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천문우주과학정책

천문우주개발 및 활용을 통한 우주과학연구 활성화 방안 2016-01-19

[발간일] 2014. 12

[키워드]
우주과학, 과학위성, 탑재체, 태양탐사선, 코로나 그래프

[요    약]

천문우주개발 및 활용을 통한 우주과학연구 활성화 방안
우주과학은 기초과학의 거대한 실험실인 우주공간을 대상으로 원천지식과 미래도전 극한기술을 성과로 창출함으로써, 범지구적 문제해결, 우주활동 공간의 이해, 고부가가치 우주기술 확보 등 우주개발 선진국 진입을 위한 필수적 분야임

우주과학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창의적 우주과학연구 강화를 통한 우주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3대 전략 및 8대 세부추진과세를 수립함.

전략목표 1 국가우주자산 보호를 위한 근지구 우주환경 이해
1-1 차세대 소형위성 및 중형위성을 활용한 근지구 우주환경 연구
1-2 국제공동개발을 통한 우주환경 탑재체 선진기술 확보, 근지구 우주환경연구 선진화 및 우주환경 예경보 체계 고도화

전략목표 2 안전한 우주활동을 위한 태양활동 규명
2-1 국제우주정거장용 차세대 코로나 그래프 개발을 통한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 등 물리적 특성연구
2-2 중력안정점 L5용 태양탐사선 관측기 국제공동개발을 통해 지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태양활동예측 연구
2-3 국내중형위성을 활용한 태양분출과 자기재결합 연구

전략목표 3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우주기원 및 진화연구
3-1 차세대 소형위성을 이용한 우주망원경 핵심기술 확보
3-2 적외선 우주망원경 국제공동개발을 통한 우주별 탄생 및 은하진화 연구
3-3 중대형위성을 활용한 암흑에너지 및 우주팽창 연구

[목    차]


Ⅰ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우주과학 정의 및 필요성
Ⅱ국내외 동향 및 시사점
1. 정책동향
2. 투자동향
3. 연구동향
4. SWOT 분석
5. 시사점
Ⅲ목표 및 세부추진과제
Ⅳ세부추진과제
1. 국가 우주자산 보호를 위한 근지구 우주환경 이해
2. 안전한 우주활동을 위한 태양활동 규명
3. 우주망원경을 이용한 우주기원 및 진화연구
Ⅴ기대성과
1. 정성적성과
2. 정량적 성과?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