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5 RSS
03 2009-08
No. 375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박석재)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공동 조직위원장 : 강영운, 양종만, 박석재)는 오는 8월 4일부터 9일까지 일산 KINTEX에서 열리는 2009 대한민국 과학축전에서 2009 세계 천문의 해 기념 특별전을 갖는다. ○ 특별전시관에는 한국 천문학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하는 전시 코너를 마련했고, 소형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달, 토성, 구상성단 관측과 태양계 중력체험 등 체험 위주의 전시물로 꾸몄다. ○ 이와 함께 대형 스크린을 이용해 2009 세계 천문의 해 기념 다큐멘터리와 7월 22일 부분일식 영상물을 연속 상영하는 것은 물론, 일본 스페이스 아티스트 카가야의 대표작 가운데 5점을 엄선해 전시한다. ○ 8월 8일 오후 3시와 5시에는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후원하고 대덕 이노폴리스 싱어즈(구 대덕연구단지합창단)가 주관하는 “우주로 가는 음악셔틀” 공연이 펼쳐진다.○ 대한민국 과학축전은 “과학과 창의가 만드는 녹색미래”라는 테마로 기획되었으며,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한다. 행사장소는 KINTEX 4, 5홀이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30 2009-07
별과 음악의 만남- 400회 기념 별★음악회 개최 -
No. 374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대전시민천문대와 꿈돌이 랜드가 주최하는 ‘400회 기념 별★음악회’를 후원한다. ○ 8월 1일(토), 꿈돌이랜드에서 진행되는 400회 기념 별★음악회에서는 소프라노와 테너의 아름다운 노래와 팬플룻과 오카리나 연주로 다양한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며, 5인조 밴드와 함께하는 천문 강연도 함께 펼쳐진다. 특별 이벤트로 달빛 아래 베토벤의 월광 1악장을 감상하는 시간도 마련하였다. ○ 이번 400회 기념 별★음악회에서는 미니 별축제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 2005년 2월부터 대전시민천문대에서 시작 된 별★음악회는 매주 토요일마다 여러 음악인들이 참여하여 시민들에게 별과 음악을 함께 전달하는 특별한 음악회이다. 출연진 심우훈, 정진옥, 전영란, 노학원, 주세은, 전선화, 최기호, 윤가현, 권향자, 그룹 프렌즈 정보 일시 : 2009년 8월 1일 (토) 19:30 ~ 21:00 장소 : 꿈돌이랜드 왕의무대 (무료입장) 주최 : 대전시민천문대, 꿈돌이랜드 후원 : 한국천문연구원 인사말 2002년 3월에 시작되어 매주 토요일에 열린 대전시민천문대 별 음악회가 어느덧 400회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출연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음악인들, 특히 둘째 넷째 금요일까지 음악회를 이어주신 김영상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분들과 영화와 같은 성원을 보내주신 시민 여러분이 없었더라면 이번 기념 행사는 불가능 했을 것입니다. 아울러 시민천문대를 세우고 이 후에도 계속 깊은 관심을 가져주신 박성효 사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사장님의 성원에 힘입어 대전에서 시작된 별 음악회는 가까운 시일 내에 전국 으로 퍼져 나아갈 것 입니다.  끝으로 이번 기념행사를 주최한 시민천문대 최형빈 대장님과 꿈돌이랜드 장세일 사장님, 적극적으로 후원한 한국천문연구원 박석재 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별 음악회 심우훈 감독 격려사 대전시민천문대 별 음악회가 2001년 3월에 시작하여 금일로 400회째를 맞이하여 기념공연을 갖게 된 것은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먼저 8년여 동안 별 음악회를 이끌어 오신 심우훈 감독님을 비롯한 대전 시민천문대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대해 150만 시민과 더불어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그동안 주말에 열리는 이 음악회는 출연료가 없는 순수한 음악회로 대전시민 모두에게 감동과 기쁨을 복돋아주는 별 음악회로 덩구 큰 발전이 있기를 기원 드립니다. 2009년 8월 1일 대전광역시장 프로그램 1) 내빈소개 및 인사말 (19:30 ~ 19:35) 2) 1부 (19:35 ~ 20:35) 클래식과 함께 3) 특별이벤트 (20:35 ~ 20:40)] 4) 2부 (20:40 ~ 21:15) 그룹 프렌즈 콘서트 5) 불꽃놀이 (21:15 ~ 21:17)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23 2009-07
