체를 찾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했다.   과학의 날 특집 EBS다큐멘터리 ‘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에서는 인류가 우주로 보낸 편지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과 함께 현재 외계 생명체를 추적하는데 중심이 되고 있는 미국과 호주의 전파망원경의 모습도 담았다. 그리고 우주의 모습을 수준 높은 영상으로 재현, 시청자들을 지구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광활한 우주로 안내할 것이다.   출연자   충북대학교  : 한정호 SETI INSTITUDE : JILL TARTER SETI INSTITUDE : FRANK DRAK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DAN WERTHIMER   NASA AMES RESEARCH CENTER : MAX BERNSTEIN NASA AMES RESEARCH CENTER : DAVID MORRISON DENVER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 DAVID GRINSPOON          
27 2007-03
No. 114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연구 및 사업에 밀접한 분야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관측장비의 공동활용을 유도하며 다른 연구지원기관에서 받아들여지기 힘든 미래지향적 과제를 지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2007년도 학·연 협력사업 위탁연구과제」를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07년 03월 28일한국천문연구원장 박 석 재 1. 위탁연구과제 공모 분야    ○ 한국천문연구원의 연구 및 사업에 밀접한 과제    ○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관측장비를 공동활용 할 수 있는 과제 2. 선정방식 : 공개공모(연구계획서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선정)3. 지원규모 : 과제당 연구사업비 연간 20백만원 내외 4. 신청자격 : 대학(교) 천문학 관련 조교수 이상 및 연구교수 5. 신청서 접수    ○ 위탁연구과제 신청 방법 : 첨부한 위탁연구과제 신청서 서식에 따라 과제신청서 작성/제출    ○ 제출서류 : 신청 공문 1부, 위탁연구과제 신청서 2부    ○ 제출방법 : 방문 또는 우편제출(우편제출은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 제출기한 : 2007. 04. 10(화) 17:30까지    ○ 접수처 : (305-348)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예산연구관리팀 지용구(본관 1층)                    (전화) 042-865-3326, (팩스) 042-861-5610
22 2007-03
제 15회 천체사진공모전 시상식
No. 113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 국립중앙과학관(관장 : 조청원), 동아사이언스(대표 : 김두희)는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시상식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시간 : 2007년 4월 18일 (수) 오후 3시  장소 :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2층 회의실  제 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자 및 당선작에 관한 내용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 : 천문정보사업팀 천체사진공모전 담당자 (042-865-2044)
21 2007-03
제13회 미래기술포럼-'도·밀·끌'로 하나된 신바람 공감(共感) 경영
No. 112 일반
제13회 미래기술포럼-'도·밀·끌'로 하나된 신바람 공감(共感) 경영 초청장
16 2007-03
No. 111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은 홈페이지를 통해 19일 진행될 부분일식의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부분일식 정보 - 3월 15일자 보도자료 참조)   이번 부분일식은 오전 10시 48분에 시작하여 12시 16분에 종료하며(서울 기준),    부분일식 인터넷 생중계는 오전 10시부터 본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될 예정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관측한 과거의 일식 자료는 다음 사이트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os.kasi.re.kr/korean/media_center/gallery/gallery_list.php
16 2007-03
제 15회 천체사진 공모전 당선작
