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otal 70    RSS
70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출범…성과 공유의 장 마련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출연(연)의 개방과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초 및 산업기술연구회를 하나의 연구회로 통합한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30일 출범했다고 밝혔다. 초대 이사장으로는 창원대학교 이상천 초빙교수가 임명되었다. 양 연구회 통합은 연구회의 출연(연) 지원?육성 기능을 강화하고 출연(연) 간 협력 확대 및 연구회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작년 7월부터 추진됐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간 교류와 융합 활성화, 출연(연)별 임무 정립, 중소?중견기업 협력 확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동 TLO, 비정규직 문제 등 출연(연)의 공통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중장기 출연(연) 미래전략 수립 등을 통해 출연(연)이 자율과 책임하에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관리 중심의 사무처 체제를 출연(연)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융합연구본부와 중소?중견기업 협력, 성과확산 등을 지원하는 정책지원본부, 출연(연)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담당하는 경영본부로 개편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향후 연구회 주요규정 마련 등 연구회 운영의 골격을 완성하고, 차기 이사회에서는 출연(연)간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과 기관별로 스스로 정립한 성과지향적 출연(연)별 임무 재정립안 등을 의결하여 출연(연)의 혁신정책 추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중략] 원본 링크 : http://www.sciencetimes.co.kr/?p=125834&cat=31&post_type=news
69
국가우주위원회('14.5.30)를 통해 확정한 '제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14~'18년)'를 게시함       제 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 '위성정보 3.0' 실현(2014~2018) -     목    차   1. 추진배경 및 경과 2. 국내·외 현황 및 향후 정책방향   - 해외 현황   - 국내 현황   - 현황 분석 및 향후 정책방향 3. 위성정보 3.0 실현전략 4. 추진과제 별 세부계획   - 위성정보 공급·활용체계 고도화   - 위성정보 활용서비스 활성화 촉진   - 위성정보 활용 촉진 기반 확충 5. 기대효과 6. 부서 별 추진과제   붙임1. 위성영상 분야 민간기업 의견수렴 결과       2. 국내 위성영상 활용 공공기관 현황       3. 정부 위성정보 활용사업 현황       4. 위성영상 활용 주요사례       5. 위성영상  
68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및 기준 확정본     목    차   1. 대내외 환경 및 과학기술 발전전망    1. 미래사회 중장기 변화 전망    ?2. 최근 대내외 여건 변화    3. 과학기술 발전전망 2. 국내외 R&D 투자동향 및 평가    1. 국내외 R&D 투자동향    2. 연구개발 성과 및 한계 3.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1. 기본방향    2. 2015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중점 추진분야    3. 정부 R&D 투자 효율화    4. 기술분야별 투자방향   4. 2015년도 R&D사업 예산작성 기준    1. 공통기준    2. 신규사업    3. 계속사업    4. 기타 고려사항   5. 향후 추진 일정  
67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2013년)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요   2.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정 프로세스   3.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활용   제2절 연구목표 및 추진방법  1. 연구목표  2. 연구내용 및 추진방법    제2장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선  1. 개요  2. 개정 프로세스 가이드라인  3. 개정수요 조사  4. 개정수요 적합성 평가  5. 임시분류(안) 제3장 국가 융합연구 동향 분석기반 구축  1. 개요  2. 방법론 및 DATA  3. 연구결과   제4장 결론 및 향후계획  1.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선  2. 국가 융합연구 현황 분석 기반 활용  
66
