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86 RSS
30 2005-08
No. 56 일반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은 지난 8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 박석재 원장 등 과학기술계 인사 10명을 '2005년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에 선정했다. 과학기술부는 각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과학기술인 가운데 최근의 업적과 활동을 바탕으로 청소년에게 귀감이 될 과학기술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청소년의 과학기술계로의 진출을 장려하기 위해 2002년부터 매년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청소년과 일반인이 참여하는 온라인 추천과 전문가 추천을 통해 후보자를 구성하고, 추천회의와 선정회의를 통해 최종 대상자를 선정해 오고 있다. 금년에는 공개 추천을 통해 모두 357명의 과학기술인을 후보자로 추천되었으며 추천회의(위원장 진정일 고려대 교수)에서 그중 35명을 선발하고, 최종 선정회의(위원장 유희열 한국과학기술정책평가원장)에서 10명의 과학기술인을 선정했다. 모두 3분야로 나눠 진행된 선정과정에서 ▲학술연구 부문에는 고계원(54) 아주대 수학과 교수, 김규원(53) 서울대 약대 교수, 김예동(51)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장, 신희섭(5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장인순(65)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문 등 5명이, ▲산업계 부문에는 김상면(59) 자화전자 대표이사, 양덕준(54) 레인콤 대표이사, 황철주(46)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등 3명, ▲사회문화 부문에는 김희준(58) 서울대 화학부 교수 및 박석재(48) 한국천문연구원장 등 2명이 선정되었다. 금년까지 이 사업을 통해 선정된 과학기술인은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2002년 선정),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2004년 선정) 등 모두 39명에 이른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된 시점에 선정된 황우석 교수는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복제해 최근의 생명공학 혁명을 이끌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이번에 선정된 과학기술인들의 연구활동과 업적을 비롯해 과학자가 된 동기와 과학자로서의 삶을 알림으로써,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역할 모델로 제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부는 3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국화룸(2층)에서 선정된 과학기술자와 가족들, 오명 부총리겸 과학기술부 장관 등 관련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선정 기념 행사를 개최하고 기념패를 전달한다.
25 2005-07
No. 55 일반
아마추어 천문학 축제 한마당   한국천문연구원은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학 분야의 중장기 발전 계획을 새롭게 수립하고 아마추어 천문학 인구 증가 및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아마추어 천문학 축제 한마당을 개최합니다.   ○ 일  시 : 2005년 8월 6일 (토) ○ 장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강당 ○ 주  최 : 한국천문연구원 ○ 참여대상 : 아마추어 천문가, 천문관련 업체, 시민천문대 ○ 참가비 : 무료 ○ 프로그램 :                 ▪ 17:00 ~ 17:05 국민의례                 ▪ 17:05 ~ 17:30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장 이취임식                 ▪ 17:30 ~ 17:40 한국천문연구원장 격려사                 ▪ 17:40 ~ 18:30 토론 한마당                 ▪ 18:30 ~ 19:00 별★ 음악회                 ▪ 19:00 ~ 20:00 만찬       ※ 참석을 원하는 아마추어 천문학 관련자께서는 참가여부를 전화 또는 이메일로 8월 4일 (목)까지 사전 통보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담당자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센터 이경숙 전  화 : (042) 865-3307 이메일 : cloth79@kasi.re.kr
14 2005-07