No. 110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과 국립중앙과학관(관장 : 조청원), 동아사이언스(대표 : 김두희)가 공동 주최하는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을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대상에는 고창균의 "SH2-240"이 선정되었습니다.   구   분 성   명 제   목 그   림 대상 고창균 SH2-240 금상 일반부 이건호 장미성운 청소년부 백승민 수피령 북천하늘 일주 은상 일반부 김민규 하현 일반부 김기환 지중해의 흑양(黑陽) 청소년부 오준택 겨울새의 비상 동상 일반부 김일순 쌍가락지성운(Helix Nebula) 일반부 신범영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 884와 NGC 869) 일반부 조창우 M13 구상성단 청소년부 이재용 밤하늘의 밝음 - 달, 목성, 토성 장려상 일반부 김철중 하루의 반 일반부 유한성 산정의 노을과 별 일반부 강문기 북아메리카성운(NGC 7000) 일반부 변성식 갈매기 성운(IC 2177) 청소년부 현철환 달의 크레이터 입선 일반부 전영준 장미성운 일반부 성대환 스완혜성 일반부 한종진 수성 일면 통과 일반부 최훈옥 안드로메다은하 청소년부 김승현 플레이아데스성단 청소년부 김형구 궤적 청소년부 정태영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수상하신 모든 분들께 축하드리며, 시상식은 4월 중 한국천문연구원 본원(대전)에서 있을 예정입니다.시상식 날짜는 홈페이지에 공지 및 개별 통지할 예정입니다.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은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와 과학동아 4월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http://www.dongascience.com/info/smain.asp?mode=aphoto    
09 2007-02
No. 109 일반
제 15회 천체사진공모전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과 국립중앙과학관(관장 : 조청원), 동아사이언스(대표 : 김두희)는 천문과 관련한 과학문화 확산 정책의 일환으로 천체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이 행사는 아마추어 천문가를 발굴하고 천문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전 국민들의 천문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공모 기간 - 2007년 2월 12일 (월) ~ 2007년 3월 3일(토) 도착 분에 한함.   - 규격 - 11×14인치 이상이어야 하며, 천체가 포함되어 있으면 풍경사진도 가능.   - 시상 내용 -   구 분 인 원 시 상    내 용 대 상 1 상패 및 상금 100만원 금 상 일반 부문 1 상패 및 상금 70만원 청소년 부문 1 상패 및 상금 50만원 은 상 일반 부문 2 상패 및 상금 40만원 청소년 부문 1 상패 및 상금 30만원 동 상 일반 부문 3 상패 및 상금 20만원 청소년 부문 1 상패 및 상금 10만원 장 려 상 5 상패 입선 5 상패         ※ 청소년 부문에 참가하려면 공모 마감 당일 만 18세 미만이라야 함       ※ 대상과 장려상, 입선은 일반 부문, 청소년 부문을 구분하지 않고 심사함   - 기타 -    라. 기타        - 공모 작품은 간행물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라야 하며, 기타 사진전에 당선되지 않은 것이라야 한다.        - 사진 및 관련 정보(개인정보와 사진정보)는 우편으로 접수받는다.        - 공모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E-mail주소, 공모 부문(일반, 청소년)이 명기되어야 한다.        - 공모 작품의 제목, 카메라 종류(디지털카메라, 필름카메라 여부) 및 망원경 종류, 촬영일시, 촬영장소, 렌즈, 필름, 노출시간이 명기되어야 한다.        - 당선된 작품에 대하여는 주최기관이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한다.        - 출품된 작품은 반환하지 않는다.   - 보낼 곳 -        - (우) 305-348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담당자        - 문의 전화 : (042)865-2044        - 사진정보 보낼 곳 : kasinfo@kasi.re.kr        - 사진정보내역 양식 : 천체사진정보내역양식.hwp      당선작 선정은 3월 초에 이루어지고, 발표는 과학동아 및 동아일보, 한국천문연구원 및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 3월 중에 게재되며, 시상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4월 중에 열릴 예정이다.   ※ 천체사진정보 양식은 첨부파일 참조.  
05 2007-01
No. 108 일반
신  년  사   힘차게 솟아오른 붉은 해와 함께 대망의 2007년이 시작되었습니다! 새해를 맞아 우리 한국천문연구원 직원 여러분과 가족 모두 다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세종대왕은 중국에서 입수된 천문학을 가지고 우리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어 무척이나 가슴아파하셨다고 합니다. 이는 베이징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기술한 천문학이 서울 하늘에서 맞을 리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나도 일국의 제왕일진대 어떻게 내 나라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을 예측하지 못하나’ 같은 생각에서 비롯된 대왕의 고뇌를 동북공정이 활개를 치는 요즘 꼭 되새겨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새해에는 일월오봉도,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 1.8m 망원경을 담은 새 1만 원짜리 지폐가 벽두에 발행됩니다. 