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지난 1월 29일 저녁 6시 47분, 대덕관측소 0.6m 광시야 망원경과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해서 촬영한 2007 TU24의 관측 영상을 공개한다.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소행성 촬영을 위해 보현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 미국 레몬산천문대와 대덕관측소의 관측시설을 총 동원하였다. 이 가운데 날씨가 비교적 맑았던 보현산천문대와 대덕관측소에서는 초저녁부터 자정 이후까지 관측을 수행하였다. 2007 TU24는 이 날, 한국시간으로 오후 5시 33분, 지구-달 평균거리의 약 1.4배(53만 8,000km)에 해당하는 지점을 통과하였다.
[동영상 1]
[그림 1] 2007 TU24의 관측영상. 2008년 1월 29일, 한국천문연구원 대덕관측소 0.6m 광시야 망원경과 4K CCD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했다(관측자: 윤요나, 최영준, 최진). 사진에서 소행성이 움직인 궤적이 선분처럼 표시되어 있으며, 첫 노출은 저녁 6시 47분에, 마지막 노출은 6시 56분에 이루어졌다. 이 영상은 30초 간격으로 촬영, 총 17장의 영상을 합성한 것이다.
[그림 2] 2007 TU24의 관측영상. 2008년 1월 29일,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했다(관측자: 경재만, 박윤호). 이 영상은 3장의 필터를 이용해 컬러 합성하였으며, 소행성이 빨강색 점으로 보인다. 첫 노출은 저녁 8시 9분에, 마지막 노출은 8시 15분에 이루어졌다. 이 영상은 10초 간격으로 촬영, 총 8장의 영상을 합성한 것이다.
○ 한국천문연구원 관측팀은 대덕관측소 0.6m 광시야 망원경을 이용해 저녁 6시 47분 첫 영상을 얻었으며, 이어 보현산천문대에서는 저녁 7시 이후 관측에 들어가 8시 9분에 첫 영상을 촬영하는데 성공하였다.
○ 앞으로도 한국천문연구원은 관측이 가능한 1월 31일 새벽까지 보현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 미국 레몬산천문대, 그리고 대덕관측소의 시설을 이용해 소행성 2007 TU24의 자전주기 등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할 예정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연세대학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과학기술부와 기초기술연구회 협동연구사업 “근 지구 우주공간 탐사연구”(연구책임자: 한원용) (2007년-2010년)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관측은 이러한 협동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
□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부 최영준 박사 042-865-3266 yjchoi@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부 문홍규 박사 042-865-3251 fullmoon@kas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