No. 373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세계 천문의 해 행사로 대전광역시 교육청(교육감 김신호), CMB 대전방송(사장 이한담)과 함께 7월 25일(토)부터 7월 26일(일)까지 꿈돌이랜드에서 ‘CMB 우주축제’를 주최한다. ○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와 국제우주대회의 성공을 기원하는 이 행사는 기존의 별 축제와 달리 여러 가지 참신하고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추가됐다. 특히 교육감 표창이 걸려 있는 ‘대전광역시 우주왕’ 선발대회에는 수천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조경철 박사의 ‘아폴로 박사 40년’, 음악과 강연을 결합한 ‘5인조 밴드의 천문학 강연’, 유명 SF 만화 작가들의 사인회 등도 선보인다. ○ 파란별과 노란별이 나란히 있는 알비레오 별과 월면을 총 25대의 천체망원경과 스타-카를 이용해 관측하고, 불꽃놀이 등 다양한 공연도 즐길 수 있는 이번 행사에 많은 청소년과 시민의 참여를 바란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22 2009-07
갈릴레오 교원연수 실시 - 2009년 하계 교원천문연수 -
No. 372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9년 7월 27일(월)부터 8월 1일(토)까지 대덕연구단지내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에서 전국의 초·중·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교원천문연수를 실시한다. ○ 교원천문연수는 교원들에게 최신의 천문학 지식 보급은 물론, 평소 접할 수 없어 어렵게 느껴지는 천문학 내용을 쉽게 설명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교육하는 연수프로그램이다. ○ 수업 내용은 크게 이론과 실습, 두 가지로 나눠진다. 이론 수업에서는 고천문학을 비롯하여 태양계, 별, 은하와 우주에 걸쳐 일반 천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실습은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과 망원경 사용법을 숙지하여 직접 관측을 해보는 시간으로 진행 된다.○ 교원천문연수는 매년 동계와 하계 방학기간 동안에 초등, 중등 각각 2기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다. 이 연수에는 지난 14년 동안 전국의 초?중등 교사 4,6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연수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90%가 우수하다고 응답하여, 교원천문연수에 대한 평가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연수에 참가한 선생님들이 쉬는 시간에 망원경 조작 방법에 대해 배우고 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한국천문연구원  홍보팀  김지혜 (042-865-2004)
15 2009-07
환상적인 별자리와 신화 속에 빠져들다- 천문 일러스트 전시회 개최 -
No. 371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국립과천과학관(관장 장기열)과 함께 2009년 7월 18일(토)부터 8월 16일(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 특별전시관에서 세계 천문의 해 기념 ‘카가야 천문 일러스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카가야는 일본의 많은 청소년과 시민들에게 환상적인 별자리와 신화의 세계를 화폭에 담아 소개해 왔다.○ 세계적인 천문 일러스트레이터 카가야(KAGAYA)는 1996년에 발표한 ‘the Zodiac-12 별자리 시리즈’가 베스트셀러 직소퍼즐이 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번 전시회에는 그의 대표작인 ‘the Zodiac-12 별자리 시리즈’를 비롯하여 'Celestial Exploring' 등 100여점의 작품이 국내 최초로 전시된다. 그림 1. 카가야 작품 그림 2. 