No. 54 일반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가족 캠프(당일코스)   한국천문연구원이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 엑스포과학공원, 꿈돌이랜드, 대전시민천문대가 후원하며, 총괄적인 진행은 (주)천문우주기획이 담당하는『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가족 캠프』를 실시합니다. 본 캠프는, 우리나라 유일의 천문연구 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을 방문하여 별과 우주에 대한 평소의 궁금증을 천문학자로부터 직접 설명 듣고 해결하며, 야간에는 망원경으로 직접 천체를 관측하는 코스로 진행됩니다. 우천 시에는 플라네타륨에서 멋진 가상의 천체여행을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천문 체험코스의 중간에는 엑스포과학공원과 꿈돌이랜드에서 재미있는 가상체험 및 놀이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ㅇ 캠프에 참여를 원하시는 가족들은 다음을 참고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출발일자 : 매주 토요일(7/30, 8/6, 8/13, 이후 일정은 다음 호에서 안내) -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 11번 출구 뒤편 공용 주차장 - 캠프기간 : 당일 여행 - 참가경비 : 어른 : 48,000원 / 어린이(초등 이하) : 40,000원 - 참가단위 : 가족(보호자 동반), 1회당 80명 내외(선착순 입금순으로 마감) - 캠프코스 :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엑스포과학공원-꿈돌이랜드-대전시민천문대 - 준비사항 : 간편한 옷차림, 운동화, 모자, 카메라, 식수, 필기도구 등 - 제공내역 : 왕복교통, 꿈돌이랜드 놀이시설 자유이용권, 중식 및 석식, 입장료, 여행가이드, 여행자보험, 교재 및 기념품, 강의 - 문의 및 신청 : 전화 02-587-3346(교환 28) - 인터넷  신청 : http://www.cosmodream.com - 참가비  입금 : 국민은행 772-01-0021-564(예금주 : (주)천문우주기획)     ☆ 캠프 상세일정      09:30  출발           -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 11번 출구 뒤편 공용 주차장           - 차량 이동 시 비디오 교육 및 캠프 안내    12:00  한국천문연구원 도착           - 중식 및 자유 시간    13:00  한국천문연구원 견학 및 강의           - 전파망원경, 태양망원경, 전시실 등    15:00  대전시민천문대 도착           - 플라네타륨 견학    16:30  엑스포과학공원 및 꿈돌이랜드 도착           - 엑스포과학공원 : 테크노피아관, 이매지네이션관           - 석식(18:00부터) : 꿈돌이랜드 내 식당           - 꿈돌이랜드 : 놀이기구 자유이용권 및 체험학습관, 각종 공연관람    21:00  대전시민천문대 도착           - 망원경으로 직접 천체관측    22:00  서울로 출발    24:00  서울 도착 및 해산
13 2005-06
No. 53 일반
2005년 하계 교원천문연수 실시 계획 1. 종별 : 직무연수 2. 연수일정 : 2기에 걸쳐 총 300명에게 실시    - 제1기 : 2005. 8. 8(월) ~ 2005. 8. 10(수) (중등 150명)    - 제2기 : 2005. 8. 11(목) ~ 2005. 8. 13(토) (초등 150명) 3. 연수 비용    - 연수 경비를 포함해 1인 당 5만원이며 프로그램에 나와 있는 식사 4번은 제공되지만 숙박은 제공되지 않음 4. 연수 대상자 선발    - 우편 접수 : 우편 번호 305-348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교원천문연수 담당자    - 전송 접수 : (042)865-3201, (042)861-5610    - 접수 마감 : 2005년 7월 29일(금)    - 문의 전화 및 연수참가자 확인 : (042)865-3230, www.kao.re.kr 5. 연수장소 : 한국천문연구원 본원(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6. 연수 프로그램 : 총 19시간 교시 시작 끝 제 1 일 제 2 일 제 3 일 1 10:00 11:20   우주천문학 광학천문학 2 11:30 12:50 전파천문학 태양천문학   12:50 14:00 중식 3 14:00 15:20 개강식 대덕전파천문대 견학 태양망원경 견학 우주천문실험실 견학 GPS 관측실 견학 이론천문학 천구 수료식 4 15:30 16:50   5 17:00 18:20 위치천문학 천문실험   18:20 19:30 석식 6 19:30 20:50 별자리 천체 망원경 사용법 7 21:00 22:20 천문 관측 I 천문 관측 II
08 2005-06
No. 52 일반
미래의 한국 대형망원경으로 수행할 첨단 천문학 연구 과제 도출을 위한 “보다 넓고 깊고 빠른 한국대형망원경 천문학 연구”에 관한 발표회가 오는 2005년 6월 9일10시부터 한국천문연구원 본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됩니다. 한국천문학회 광학분과위원회의 과학자문단(SAC)이 주최하고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연구부 한국대형망원경 기획단에서 주관하는 이번 발표회에서는 별로부터 은하와 우주의 거대 구조에 이르는 다양한 관측 연구 과제가 논의될 것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천문학계는 국제 경쟁력이 있는 천체 망원경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를 위해 멕시코의 성베드로산(싼 페드로 마티르)에 구경 6.5미터인 천체 망원경 2기를 건설하는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이곳은 해발 2,900미터의 고지대이며, 밤하늘이 매우 어둡고 천체의 이미지가 또렷한 곳인데다가 맑은 밤이 일년에 300일 정도나 되어 지구 상에 있는 몇 안 되는 천문대 부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곳으로서 현재 미국이 중심이 되어 추진중인 30미터 망원경(TMT)나 천체 고속 서베이 망원경(LSST) 등의 유력한 입지로 거론되는 곳입니다. 우리가 건설하고자 하는 망원경은 2기이며, 직경 6.5미터에 시야가 1도가 넘고 4천개나 되는 다천체 분광기를 장착한 망원경 1호기와 같은 직경에 적외선과 가시광에 걸친 매우 특별한 관측 장비를 장착할 망원경 2호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한국 천문학계 전체가 머리를 맞대고 이러한 미래의 한국 대형망원경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천문학 연구 과제를 연구하여 발표할 것입니다.
