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일] 2014.03.
[키워드] 빅데이터, 천문관측데이터, 데이터센터
[요 약]
천문학에서 관측데이터의 활용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새로운 발견을 이끌어내는 하나의 주요 원동력이었으며, 현대에는 우주탐사비용의 경제적 효과와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저장 및 처리기술의 발전으로 더 넓은 범위의 연구로 확장되고 있음.
이에 따라 해외 천문우주기관인 미항공우주국(NASA), 캐나다천문데이터센터(CADC), 일본국립천문대 천문데이터센터(ADC)의 빅데이터 활용현황을 살펴보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천문우주과학 프로젝트로 암흑 물질 및 에너지 연구를 위한 (1) 대형시놉틱관측망원경 프로젝트(LS ST), 3,000대의 전파안테나를 연결하여 고해상도, 고감도, 광시야 전파간섭계인(2) 평방킬로미터배열 거대전파망원경(SKA) 사업을 살펴보고, 빅데이터 활용을 전망하였음.
향후 빅데이터를 생산해 내는 대형관측인프라가 구축 및 체계적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1) 과학기술 부문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기준 필요, (2) 천문우주과학에 적합한 빅데이터 활용방향 설정, (3) 과학기술 빅데이터 표준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확보할 것을 제안하였음.
[목 차]
1. 천문학 역사 속의 빅 데이터
2. 해외 천문우주기관의 빅데이터 활용 현황
3. 천문우주과학 프로젝트와 빅데이터 전망
4. 빅데이터 시대 우리의 현황과 대응
5. 정책적 제언
[참고] 천문 관측데이터 아카이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