카가야의 대표작 the Zodiac-12 별자리 시리즈 ○ 특히 이번 전시회는 카가야의 작품 뿐만 아니라 실제 별과 우주의 모습을 촬영한 천체사진을 함께 전시하여 천문 일러스트와 실제 우주의 모습을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천문우주 관련 우표 700여점도 함께 전시하여 실생활에 스며들어있는 천문학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예정이다.○ 천문연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로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청소년과 시민들이 천문학 분야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 그림 3. 별과 우주를 그린 카가야의 작품들. ○ 7월 18일 (토) 2시 개관행사에서는 국내에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카가야의 사인회도 열릴 예정이다. ○ 작가 약력 - 영문명 : KAGAYA, 본명 : 加賀谷 穰 - 1968년 사이타마 출생. - 1996년 ‘the Zodiac-12 별자리 시리즈’를 발표. 직소퍼즐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 1998년 트랜스모던아트 주최 ‘Digital Fine Art Session 98’ 금상수상 - 2000년 HP휴렛패커드 주최 ‘전미 디지털 아트 콘테스트’아트부문 1등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15 2009-07
천문, 포털 서비스를 만나다-한국천문연구원-엔에이치엔(주) 업무협약 체결
No. 370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7월 14일(화) 엔에이치엔(주)(대표 김상헌)와 함께 천문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천문자료의 활용 확산 및 천문 관련 자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제고와 관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상호협력 하기로 합의하였다. ○ 한국천문연구원과 엔에이치엔은 2009 세계 천문의 해가 시작하는  첫날, 부산 해운대에서 진행한 해오름 공개 관측 행사에서 일출 과정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함으로써 국민에게 천문을 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또한 오는 7월 22일 일반 시민들을 위해 서울, 대전, 부산 등 대도시에서 부분 일식 관측 행사를 개최하고, 이번 부분 일식의 모든 과정을 네이버(NAVER)를 통해서 생중계 할 예정이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사무국장 문홍규 (042-865-3251)
15 2009-07
전 세계 40개국, 달 착륙 40주년 기념 “달 콜라주” 완성
No. 369
■ 2009년 7월 13일, 2009 세계 천문의 해(International Year of Astronomy, IYA2009) 한국조직위원회(이하 ‘한국조직위’)는 국제천문연맹이 발표한 “전 인류를 위한 달”(Moon for All Mankind) 콜라주 사진을 공개한다. ○ “전 인류를 위한 달”은 IYA2009 몰타 조직위원회(이하 ‘몰타 조직위’)가 천체망원경 400주년과 아폴로 11호 달 착륙 40주년을 기념해 기획한 국제 프로젝트다. ○ 이 프로젝트는 인류평화 정신과 IYA2009의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세계 각국의 천문학자와 천문 애호가들이 달의 조각 사진을 찍어 콜라주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전 인류를 위한 달”에는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독일, 이태리, 프랑스 등 다섯 개 대륙으로부터 40개국이 참여했고, 각국에서는 달의 조각 사진을 몰타 조직위 측에 전달했다. ○ 한국조직위는 지난 5월초, 몰타 조직위로부터 32번 지역을 배정 받았으며, 아마추어천문가 박성래씨가 월면 촬영을 담당했다. 박씨는 지난 6월 13일 새벽 3시경, 서울에서 구경 20cm 망원경과 카메라를 이용해 해당 지역을 디지털 사진에 담았다. ○ 콜라주에 사용된 조각 사진은 대부분 2009년 5~6월 중에 촬영한 것이며, 400년 전 갈릴레이가 그린 월면 스케치와 유럽우주국 스마트-1(Smart-1) 탐사선이 찍은 영상도 포함됐다. 관련 웹사이트 IYA2009 공식 웹 사이트 : www.astronomy2009.org IYA2009 한국조직위원회 웹 사이트 : www.astronomy2009.kr 국제천문연맹의 “전 인류를 위한 달” 웹 사이트 : http://www.astronomy2009.org/news/updates/356/ 그림 1. "전 일류를 위한 달" 콜라주 사진 첨부 2.  “전 인류를 위한 달” 추가 설명자료 몰타 조직위는 달 앞면을 45개 지역으로 구분했다. 