현재 우리의 기초연구 수준과 성과평가시스템을 진단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도모 하는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과학기술 정책기획 및 평가분야 전문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박영아)은 세계적인 학술정보서비스기업인 톰슨 로이터와 함께 오는 30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노벨과학상을 향한 기초연구의 나아갈 길’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공동 포럼은 2017년까지 기초연구 투자 비중을 40%로 확대하고 기초과학연구원을 통한 장기적 지원을 하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기초연구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우리의 연구 수준을 짚어보고 우수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행사개요  행사명 : 노벨과학상을 향한 기초연구의 나아갈 길(Towards Nobel Class Research Excellence)  일   시 : 2014년 5월 30일(금) 10:00~12:00(9:30부터 등록시작)  장   소 : 은행회관(중구 을지로입구역 인근)  주   최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톰슨 로이터   □ 연사소개  데이비드 펜들베리(David A. Pendlebury) 톰슨로이터 컨설턴트/계량분석 전문가  유승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대외협력팀장     □ 세부프로그램 ㅇ 개회사  ㅇ 환영사  ㅇ 축사  ㅇ 주제발표1    - Seeking and Supporting Excellence in Science : 국가 기초연구 역량 증진을 위한 제언  ㅇ 주제발표2    - 기초연구평가기스템 발전방향 : 노벨과학상 수상자 사례 분석  ㅇ 패널토론    - 한국 기초과학 육성방안에 대한 논의    - 질의응답  ㅇ 폐회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65
미래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진흥 및 우수 연구자 집중 육성- '14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으로 1,065과제에 985억원 지원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를 강화하여 우수연구자를 중점 육성하고 기초연구성과의 질적 향상으로 창조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2014년도 상반기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o 이번에 선정된 신규과제는 2014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14.1월 수립)에 따라, 금년 1월 사업공고 후 접수된 총 4,469과제를 대상으로 암맹평가* 형식의 1차 토론 평가와 2차 발표 평가 등을 거쳐, * 암맹평가(Blind Review)는 창의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도전적 연구과제가 선정될 수 있도록 과거 실적평가를 지양 o 우수 연구인력 육성을 위한 개인연구(신진, 중견) 사업에 1,048과제(869억원), 대학을 연구 거점으로 우수 연구그룹 육성을 위한 집단연구(기초연구실, 선도연구센터) 사업에 17과제(116억원) 등 총 1,065과제에 98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신진연구지원사업*은 젊은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차세대 우수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총 2,022과제를 접수받아 581과제**(약 288억원)를 선정하였다.  * 연간 5천만원 내외로 3년간 지원하며, 사업은 유형Ⅰ(본 연구)과 유형 Ⅱ(선행 연구 → 본 연구)구분 수행됨** 유형 Ⅱ의 70개 과제(6월 선정)가 포함됨 □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은 창의성 높은 연구로 세계적 수준의 우수성과를 창출하는 핵심 연구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총 2,120과제를 접수받아 441과제(약 554억원)를 선정하였다. o 우수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중견연구자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연구*에서 393과제(약 412억원)를 선정하였으며, 특히 여성과학자 선정목표제**를 설정하여 여성과학자에게 49과제(약 52억원)를 지원하였다.  * 연간 1∼2억원 내외로 3년 지원** 여성과학자 선정목표제 확대(‘13년 12.5% → ’14년 13%)  o 또한, 리더연구자로 도약할 수 있는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도약연구*는 42과제(약 124억원)를 선정하였으며, 도약연구 종료과제 중 성과가 우수한 6과제(약 18억원)에 대하여 후속 연구를 지원하여 성과 지향적 과제 수행과 안정적 연구 환경 기반을 제공하였다. * 연간 3억원 내외로 3년 지원 □ 리더연구자지원사업*은 창의적 아이디어 및 지식을 지닌 연구자를 발굴하여 세계수준의 연구리더를 지원하기 위해 총 26개 과제를 접수받아 해외평가** 등을 통해 2개 과제(약 15억원)를 6월에 선정할 계획이다.  * 연간 5~8억원 내외로 9년(3+3+3)간 지원** 1차 예비 선정된 과제를 대상으로 해외평가 실시 □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은 소규모 집단연구 지원을 통해 차세대 창의·융합인재 양성 및 지역대학의 공동연구 역량 강화를 목표로 총 208개 과제를 접수받아 총 10개 과제(약 45.5억원)를 선정하였다. * 기초연구실(Basic Research Lab, BRL)은 연간 3~5억원 내외로 5년간(3+2) 지원 o 특히, 지역대학 할당 비율의 확대(30%→50%)와 지역 밀착형 연구주제 위주의 지원으로 공동연구 활성화를 통한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 연구 여건 향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 선도연구센터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그룹 육성을 위해 분야별로 특화된 연구목표를 설정하여 총 37개 과제를 접수받아 총 7개 과제(약 71억원)를 선정하였다. * 선도연구센터는 연간 10~20억원 내외로 7년간(4+3) 지원 o 이학연구센터는 과학적 난제 해결, 공학연구센터는 씨앗기술(특허, 기술이전) 창출, 기초의과학연구센터는 치료법, 헬스케어 기초기술 개발 등을 목표로 과제를 선정하였다. * 이학연구센터(SRC : Science Research Center), 공학연구센터(ERC : Engineering Research Center),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 Medical Research Center) □ 미래부 이근재 연구개발정책관은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기술사업화 전문가와 전문기관 지원을 통해 이러한 연구성과가 사장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 기초연구진흥과 최도영 과장(02-2110-2370), 김기태 서기관(02-2110-2371)
64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피인용 상위 1% 논문1)에 게재된 우리나라 연구자의 현황을 전 세계 상위 1% 논문과비교?분석한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를 발표함  ’02년부터 ’12년까지 발표된 논문 중 고피인용 논문(피인용 상위 1%, 0.1%, 0.01%)을 대상으로 국가별, 분야별, 기관별 현황 분석 및 고피인용도 논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있는 자료 제공   우리나라에서 최근 11년간(’02년~’12년) 발표된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2,483편이며, 이는 세계 15위 수준으로 우리나라 SCI 논문의 0.7%에 해당하는 규모※ ’02년~’1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전체 SCI 논문수는 341,834편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02년 1.4%에서 ’12년 3.2%로 약 2.3배 증가   우리나라의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은 ’08년~’12년 0.77%로 세계 평균(1.0%)보다 낮은 수준 - ’02년~’06년 0.64%에서 0.13%p 오른 수치로 증가추이를 유지 - 일본, 중국 등 타 아시아 국가들도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의 증가 추세는 유지하나, 세계 평균(1.0%)보다는 낮은 수준임   분야별로 볼 때 우리나라 피인용 상위 1% 논문 순위가 높은 분야는 재료과학(6위, 307편) 분야 - 화학(8위, 473편), 공학(11위, 317편), 수학(11위, 71편), 물리학(13위, 405편) 분야에서도 상위권을 차지 - 분야에 따른 5년 주기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을 살펴보면, 융합분야, 면역학, 수학 분야 등에서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우리나라의 강점 분야인 재료과학, 물리학 및 공학 분야는 증가세가 둔화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및 점유율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짐- 중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02년 3.2%에서 ’12년 13.2%로 약 4배가 증가 - 재료과학, 화학, 공학 등 주요 이공학 분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순위에서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 중국 주요 분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수 순위(’02~’12) : 재료과학 2위(1,026편), 화학 2위(1,873편), 공학 2위(1,557편), 수학 2위(475편), 컴퓨터과학 4위(256편), 물리학 6위(1,142편)     [목차]   1. 개요 2. 국가별 현황 3. ESI 분야별 현황 4. 정리 및 시사점
63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_140429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7)의 후속조치로 신성장동력 창출과 삶의 질 향상 등에 필요한 5대 분야 30개 기술에 대한 국가차원의 종합전략인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확정(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의결, ’14.4.23) 본 로드맵은 기초원천연구에서 사업화까지 기술성장 전주시를 포괄하는 범부처 차원의 종합로드맵으로 미래환경변화 전망 및 미래이슈 도출, 산업시장 현황 및 전망, 기술동향 및 경쟁 여건을 분석하여, 핵심요소기술의 단계적 확보전략과 함께, 인프라 실용화 사업화 전략, 법제도적 지원방안 등 전방위적 대응전략을 제시함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의 2대 부문 5대 분야, 국가중점과학기술(3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대 부문 5대 분야 국가중점과학기술(30) 경제지속성장견인 1. IT융합신산업창출(8) 정보보호 기술, 빅데이터 기술, 실감형 콘텐츠 기술, 차세대 반도체 기술, 스마트 자동차 기술, 생산시스템 생산성향상 기술, 첨단플랜트 기술, 방송통신융합플랫폼 기술 삶의 질 향상 기여 2. 