25 2005-05
No. 51 일반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은 올해로 창립 31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세월 동안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은 묵묵히 우리나라 천문우주과학 연구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그리하여 광학천문분야에서는 보현산천문대의 1.8m 망원경과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 관측기술을 기반으로 대형망원경 해외운용까지 기획하게 되었고, 전파천문분야에서는 대덕전파천문대의 14m 망원경 관측기술을 기반으로 21m 전파망원경 3대를 운용하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 구축사업까지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우주천문분야에서는 과학기술위성에 원자외선 우주망원경을 탑재시켜 연구를 수행했는가 하면, GPS 국제기준점을 기반으로 한 정교한 우주측지 기술, 태양 연구에 기반을 둔 우주환경 기술까지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모두 우리 한국천문연구원 임직원과 주위에서 도와주신 많은 분들의 노력과 희생, 피와 땀을 대가로 얻어낸 것 들입니다. 저는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으로서 이 소중한 우리 천문우주과학 유산들을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신명을 다 바칠 것입니다. 특히 아래 세 가지 혁신을 통하여 국민이, 학계가, 정부가 요구하는 한국천문연구원을 만들겠노라고 약속드리는 바입니다. 첫째, 우물 안 개구리를 벗어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천문연구원을 만들겠습니다. 국제적인 연구센터를 설치하고 특정분야에 집중하여 세계 천문학계에 공헌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연구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둘째, ‘Science Korea’ 건설의 선봉이 되는 한국천문연구원을 만들겠습니다. 천문우주과학은 어느 분야보다도 과학대중화에 유리한 분야인 만큼, 홍보와 기획 역량을 대폭 강화하여 국민의 과학화에 결정적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셋째, 모두 즐겁고 신나게 일할 수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을 만들겠습니다. 그리하여 임직원 모두 뚜렷한 성취동기를 가지고 자기만족을 실현할 수 있는 직장을 경영하고자 합니다. 세 마리 토끼도 같은 방향으로 몰면 모두 잡을 수 있는 것입니다. 위와 같은 세 가지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때, 대형 광학망원경의 해외건설이나 적외선 우주망원경 설치 같은 차세대 사업들도 국민의 지지 아래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 한국천문연구원은 국내 다른 분야 연구소들과 비교해 볼 때 인력, 장비, 예산, 성과 등 모든 면에서 뒤져있습니다. 저는 오히려 이런 만족스럽지 못한 여건을 분발의 계기로 삼아, 선진국 천문우주과학 기관들에게 뒤지지 않는 한국천문연구원을 만들어 나아갈 것입니다. 그리하여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주의 원리를 본뜬 국기를 가진 우리나라가 우주시대 진정한 선진국이 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끝으로, 주위에서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남기고자 합니다. 2005. 5. 25. 한국천문연구원장 박 석 재
24 2005-05
No. 50 일반
기초기술연구회(이사장 박상대)는 5월 23일 임시이사회를 개최하고 제3대 한국천문연구원장에 박석재(朴碩在 48) 박사를 선임했다. 신임 박석재 원장은 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천체물리연구그룹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술분석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장, 한국천문학회 교육홍보분과위원장, 대전시민천문대 명예대장 등을 겸하고 있다. 한편 신임 박석재 원장은 블랙홀 분야의 전문가로서 지난 1992년부터 한국천문연구원에 근무하면서 천문학 발전은 물론 과학대중화와 함께 아마추어 천문학 발전에 앞장서 왔다. 저서로는 재미있는 천문학 여행, 블랙홀이 불쑥 불쑥,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우주를 즐기는 지름길과 공상과학소설인 코리안 페스트 등이 있다. 