한국이 배정받은 32번 지역은 달 남반구에 위치하는데, 이곳은 북동과 북서쪽으로 “인식의 바다”(Mare Cognitum)와 “폭풍의 바다”(Oceanus Procellarum)가, 그 남서쪽과 남동쪽으로는 “습기의 바다”(Mare Humorum)와 “구름의 바다”(Mare Nubium)가 포함돼 있다. 콜라주에는 미국의 아폴로 11호와 러시아의 루나 2호 착륙지점은 물론, 유럽우주국의 스마트-1, 일본의 카구야-1, 중국의 창어-1, 인도의 챤드라얀 달 탐사선 등이 표시돼 있다. 콜라주에 사용된 영문 폰트는 푸투라(Futura).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들이 달에 남기고 온 기념패에 새겨진 것과 같은 글자체다. 기념패에는 아래와 같이 씌어 있는데, 이것은 “전 인류를 위한 달” 프로젝트의 정신이기도 하다. "HERE MEN FROM THE PLANET EARTH FIRST SET FOOT UPON THE MOON JULY 1969, A.D. WE CAME IN PEACE FOR ALL MANKIND" “서기 1969년 7월, 지구인 최초로 달을 밟다. 우리는 전 인류의 평화를 위해 이곳에 왔다” ※ 문의 :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사무국장 문홍규 박사(042-865-3251, fullmoon@kasi.re.kr)
02 2009-07
달, 태양을 삼키다 - (2009년 7월 22일 부분 일식 예보)
No. 368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9년 7월 22일(수) 오전 9시 34분(서울지역 기준)부터 약 2시간 30분 동안 부분 일식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이번 부분 일식은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태양의 약 80%가 가려진다. ○ 오는 2009년 7월 22일에 아시아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개기 일식이 일어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개기 일식은 볼 수 없고 달이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 일식만 볼 수 있다. 이번 부분 일식의 경우 서귀포 지역에서 태양의 밝기가 90% 이상 가려지는 등 2007년 3월에 있었던 일식에 비해 약 8배 많은 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장관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일식 식분 80% (2006년 3월 29일 이집트 개기일식) 그림 2. 2009년 7월 22일 부분 일식 예상도(서울지역)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개기 일식 관측을 위해서 중국 티안후앙핑(Tianhuangping)에 원정 관측팀(팀장 김연한 박사)을 파견하는 한편,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등 대도시에서 일반 시민들을 위해 부분 일식 관측 행사를 벌인다. 또한, 이번 부분 일식의 모든 과정을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NAVER)를 통해서 생중계 할 예정이다. 그림 3. 동아시아의 일식 그림 4. 우주에서 본 달 그림자 그림 5. 우리나라의 부분 일식 ○ 우리나라에서는 2035년 9월 2일 북한의 평양지방에서 개기 일식이 일어날 예정이며 지난 개기 일식은 1887년 8월 19일에 있었다. 부분 일식은 이보다 자주 볼 수 있으며 2010년 1월 15일에 일어날 예정이다. ○ 일식 관측을 위해 태양을 장시간 맨눈으로 보면 눈이 상할 위험이 있으니 태양 필터나 여러 겹의 짙은 색 셀로판지 등을 이용하여 보아야 한다. 특히, 특수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망원경으로 태양을 보면 바로 실명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 주요도시의 부분 일식 관련 시간은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 주요도시의 부분 일식 관련 시간에 대한 일식 시작, 최대, 종료, 최대 식분 퍼센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이름 일식 시작 일식 최대 일식 종료 최대 식분(%) 서  울 9:34 10:48 12:05 78.5 부  산 9:36 10:52 12:13 85.3 대  전 9:35 10:49 12:08 82.3 대  구 9:35 10:51 12:11 83.3 광  주 9:32 10:48 12:08 86.6 인  천 9:34 10:48 12:05 79 서귀포 9:31 10:48 12:10 93.1 제  주 9:31 10:48 12:10 92.4 무  안 9:32 10:48 12:08 87.9 창  원 