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천문학 얼마나 중요합니까?- 천문학에 대한 전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 2009-01-0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지난 2008년 12월 말에 실시한 천문학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 서울 및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인식도 조사 결과, 천문학은 국가 발전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인식(78.7%)하는 반면, 천문학에 대한 관심(35.8%)과 인지도(15.1%)는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한국 국민들은 사회발전 측면에서 천문학의 중요성(78.7%)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천문학 관련 사실을 접하는 주요 정보원은 인터넷과 TV, 라디오가 가장 높고, 이어 신문,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우리 국민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관련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전체 응답자 가운데 <천문대>라는 시설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 응답자 비율은 65.3%이며, 처음 듣거나, 방문하고 싶은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80.7%였다. 따라서 우리 국민들을 대상으로 천문대와 관련 시설에 대한 방문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 2009년이 UN이 선포한 ‘세계 천문의 해’라는 사실을 들어본 적이 있는 응답자는 12.5%로 전체 응답자 10명 가운데 1명 이상이 인식하고 있으며, <2009 세계 천문의 해> 관련 여러 프로그램들이 천문학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83.9%로 상당히 긍정적인인 평가를 내렸다.

○ 한편, 현재 국내에서 준비 중인 2009 세계 천문의 해 행사 가운데 천체관측 체험(42.4%)과 우주를 주제로 한 영화상영 이벤트(23.9%)에 대한 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우리 국민들은 직접 체험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선호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천문학 얼마나 중요합니까?’라는 주제를 가지고 실시한 이번 인식조사는 일반 국민들의 천문학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물론, 천문학 관련 경험과 정보 습득, 정보 취득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했다.

○ 조사는 주민등록 인구현황에 근거,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에 의해 서울과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18일에서 12월 20일 사이에 전화면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95% 신뢰수준에서 ±3.1%의 오차를 포함한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sglee@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 문홍규 박사 (042-865-3251, fullmoon@kasi.re.kr)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