미래 신산업 기반확충(7) 바이오에너지 기술, 의료기기 기술, 서비스 로봇 기술, 고부가가치 선박 기술, 미래형 항공기 기술,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 차세대 소재 기술 3.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조성(6) 온실가스 처리 및 저감 기술, 환경 통합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 오염물질 저감 및 관리 기술,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 기술, 스마트 에코빌딩 기술, 유용폐자원 재활용 기술 4. 건강 장수시대 구현(5) 맞춤형 신약개발 기술, 생명시스템 분석기술, 유전체 정보이용 기술, 줄기세포 기술, 맞춤형 건강관리 기술 5.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4) 식품안전 및 가치창출 기술, 유용 유전자원 이용 기술, 자연재해 모니터링/예측/대응 ㄱ ㅣ술, 사회적 복합재난 저감 기술
62
정부는 4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장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장 주재로 「제5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열고,‘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방안(안)’, ’국가중점과학기술전략로드맵’ 등을 총 12건의 안건을 심의?확정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의사결정기구로서 국무총리와 13개 부처 장관, 과학기술?인문사회 각계 인사 10명 등 총 25명으로 구성 (1) 안건1호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방안(안) ① 출연(연)과 중소?중견기업의 지원 역할을 단순 애로사항 해결에서 R&D 기반성장 전주기 지원으로 확대 ㅇ (수요기반 원천기술 개발) 지역별 기술커뮤니티를 구성하여 기업의 수요를 발굴하고, 선제적으로 개발 후 중소?중견기업으로 이전 ㅇ (상용화) 기술예고제, 특허 무상이전 등을 통해 기술이전을 활성화하고, 패밀리기업, 연구자 파견 확대를 통해 기술상용화를 지원 ㅇ (애로기술 해결)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1379)를 중소?중견기업 브릿지로 육성하고, 출연(연)의 장비지원을 확대ㅇ (글로벌 진출) 출연(연)이 해외 수요가 있는 기술을 조사하여 개발하고, 수출 가능성이 있는 기술의 추가 보완을 지원 ②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지원 예산 및 사업을 확대 ㅇ (출연금) 출연금 주요사업비 중 중소?중견기업 지원사업비를 ’17년 15%(’13년 7.7%)까지 확대 ㅇ (정부 지원 사업) 정부의 중소?중견기업 지원 사업 개편 및 신규사업 신설,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출연(연)의 정부 지원 사업 참여를 확대ㅇ (지역 단위 사업) 지역 수요기반 애로기술 지원 사업 추진, 기업부설 연구소 유치, 기술상담회 개최 등 지역 단위 지원도 활성화 ③ 출연(연)과 중소?중견기업 간 밀착 환경을 조성 ㅇ (제도 개선) 기관?개인 평가, 인센티브 제공, 인건비 지원 등 관련 제도 개선을 통해 연구자의 중소?중견기업 협력 참여를 유도 ㅇ (참여 부담 완화) 경상기술료 위주 계약체결, ‘(가칭)성과공유형 기술이전제도’ 도입 검토, ‘산학연협력 종합정보망’ 구축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참여 부담을 완화ㅇ (컨트롤타워 마련) 연구회에 ‘(가칭)중소중견기업 R&D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중소?중견기업 협력에 대한 컨트롤타워를 마련 (2) 안건 4호 국가중점과학기술전략로드맵 ㅇ (추진배경)「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7)에 따라 국가중점과학기술의 효과적 확보를 위한 국가차원의 종합전략 수립 필요 ㅇ (대상기술) 과학기술기본계획의 국가전략기술(120개) 중 중요성과 범부처 협력 필요성 등을 고려 ‘로드맵 수립추진단’이 선정한 30개 기술* * 기술간 범위조정 (120개 전략기술 기준상 총52개 기술에 해당, 국과심 확정, ‘13.8) ※ SW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30개 대상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SW전략 별도 수립※ 비대상 전략기술은 유관부처가 자체 로드맵 수립 등 추진이 효율적 ㅇ (주요내용) 향후 10년간 기초·원천연구에서 사업화까지 기술성장 전주기를 포괄하는 범부처 차원의 기술개발 종합로드맵 제시※ 부처추천 민간전문가 205명으로 구성된 수립추진단이 마련(부처·전문가·민간의견 수렴) ㅇ (활용 및 기대효과) 매년 정부R&D 투자방향 설정, 예산 배분·조정과 연계하여 국가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목차] 1.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방안(안) 2.