박석재 신임원장의 취임식은 2005년 5월 25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릴 예정이며, 2008년까지 3년간 한국천문연구원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학력 - 서울대 천문학과 졸업(이학사) - 미국 텍사스대 대학원 천문학과 졸업(Ph. D.) (1987.12.) 경력 - 육군 병장 제대(1983) - 미국 텍사스대 천문학과 박사 후 과정 (1987~1989)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창립초대회장 (1994~1996) - 한국천문학회 교육홍보분과위원장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술분석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장 - 현 대전시민천문대 명예대장 - 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저서 - 재미있는 천문학 여행(김영사) - 공상과학소설 : 코리안 페스트(서해문집) - 블랙홀이 불쑥불쑥(김영사) -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성우) - 별과 은하와 우주가 진화하는 원리(성우) - 우주를 즐기는 지름길 상훈 -대전광역시 12월 이달의 과학자상 수상
20 2005-05
No. 49 일반
제목 Adaptive Smoothing of Photon-Counting Images 저자 선광일, 육인수, 남욱원, 박장현, 이대희, 문홍규, 진호, 한원용, 신종호, 김일중, 유광선, 민경욱, J. Edelstein, E. Korpela, K. Nishikida 학술지 Journal of Korean Physical Society 초록 We present a method for adaptively smoothing an astronomical image. The method surpasses the previous algorithms in that the present method takes the spatial variations in the exposure into account. The method adjusts the  smoothing scale such that, at every position in the image, the resulting smoothed image has a signal-to-noise ratio above a prescribed critical value. We applied our new method to data from FIMS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also known as SPEAR), the main payload of the first Korean scientific satellite "STSAT-1." The negative signal problem often encountered in photon-counting experiments after subtracting the background rate from an estimate of the signal plus background rate, which is also commonly found in FIMS data, is avoided by adopting the correct estimate of the source signal rate based on Bayesian probability theory.   제목 오리온 KL로부터 28Si18O 분자의 메이저선과 열적인 선의 첫번 째 검출 / First Detection of 28Si18O Maser and Thermal Emission from Orion KL 저자 조세형, 김현구, 박용선, 최지혁 (Se-Hyung Cho, Hyun-Goo Kim, Yong-Sun Park, and Chi-Hyeok Choi) 학술지 Astrophysical Journal (ApJ), 622, 390 (2005 March 20) 초록 Cho and Saito(1998년 미국천체물리학회지 레터)가 실험실에서 처음 측정한 일산화규소 동위원소, Si18O 분자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천체에서는 처음으로 오리온 KL 원시성 영역에서 이 분자의 메이저선과 열적인 선을 동시에 검출하였다. 그리고 이 동위원소 존재비가 보통 일산화규소의 1/500에 불과하지만 선겹칩 작용을 도입한 간단한 모델로 메이저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이제는 성간물리나 성간화학 연구에 산소의 동위원소로 이뤄진 일산화규소 동위원소(기존은 모두 실리콘 동위원소로 이뤄진 일산화규소 동위원소), 즉 Si18O 분자선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첨부 그림 파일 참조) 그림 1. 천체에서는 처음으로 오리온 KL 영역에서 동시 검출된 28Si18O v=0, J=1-0 메이저선과 J=2-1 열적인 선의 스펙트럼(일본 국립천문대 45m 전파망원경 이용). 그림 2. 개스의 온도(Tg)를 1000 K, 별의 유효온도(Teff)를 2000 K, 별에 의한 희석인자 W를 0.1로 잡았을 때, SiO 분자와 수소 분자의 공간 밀도에 따른 28Si18O v=0, J=1-0 천이선의 광학적 깊이 분포도. 등고선은 각각 100, 10, 1, 0.1, -0.01, -0.1, -1, -2, -3, -4 로서 실선은 메이저 현상이 나타나는 마이너스 오파시티 영역을 표시하고 있음.