9:35 10:52 12:12 85.4 전  주 9:33 10:49 12:08 84.2 울  산 9:36 10:53 12:12 84 상  주 9:35 10:50 12:09 81.8 청  주 9:34 10:49 12:08 81.3 충  주 9:35 10:50 12:08 79.9 경  주 9:37 10:52 12:10 79.7 수  원 9:34 10:48 12:06 79.5 원  주 9:36 10:50 12:07 78.8 태  백 9:37 10:52 12:09 78.8 춘  천 9:36 10:49 12:06 77.1 강  릉 9:37 10:51 12:08 76.9 독  도 9:42 10:57 12:14 76.8 울릉도 9:40 10:55 12:12 76.6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 관련사이트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 연구그룹 http://sos.kasi.re.kr/korean/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http://www.astronomy2009.kr/
01 2009-07
No. 367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6월 30일, (주)YTN(사이언스TV)과 ‘과학방송’ 운영에 있어 상호 협력을 통해 공동 발전을 이루고자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과학방송 운영과 과학프로그램 제작, 국내외 과학축전 및 과학 행사에 동반 참가하는 등 과학문화 확산 활동에 관해 상호 협력하기로 적극 합의하였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
26 2009-06
7월 천문현상과 천문행사
No. 36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이하여 오는 7월, 여름방학 기간 동안 진행될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였다고 밝혔다. ○ 7월에는 22일 부분 일식 이벤트와 대전 국제우주대회를 앞두고 개최되는 “CMB 우주축제”는 물론, 전국 순회 천체사진 전시회와 학교 강연 프로그램, 환자들을 위한 병원 프로그램, 2009 하계 갈릴레오 교원연수 등 다양한 행사들이 기획되었다. 행사 일정은 아래와 같다. 행사일정 1일-31일  “시민천문대에서 우주를 보다!” 전국 시민천문대와 청소년수련원, 교육과학연구원 등을 순회하며 “지구에서 보는 우주(FETTU, From Earth to the Universe)” 천체사진전시를 연다. 전시 사진은 전 세계 대형 천문대와 허블우주망원경 등 첨단시설을 이용해서 촬영한 것은 물론, 국내 아마추어천문가들의 작품도 포함돼 있다. 1일-31일  “별이 쏟아지는 하늘을 찍다!” 예천천문과학관과 대전시민천문대에서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적을 배경으로 달과 별, 혜성을 촬영한 사진 20점을 전시한다. 4일  “도서관에서 천문학자를 만나다!”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와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주관으로 사천도서관을 방문해 천문학 책 저자와 일반 청중들이 함께 웃고 대화하는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 6일  “국립암센터에서 마음의 별을 찾다!” 국립암센터와 공동으로 환자들을 위한 천문학과 문화 연계 프로그램인 “병실에서 마음의 별을 찾다”를 진행한다. 9일 13일 16일  “교실에서 천문학자를 만나다!” 현직 천문학자가 중, 고등학교를 방문, 별과 우주를 주제로 강연하는 프로그램이다. 7월에는 서울 지역 3개 학교에서 강연을 진행한다. 18일  국내최초 스페이스뮤직 라이브 콘서트 국립과천과학관과 함께 국내 최초로 돔 영상과 클래식 연주, 그리고 스페이스 뮤직을 결합한 영상 음악회를 연다. “외계의 음악”(Music from Outer Space)을 테마로 기획된 이번 연주회는 국립과천과학관의 플라네타륨(천체투영관)을 배경으로 진행한다. 21일  “달 착륙 40년, 달 과학 40년” 2009년은 세계 천문의 해인 동시에, 인간 달 착륙 40주년이기도 하다. 닐 암스트롱, 에드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 등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아폴로 11호에 승선, 달에 첫 발을 내디딘 역사적인 날이다. 22일  “부분일식, 인터넷 생중계로 본다!”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등 대도시에서 일반 시민들을 위한 부분일식 관측 이벤트를 벌이는 한편, 국내 인터넷 포털을 통해 일식 전 과정을 생중계한다. 그림 1. 일식 경로 25일~26일  CMB 우주축제 올 10월 대전에서 개최되는 국제우주대회를 앞두고 미리 우주축제를 체험할 수 있는 한여름 밤의 별 축제. 