국가가 융성할 때 천문학도 융성한다는 세계사의 교훈을 되새겨볼 때 이는 정말로 상서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작년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은 천상열차분야지도를 고려 말 충신 유방택이 만들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밝혀낸 바 있습니다. 새해에는 개천절의 천문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등 나라의 근본이 되는 연구를 이어가겠습니다. 임직원 여러분, 과학기술이 문화와 손을 잡는 시대는 반드시 옵니다. 아니, 이미 와 있는지도 모릅니다. 천문학은 문화에 가장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학분야입니다. 우리 서포터들과 함께 국가의 문화를 바꾸고 국격을 바로 세우는데 우리는 기여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이 승천하는 대한민국 용의 여의주가 될 수 있도록 신명을 바쳐야 하겠습니다. 새해에도 우리는 국제적 연구역량을 확보한 Global KASI, 끊임없이 혁신하는 Innovative KASI, 과학문화확산 선봉 역할을 수행하는 Science Korea KASI를 만들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립된 전략이 차질 없이 수행되어야 하겠습니다. 전 직원이 비전을 바로 이해하고, 예산과 목적이 유기적으로 연계가 되어야 하고, 항상 비전과 전략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새해에도 임직원 여러분에게 더 많은 노력과 희생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한마디로 갈 길이 너무 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국천문대’와 ‘한국우주과학연구소’ 두 기관이 합쳐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이 일본 국립천문대 인원의 3분의 1, 예산의 10분의 1을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만 보아도 이를 쉽게 수긍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해에는 자체 장비개발에 적극 투자하여 특허나 자체수입과는 거리가 먼 연구소라는 고정관념을 혁신하겠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시민천문대에서 외제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일이 지양되도록 할 것입니다. 새해 들어 우리를 외부에 상징해주는 엠블럼과 로고도 모두 교체했습니다. 임직원 여러분 모두 새로 태어난다는 각오를 가지고 희망찬 새해를 열어갑시다! 감사합니다.   2007.   1.   1.   한국천문연구원장  박 석 재  
08 2006-12
No. 107 일반
  2006년 12월 31일 일몰 시각 및 2007년 1월 1일 일출 시각   각 지방의 일월출몰 및 박명시각(2006년 12월 31일)   일출몰시각 월출몰시각 위치 일출 일남중 일몰 월출 월남중 월몰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인천 백령도 7 57 12 44 17 31 14 15 21 53 4 27 인천 월미도 7 48 12 36 17 25 14 9 21 45 4 17 경기 장화리 7 49 12 37 17 25 14 9 21 46 4 18 보령 대천 7 45 12 37 17 28 14 13 21 45 4 14 태안 만리포 7 48 12 38 17 29 14 13 21 47 4 17 충남 모항리 7 48 12 38 17 29 14 13 21 47 4 17 변산반도 7 43 12 37 17 31 14 15 21 46 4 13 전남 심동리 7 42 12 38 17 35 14 20 21 47 4 11 소흑산도 7 45 12 42 17 40 14 25 21 51 4 14 해남 7 40 12 37 17 34 14 18 21 45 4 9 제주 용수리 7 39 12 38 17 38 14 23 21 47 4 8 제주 서귀포 7 37 12 37 17 36 14 21 21 45 4 6 제주 마라도 7 38 12 38 17 38 14 23 21 46 4 7                                                     각 지방의 일월출몰 및 박명시각(2007년 1월 1일)   일출몰시각 월출몰시각 위치 일출 일남중 일몰 월출 월남중 월몰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시 분 독도 7 26 12 16 17 5 14 33 22 22 5 7 울산 간절곶 7 31 12 26 17 20 14 50 22 33 5 11 울산 방어진 7 31 12 25 17 20 14 50 22 33 5 11 부산 태종대 7 32 12 27 17 22 14 53 22 34 5 12 부산 해운대 7 32 12 27 17 22 14 52 22 34 5 12 기장 삼성리 7 32 12 26 17 21 14 51 22 33 5 12 감포 수중릉 7 32 12 25 17 19 14 49 22 32 5 12 포항 석병리 7 32 12 25 17 18 14 47 22 32 5 13 포항 장기곶 7 32 12 25 17 18 14 47 22 32 5 13 포항 강사리 7 34 12 25 17 16 14 45 22 32 5 14 울진 망양정 7 35 12 26 17 16 14 45 22 33 5 17 성산 일출봉 7 36 12 35 17 35 15 7 22 43 5 16 동해 추암 7 38 12 27 17 15 14 44 22 34 5 19 동해 망상 7 38 12 27 17 15 14 44 22 34 5 20 강릉 정동진 7 39 12 27 17 15 14 44 22 34 5 21 강릉 경포대 7 40 12 28 17 16 14 44 22 35 5 22 양양 낙산 7 42 12 29 17 16 14 44 22 36 5 24 서울 남산 7 47 12 35 17 24 14 52 22 43 5 29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