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JCMT

동아시아 천문대 전경 파노라마 사진
개요
  • 동아시아 천문대(EAO)는 2014년 하와이 주 정부에 비영리 법인으로 등록됨으로써 공식적으로 출범
    • 참여 기관
      • 중국: 국립천문대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ie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NAOC)
      • 대만: 중앙 과학원 천문학 및 천체물리 연구소 (Academia Sinica, Institute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IAA)
      • 한국: 한국천문연구원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 일본: 국립천문대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NAOJ)
    • 설립 목적: 참여 기관의 예산, 인력, 그리고 기술을 모아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대규모 천문시설을 세우고 운영하는 것
  • 이에 따라, EAO는 2015년 3월부터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에 있는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JCMT)를 운영하고 있음
    • JCMT는 해발 4000m의 하와이 마우나케아 정상에 설치되어 있는 15 m 직경의 서브 밀리미터 망원경임
주요 연구내용
JCMT를 이용한 연구분야
  • 서브밀리미터 데이터를 이용한 우주론 연구
  • 은하연구
  • 별 탄생과 진화 연구
  • 별 원반 연구
JCMT 관측자료
JCMT Legacy Survey Data를 포함한, EAO-JCMT 운영이 시작되기이전에도 얻은JCMT 관측 자료들은 JCMT Science Archive (JSA)에 보관되어 있다. JSA 자료는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며, Canadian Astronomical Data Center (CADC)를 통하여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JSA와 CADC 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웹사이트 참조.
현재 진행중인 JCMT 대형 관측 프로그램들
JCMT를 이용한 국제공동 연구를 바탕으로 EAO 회원국의 과학연구 능력과 성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총 3년간 JCMT 총 관측 시간의 30%를 사용하는 7개의 대형 관측 프로그램들이2015년 11월 9일에 채택되었다.
대형 관측 프로그램의 연구주제:
  • A Transient Search for Variable Protostars
  • SCOPE: SCUBA-2 Continuum Observations of Pre-protostellar Evolution
  • BISTRO: B-fields In STar forming RegiOns
  • MALATANG: Mapping the Dense Molecular Gas in the Strongest Star-forming Galaxies
  • JINGLE: the JCMT dust and gas In Nearby Galaxies Legacy Exploration
  • S2-COSMOS: An EAO SCUBA-2 survey of 1,000 SMGs in the COSMOS ?eld
  • STUDIES: SCUBA-2 Ultra Deep Imaging EAO Survey
한국은 EAO-JCMT의 공식 파트너로, 한국의 천문학자 누구나 위의7개의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 할 수 있다. 관심있는 천문학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환영함.
  • JCMT대형 관측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참여 방법: 바로가기
연구시설 및 장비 관련 활용 기술
동아시아 천문대 장비 야간촬영 사진
  • HARP: heterodyne receiver
  • SCUBA-2: continuum camera
  • POL-2: Polarimeter ( 예정)
  • 위 장비들의 현재 상태와 스펙에 대한 정보: 바로가기
  • 관측제안서 모집 및 작성, 제출에 대한 정보: 바로가기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