이번 행사에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 40주년을 기념하는 조경철 아폴로박사의 기념 특강과 우주왕 선발대회 등이 진행된다. 27일~8월 1일  “갈릴레오 교원연수” 현직 교사들에게 최신 천문학 동향과 지식을 소개하고 현장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된 교육 프로그램이다. 천문학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이 직접 강의한다. 천문현상과 천문행사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으며 날짜, 행사명, 장소, 개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날짜 행사명 장소 행사개요 7월 1일~31일 별이 흐르는 밤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 (7월1일~19일) 대전시민천문대 (7월20일~31일) 예천천문과학관과 대전시민천문대에서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적을 배경으로 달과 별, 혜성을 촬영한 사진 20점을 전시한다. 7월 4일 천문학, 책으로 말하다 경남 사천도서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와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주관으로 사천도서관을 방문해 천문학 책 저자와 일반 청중들이 함께 웃고 대화하는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 7월 6일 병실에서 마음의 별을 찾다 서울 국립암센터 국립암센터와 공동으로 환자들을 위한 천문학과 문화 연계 프로그램인 “병실에서 마음의 별을 찾다”를 진행한다. 7월 9일, 13일, 16일 교실에서 천문학자를 만나다 서울지역 고등학교 현직 천문학자가 중, 고등학교를 방문, 별과 우주를 주제로 강연하는 프로그램이다. 7월에는 서울 지역 3개 학교에서 강연을 진행한다. 7월 13일 찾아가는 천문·우주 교육 대전산내초등학교 "찾아가는 천문·우주 교육"은 이동천문대인 스타카(Star-Car)를 활용하여 평소 과학문화를 접하기 어려운 소외지역 학교에 찾아가 학생들 및 지역 주민들에게 천체관측과 천문 강연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7월 18일 Music from Outer Space 별음악회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 국립과천과학관과 함께 국내 최초로 우주를 주제로 한 영상 음악회를 연다. “외계의 음악”(Music from Outer Space)을 테마로 기획된 이번 연주회는 국립과천과학관의 플라네타륨(천체투영관)을 배경으로 진행한다. 7월 21일 달 착륙 40주년, 달 과학 40년 ㅡ 2009년은 세계 천문의 해인 동시에, 인간 달 착륙 40주년이기도 하다. 닐 암스트롱, 에드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 등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아폴로 11호에 승선, 달에 첫 발을 내디딘 역사적인 날이다. 7월 22일 달, 태양을 삼키다 보현산천문대, 양구국토정중앙천문대, 제주서귀포천문관, 부산 해운대, 서울 등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등 대도시에서 일반 시민들을 위한 부분일식 관측 이벤트를 벌이는 한편, 국내 인터넷 포털을 통해 일식 전 과정을 생중계한다. 7월 25일~26일 CMB 우주축제 대전 꿈돌이랜드  올 10월 대전에서 개최되는 국제우주대회를 앞두고 미리 우주축제를 체험할 수 있는 한여름 밤의 별 축제. 이번 행사에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 40주년을 기념하는 조경철 아폴로박사의 기념 특강과 우주왕 선발대회 등이 진행된다. 7월 27일~8월 1일 갈릴레오 교원연수 2009 하계 교원천문 연수 한국천문연구원 현직 교사들에게 최신 천문학 동향과 지식을 소개하고 현장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된 교육 프로그램이다. 천문학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이 직접 강의한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사업실장 이서구 (042-865-2005)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사무국장 문홍규(042-865-3251)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사무국장 문홍규(042-865-3251)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