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안) 4.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안) 5. 제3차 과학관육성기본계획(‘14~’18)(안) 6. 제3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4~’18)(안) 7. 제2차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 변경(안) 8. 과학기술?ICT 기반 국제협력 종합계획(안) 9. 2013년도 과학기술분야 중장기계획 조사·분석 결과 및 연계강화 방안(안) 10.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계획(안) 11.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세칙 개정(안) 12.2014년 주요 과학기술정책 방향(안)
61
미래창조과학부는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활동(연구개발인력 및 연구개발비 등)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연구개발정책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각계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연구개발계획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토록 함. OECD의 「연구개발활동조사시행지침(FRASCATI Manual)」에 따른 이학, 공학, 의학, 농학, 인문학, 사회과학을 대상으로 2012년도 일반 현황, 연구인력 현황(성, 학위, 전공 등), 연구개발비 현황(연구개발단계, 재원, 비목 등)을 조사함. 2012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는 55조 4,501억원으로 전년대비 5조 5,597억원(11.1%) 증가한 것으로 처음으로 50조원을 넘어섬.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36%로,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4.04%)대비 0.32%포인트 상승함. 우리나라의 인구 1인당 연구개발비는 1,108.9천원,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138.0백만원이며, 이는 전년대비 인구 1인당 연구개발비는 106.7천원(10.6%),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 5.1백만원(3.8%) 증가한 것임. 재원별로 볼 때 정부·공공재원 13조 8,221억원, 민간재원 41조 4,378억원, 외국재원 1,902억원이 투자된 것으로 나타남. 기업체가 사용한 연구개발비는 43조 2,229억원이었으며,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은 각각 6조 9,503억원, 5조 2,769억원을 사용하였으며, 전년대비 각각 기업체는 5조 396억원(13.2%), 공공연구기관은 2,770억원(4.2%), 대학은 2,431억원(4.8%) 증가함. 6T 연구개발비가 가장 높은 것은 정보기술(IT) 연구개발비로 18조 9,434억원 다음으로 나노기술(NT) 연구개발비는 7조 1,193억원, 환경기술(ET) 연구개발비는 5조 9,189억원 순이며, 전년대비 정보기술(IT) 연구개발비는 2조 1,138억원(12.6%), 나노기술(NT) 연구개발비는 8,993억원(14.5%), 환경기술(ET) 연구개발비는 4,818억원(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우리나라 총 연구원 수는 401,724명이고 연구보조원을 포함한 연구개발인력은 562,601명으로 전년대비 연구원 수는 26,548명(7.1%), 연구개발인력은 31,470명(5.9%) 증가함. 우리나라 기업체의 연구원 수는 275,986명,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구원 수는 각각 28,822명, 96,916명으로 나타남.   연구원의 학위별 분포는 박사 87,642명, 석사 122,948명, 학사 169,162명, 기타 21,972명으로,전년대비 박사 연구원 수는 2,968명(3.5%), 석사 연구원 수는 6,817명(5.9%) 증가하였으며, 학사는 전년대비 14,429명(9.3%) 증가하여 가장 많은 인원이 증가하였으며, 기타는 2,334명(11.9%)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냄   [목차]     Ⅰ.조사개요 Ⅱ.주요결과   1. 연구개발투자 현황 • 총 연구개발비 • 인구 및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재원별 연구개발비 • 주체별 연구개발비 •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 비목별 연구개발비 •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 과학기술표준분류별 연구개발비 • 경제사회목적별 연구개발비 • 연구분야별 연구개발비 • 지역별 연구개발비• 연구개발비의 흐름과 구성   2. 연구개발인력 현황 • 총 연구원 • 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 주체별 연구원 • 학위별 연구원 • 전공별 연구원 • 성별 연구원• 지역별 연구원   3. 기업부문 연구개발 현황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 산업별 연구개발비 • 산업별 연구원 • 기업유형별 연구개발 현황 • 기업 연구개발 집중도• 기업용도별 연구개발비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정책혁신팀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