02 2005-05
No. 48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현재 천문(연) 홈페이지에서 운영하고 있는 “이달의 이미지”를 2005년 5월부터 “이주의 천체사진(Weekly Astronomy Picture)”으로 바꾸어 시행합니다. 국내 아마추어 천체사진작가들의 수준이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해 있으며, 이를 적극 홍보함으로써 학생들이나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또한 아마추어천체사진작가들에게는 자부심을 심어주기 위한 방안으로, 매주 천체사진을 심의하여 이주의 천체사진으로 선정합니다. 이주의 이미지가 활성화되고 국내에 아마추어 천체사진작가들이 늘어나면, 미국의 나사에서 운영하는 오늘의 천체사진(APOD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와 비슷한 형태의 한국식 “오늘의 천체사진 (KDAP ; Korea Daily Astronomy Picture)”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28 2005-04
No. 47 일반
메시에 마라톤 관련 내용 1. 참가 자격 가. 반드시 사전 등록 필요 - 영천시 관광기획담당(T.054-330-6068) ** 등록시 필요한 사항 ** 1. 참가자 이름 전원: 팀 단위로 1팀당 1명-3명까지. 2. 참가자 연락처 3. 대표참가자 인적 사항 : 출생연도, 주소, 경력 등. 4. 참가 망원경 및 기타 장비 소개 5. 캠프 참가 가능일 (최소한 1박 2일의 캠프 참여 필요. 첫날 야간 행사를 위해 6시 전에 캠프장 도착.) 5일, 6일, 7일, 8일 중 * 특별 건의 사항 있으면 ..... * 상대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어떤 행위나 도구의 사용도 제한됩니다. 나. 망원경 장비 : -. 구경 및 기타 제원에 대한 제한 없음. -. 모터에 의한 자동으로 천체 찾기는 금지되며, 반드시 수동으로 천체를 찾아야함. -. 관측용 소형후레쉬, 배터리 또는 전원 공급 어뎁터는 개인이 준비, -. 천체도 또는 천체 카탈로그 등 개인이 준비. (컴퓨터 사용 금지) -. 배터리 및 AC 전원은 제공됨. -. 쌍안경은 안되며, 망원경만 참가할 수 있습니다. -. 쌍안경을 보조도구로 하는건 허용합니다. 다. 최소한 1박 2일의 캠프 참여 필요. -. 첫날 야간 행사를 위해 6시 전에 캠프장 도착. -. 저녁 7시 - 10까지 캠프참여로 일반인에 천체 보여주기 등 참여. -. 다음날의 주간 참여는 참가자의 사정에 따라 조정 가능함. * 2일 밤 이상의 캠프참가자 인센티브: -. 메시에마라톤에 영향을 주는 인센티브는 없다. -. 1.8m 망원경 야간견학 기회 - 5일 밤 자정부터 - 02시까지 : 행성 사진관측 및 육안에 의한 어두운 천체 관측. -. 야간 화합대회 개최 : 캠프파이어 등. 2. 대회 방법 / 심사 방법 가. 관측 대상 : 마라톤 당일 정해진 시간 내에 볼 수 있는 모든 메시에 천체 나. 관측 방법 : -. 대상천체 지정 방식 : 정해진 시간 내에 지정된 천체를 찾는 방식. 약 80여개 예상. -. 망원경은 반드시 수동 조작 -. 대상을 찾으면 대상을 찾으면 심사위원의 확인을 받는다. 다. 심사 방법 : 1) 심사위원이 직접 확인 후 기록 2) 관측대상은 메시에 대상으로 한다. 3) 1개 찾으면 1점, 난이도 구별 없습니다. 4) 동점일 경우 구경이 작은 순으로 등위를 준다. 5) 날씨에 따라 규정의 변화가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 심사위원: 전영범(한국천문연구원), 정병호(천문인마을), 김경식(야간비행) 외 ..... * 행사진행: 박윤호, 이상민, 김민수 (한국천문연구원) 외 ..... 3. 참가신청 방법 : 영천시 관광기획담당(T.054-330-6068) 전화 신청 4. 대회장소/대회일/시간 가. 대회장소 : 보현산천문대 부지 내. 나. 대회일/시간 : 5월 7일 23시30분부터 준비하여 자정부터 다음날 5시까지 진행. 박명 시작이 03:57 이고, 참가자중 마지막으로 중단하는 팀의 종료가 마라톤 종료 선언. (아마 04:20 정도) 다. 시상식 : 5월 8일 폐회식 5. 상의 종류 및 상금 가. 대상 : 1팀 상패, 200만원 나. 금상 : 1팀 상패, 100만원 다. 은상 : 1팀 상패, 50만원 라. 동상 : 2팀 상패, 20만원 마. 장려상 : 5팀 상패, 10만원 6. 참가자에 대한 배려 가. 지원금 : 1팀당 10만원 나. 숙식 제공 : -. 숙박 : 4인용 텐트에 전열장치 -. 식사 제공 -. 매일 아침 온천욕 제공 7. 천체 관련 부스 참여 (희망자 모집 중) 가. 참여 팀의 홍보 활용 가능 나. 방문객에 각각의 부스에 게시된 내용 설명 다. 야간 천체 보여주기 등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